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운용, 일임 제자리걸음…보험·공제회 자금 이탈 [자산운용사 경영분석]③ 지분증권 비중 80%…2017년 재편 운용방식 고수
허인혜 기자공개 2019-10-01 08:23:22
이 기사는 2019년 09월 26일 16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IBK자산운용의 투자 일임재산에서 보험과 공제회의 자금 절반 가량 이탈하며 전체 일임액이 소폭 감소했다. 기타 자금이 큰 폭으로 확대돼 일임액 1조원은 유지했다.26일 금융투자협회 공시에 따르면 IBK자산운용의 올해 6월 말 기준 일임계약 자산총액(계약금액 기준)은 1조967억원으로 지난해 1조1166억원 대비 200억원가량 하락했다. 지난해 말 1조653억원보다는 다소 늘었다. 일임 고객수와 계약 건수는 13곳과 34건으로 전기말과 비교해 일임계약건수가 2건 줄었다.
연기금 자금이 4000억원 이상을 유지해 여전히 IBK자산운용의 투자일임 재산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연기금 일임액은 6월말 기준 4790억원으로 지난해 6월 4282억원 대비 500억원 하락했다. 2017년 말 4417억원과 지난해 말 4431억원과 비교해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
보험 특별계정과 공제회 자금은 이탈이 많았다. 보험 특별계정은 같은 기간 3575억원에서 2371억원으로 줄었다. 2016년말 3000억원을 넘겼지만 이듬해인 2017년 2000억원대로 다시 줄면서 이 구간을 돌파하지 못하고 있다. 공제회 일임액은 400억원에서 200억원으로 절반이 떨어졌다.
기타 자금이 빈 자리를 채웠다. 기타 일임액은 지난해 6월말 1993억원에서 올해 상반기 3895억원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전체 일임액이 하락하며 일임수수료 수입도 줄었다. 당기말 일임수수료는 11억1290만원으로 지난해 동기 14억2527만원 대비 2억1200만원이 축소됐다.
|
IBK자산운용의 운용 방식은 2017년 시석중 대표 취임 이후 수익률 위주로 재편됐다. 2016년까지 지분증권보다 채무증권에 편중한 운용 방식을 유지해 왔지만 2017년부터 지분증권의 비중을 60% 이상 빠르게 올려 왔다. 운용 방식을 바꾸면서 투자일임 수수료도 8억원 이하에서 10억원 이상으로 뛰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VC 투자기업]삼쩜삼, 가입자 2300만명 돌파…성과와 과제
- 'K콘텐츠전략펀드' GP 2곳 선정 그쳐…재공고 예정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허인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그룹내 자금 에어로 투입, 투자자 달랠수 있을까
- [조선 기자재 키플레이어선]경영승계는 차남…오너일가 '못지않은' 박세철 존재감
- '승계 논란' 차단 나선 한화…유상증자 설계도 다시 짰다
- [Red & Blue]유상증자부터 승계까지 '요동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 [조선 기자재 키플레이어]오리엔탈정공, 실적·배당 확대 불구 여전한 저평가
- '터널 끝' 적자 대폭 줄인 대선조선, 흑전 기대감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증여세 '2218억' 삼형제의 재원조달 카드는
- [방산 체급 키우는 한화그룹]몸값 높아진 오스탈, 한화그룹 주판 어떻게 튕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