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 유니콘' 버즈빌, 205억 시리즈C 유치 산업은행 '메가-7' 협의체 첫 투자, VC LB·컴퍼니·SBI 등 참여…글로벌 시장 확대
신상윤 기자공개 2020-01-20 08:30:30
이 기사는 2020년 01월 17일 15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리워드형 광고 플랫폼 전문기업 버즈빌이 산업은행과 벤처캐피탈 등 다수의 기관 투자자로부터 시리즈C 투자를 받았다. 넥스트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받는 버즈빌은 산업은행이 추진했던 '메가 세븐 클럽(Mega-7 Club)'의 첫 투자 기업으로 이름을 남기게 됐다.17일 업계에 따르면 버즈빌은 205억원 규모의 시리즈C 단계 투자 유치를 성공리에 마쳤다. 버즈빌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를 기관 투자자들이 인수했다. 참여 기관은 벤처캐피탈 LB인베스트먼트와 컴퍼니케이파트너스, SBI인베스트먼트를 비롯해 금융기관인 산업은행과 신한은행 등 5곳이다.
투자 규모로는 LB인베스트먼트가 60억원으로 가장 많으며 산업은행이 50억원, 컴퍼니케이파트너스 45억원, SBI인베스트먼트 30억원, 신한은행 20억원 등 총 205억원이다. 이 가운데 LB인베스트먼트와 컴퍼니케이파트너스는 시리즈B 투자 유치에도 참여했다. 이번 후속투자(팔로우온)를 통해 버즈빌의 사업 역량 확대에 다시 한번 힘을 실어줬다. 앞서 버즈빌은 2014년 시리즈A 40억원, 2015년 시리즈B 130억원 등을 투자 유치했다.
버즈빌은 산업은행이 주도하는 '메가 세븐 클럽(Mega-7 Club)'의 첫 투자 기업으로도 낙점됐다. 지난해 4월 결성된 메가 세븐 클럽은 산업은행이 한국투자파트너스와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인터베스트, KTB네트워크, IMM인베스트먼트, LB인베스트먼트,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등 7개 VC와 결성한 협의체다. 버즈빌은 지난 6월 메가 세븐 클럽의 첫 번째 딜 쉐어링 데이에서 투자 유치를 위한 IR에 참여했다.
2012년 설립된 버즈빌은 이토프와 데일리픽 등을 국내 IT 대기업에 잇따라 매각했던 이관우 공동 대표이사가 창업한 회사다. 리워드형 광고 플랫폼 '버즈애드' 등을 통해 해외 시장으로 발을 넓히고 있다. 버즈애드는 인터스티셜, 챗헤드, 인앱 네이티브애드, 오퍼월, 잠금화면 등 다양하고 독보적인 광고 영역에 리워드형 광고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특히 구매력 있는 사용자를 타깃 하는 머신러닝 기반의 리워드형 애드테크 플랫폼을 통해 파트너사의 높은 구매 전환율을 끌어내는 독보적인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버즈빌은 국내뿐 아니라 일본과 미국, 러시아, 인도, 동남아 등 글로벌 시장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번에 확보한 자금은 글로벌 시장 확대와 타깃 기술 고도화 등에 투입할 계획이다. 아울러 사업 확장을 위해 애드테크 기업 인수합병(M&A) 등에도 자금이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대표이사는 "일본 등 해외에서도 성과가 나오고 있는 만큼 이번에 유치한 자금은 시장 확대를 위해 투입할 것"이라며 "국내 광고 시장에서 검증된 플랫폼을 바탕으로 시장 확대와 타깃 기술 고도화 등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보단 우주, 보령의 R&D 가치 단 150억 '카나브' 뒷배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대우건설, 해외 토목 현장 관리에 달렸다
- [디벨로퍼 프로젝트 리포트]넥스플랜, '에테르노 압구정' 옆 '효성빌라' 추가 취득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SK에코플랜트, 하이닉스발 수주 효과 '기대감'
- [디벨로퍼 리포트]엠디엠그룹, '서리풀·해운대' 앞두고 숨 고르기
- [이사회 분석]동신건설, 베일에 가린 오너3세 대표로 등장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삼성물산 건설부문, 수익성 견인한 공사비 협상력
- [디벨로퍼 리포트]빌더스개발원, 첫 매출 '이천 부발역 에피트' 촉진 관건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현대건설, 발주처 증액 협상 난이도 높아졌다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2세 경영 안착 속 후계구도 '안갯속'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사업 다각화 성과 수익성 개선 효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