빗썸 지주사 주당 거래가 석달새 6840만→7798만 BK컨소시엄 거래조건 지난 7월 소수 지분거래 대비 958만 상승…영구성장률 2%대로 낙관적 전망한 듯
정유현 기자공개 2018-10-12 18:02:10
이 기사는 2018년 10월 12일 17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병건 회장이 이끄는 BK컨소시엄의 비티씨홀딩컴퍼니 지분 거래는 1주당 7000만원이 넘는 금액으로 거래가 된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 7월 이정아 빗썸 전 부사장의 지분 거래에서 비티씨홀딩컴퍼니의 가치가 1주당 6840만원으로 평가된 바 있다.세달만에 1주당 가치가 1000만원 가까이 올랐다.
석달 사이에 비티씨홀딩 컴퍼니의 기업가치가 극적으로 변화한 것은 없다. BK컨소시엄이 빗썸의 가치를 높이 평가해 주가에 반영했다. 회계법인을 통한 기업가치 산정 과정에서 비티씨홀딩컴퍼니의 영구 성장률 가정을 낙관적으로 전망해 거래를 한 것으로 파악된다.
12일 비덴트에 따르면 회사는 보유중인 비티씨홀딩컴퍼니 주식 350주(3.5%)를 싱가포르 소재 'BTHMB HOLDINGS PTE'에 272억9519만8840원을 받고 양도했다. 주당 7798만6282원에 거래된 셈이다. BK컨소시엄은 주 무대가 싱가포르인만큼 공시 상 현지 법인명을 사용했다. BTHMB HOLDINGS PTE를 BK컨소시엄으로 이해하면 된다는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BK 컨소시엄은 성형외과 의사 출신인 김병건 BK그룹 회장 겸 싱가포르 ICO 플랫폼을 중심으로 뭉친 컨소시엄이다. BK컨소시엄은 빗썸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비티씨홀딩컴퍼니의 최대주주와 기존 주주로부터 지분 50%+1주를 4000억원 수준에 취득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올해 상반기까지 비티씨홀딩컴퍼니는 주주 구성에 대해 확인되지 않았다. 비덴트가 지분 10%가량을 보유해 2대주주라는 것 외에는 최대주주가 누구인지 알려진 바 없다. 여러명의 개인 주주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며 지난 7월 정연대씨와 이정아 빗썸 전 부사장이 비티씨홀딩컴퍼니 주식 지분 3%(이정아 15주·정연대 285주)를 비덴트에 205억원에 매각하며 화제를 모았다.
비덴트의 비티씨홀딩컴퍼니 지분율은 13%로 올랐는데 이번에 BK컨소시엄에 지분을 넘기며 보유 지분율은 9.5%(주식수 950주)로 줄었다.
지난 7월 당시 비티씨홀딩컴퍼니의 주식 1주당 6840만원으로 거래가 체결되며 고평가 논란도 제기됐다. 논란을 예상한 비덴트는 상록회계법인을 통해 비티씨홀딩컴퍼니에 대해 기업 가치를 평가했다.
상록회계법인은 비티씨홀딩컴퍼니가 비티씨코리아닷컴의 지분을 보유하고 자회사에 대한 투자, 경영 및 지배를 사업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회사의 가치를 비티씨코리아닷컴의 지분 가치에 의해 현금흐름할인법(DCF)으로 평가했다. 비티씨홀딩컴퍼니의 자기자본가치는 6764만원~7858만원 수준으로 산출됐고 3%에 대한 주식 가치는 202억~235억 수준으로 평가됐다.
이번 거래도 전 거래와 동일한 수준에서 자기자본 가치를 산정했다. 세부적으로 전 거래와 같은 조건이라면 영구성장률 0%,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16.93%를 적용할 경우 비티씨코리아닷컴의 기업가치는 9167억3500만원이 도출된다. 영구성장률을 보수적으로 접근해 1조원 이하의 가치가 나오지만 이번 BK컨소시엄 거래는 영구성장률을 2%대로 잡고 가중평균자본비용(WACC) 16% 이하로 잡아 기업 가치가 더 높게 평가된 것으로 분석된다.
비덴트는 BK컨소시엄으로부터 계약금으로 343만 달러(39억2529만2000원)을 이날 받았고 중도금은 오는 12월 16일 같은 금액을 받을 예정이다. 내년 2월 15일 1699만1000달러(194억4461만4840만원)의 잔금 납입이 되면 거래가 완료된다.
비덴트 측은 "투자 주식 이익 실현 차원에서 양도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캐시플로 모니터]롯데지주, 영업활동 개선에도 현금 감소 배경은
- [thebell desk]자사주의 주인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2세 경영 안착 속 후계구도 '안갯속'
- [Company Watch]GS건설, 해외 모듈러 신사업 '외형 확장' 성과
- [디벨로퍼 리포트]DS네트웍스, 지방 주택 개발사업 '제자리걸음'
- [이사회 분석]롯데리츠, 'IB·회계사' 2인 감독이사 선임 '이례적'
- [i-point]씨플랫폼-엑스게이트, 총판 계약 체결
- [i-point]김연수 한컴 대표, 2025년 AI 사업 성과 '사활'
- 아이엠지티, 췌장암 국내임상 중간분석 결과 발표
- 라이프운용, 해외 패밀리오피스서 300억 펀딩
정유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desk]자사주의 주인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 데자뷔는 아니다' K뷰티, '기회의 문' 열리나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ODM 사업 확장 레버리지 활용, 재무 건전성은 '양호'
- [밸류업 프로그램 리뷰]'최종환'호 파라다이스, TSR 연계 보상 제도 도입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매각, 유동성 넘어 지배구조 정리 '시그널'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무신사, 순이익+운전자본 최적화 효과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R&D로 쌓은 수출 경쟁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안착
- 롯데그룹, 지속 가능 성장 가속화…'AI·글로벌' 방점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K뷰티 밸류체인 수직 통합, 연매출 1000억 '정조준'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남양유업, 체질 개선 노력 결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