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 상폐 초읽기, 이준호 NHN 회장 몫 935억 신중호·이해진 주식 예상처분익 각각 2719억, 2624억 '잭팟'
원충희 기자공개 2020-11-12 07:13:42
이 기사는 2020년 11월 11일 08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네이버의 일본 계열사 라인(LINE Corporation)이 상장폐지 절차에 들어가면서 개인주주들의 '잭팟'이 예상되고 있다. 신중호 라인 최고상품책임자(CPO)와 이해진 회장이 2000억원 이상, 이준호 NHN 회장이 935억원 규모의 매각이익을 얻을 전망이다.10일 네이버에 따르면 라인은 전일 이사회를 열고 상장폐지와 주식병합을 결의했다. 주식병합 이후 생길 단위 미만주(단주)에 대해선 병합 전 기준으로 주당 5만7000원(5380엔)을 교부하기로 했다. 공개매수 가격과 동일한 수준이다.

이 과정에서 라인 개인주주들은 수백억원, 많게는 수천억원을 쥐게 됐다. 대표적인 개인주주로는 신중호 라인 CPO와 이해진 라인 이사회 회장(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이준호 NHN 회장이 있다. 6월 말 기준 이들의 가진 주식은 각각 476만500주(1.97%)와 459만4000주(1.9%), 163만8000주(0.67%)다.
이들이 공개매수 과정에서 처분했는지 아직도 주식을 갖고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공개매수 가격이나 주식병합 교부금이 동일한 수준임을 감안하면 이들이 얻을 처분이익을 추산할 수 있다. 신 CPO가 보유한 라인 지분가치는 2719억원(256억1149만엔), 이 GIO는 2624억원(247억1572만엔)이며 이 회장도 935억원(88억1244만엔)에 이른다.
다만 라인 성공신화의 공신인 신중호 CPO에게는 미국·일본 동시상장(2016년 7월)을 앞두고 스톡옵션을 추가로 줬다. 아직 행사하지 못한 스톡옵션이 상당히 있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이익은 2719억원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신 CPO, 이 GIO와 달리 네이버·라인 소속이 아닌 이준호 회장이 라인 주식을 소유하게 된 계기는 201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네이버는 이 회장이 2000년에 세운 검색전문업체 서치솔루션과 이 GIO가 창업한 네이버컴, 김범수 카카오 의장이 설립한 한게임 등의 합병으로 탄생한 NHN이 전신이다.
NHN은 일본에 라인의 모태가 되는 NHN재팬을 설립한 뒤 네이버 최고운영책임자(COO)로서 글로벌 기술을 총괄하던 이 회장에게 스톡옵션을 쥐어줬다. 그러다 2013년 8월 게임·엔터테인먼트 사업 중심의 NHN과 검색포털 사업 위주의 네이버가 분할되면서 이 회장은 NHN의 최대주주(지분 17.38%)로 이 GIO와 다른 길을 갔다.
라인은 네이버의 자회사로 남았지만 이 회장은 지난해 스톡옵션을 전량 행사, 보통주로 전환해 개인주주로서는 신중호 CPO, 이해진 GIO에 이어 3대 주주에 올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FSN 계열' 두허브, 마이원픽 월간 신규 가입자 급증
- 아트와 파이낸스는 대척점에 있을까
- [네패스그룹은 지금]승계 정공법 택한 오너일가, 상속세 '250억' 육박
- [강소 전선업체 리포트]대원전선, 실적 성장세 '견조' vs 운전자본·주가 '부진'
- [비상장 게임사 도전기]4년 만에 돌아온 라이온하트, '성공 DNA' 증명 분수령
- '퐁피두 키우기' 한화문화재단, 이성수 신임 대표 선임
- [Company Watch]KT밀리의서재, R&D 조직 개편…플랫폼 고도화·AI '집중'
- [Company Watch]'쉼 없는 공장가동' 삼성메디슨, 소니오 정상화는 '요원'
- 삼성 준감위, 이재용 소통 지속 '정치적 독립 초점'
- 대표 떠난 SK쉴더스, 임현수 CFO '대행 체제'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