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y Watch]나스미디어, 자회사 플레이디 부진 속 '선방'4년 연속 1000억대 매출 달성, KT그룹 내 광고 시장 공략 '공격수' 전환
신상윤 기자공개 2021-02-10 07:39:59
이 기사는 2021년 02월 08일 15시1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T그룹 디지털 미디어렙(Media Rep.) 전문기업 '나스미디어'가 그룹 내 광고 역량 강화를 위한 공격수로 나선다. 4년 연속 1000억원대 매출을 기록한 가운데 미디어 콘텐츠에 힘을 싣는 KT그룹과 커머스 등 분야에서 협업한다. 다만 정기호 나스미디어 대표가 KT그룹 부사장으로 승진하면서 위상이 높아지면서 자회사 플레이디의 실적 회복 등이 당면한 과제로 떠올랐다.코스닥 상장사 나스미디어는 지난해 연결 재무제표 내부결산 기준 매출액 1116억원, 영업이익 27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액은 4.6%, 영업이익은 11.8% 줄었다. 외형은 소폭 감소했지만, 4년 연속 연간 매출액은 1000억원대를 넘어섰다. 같은 기간 순이익 규모는 2.9% 개선된 231억원으로 집계됐다.
별도 기준으로는 매출액 820억원, 영업이익 273억원, 순이익 224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이 800억원을 넘어선 것은 2017년 이래 3년 만이다. 영업이익률도 33.3%로 집계되면서 2018~2019년 30% 미만에 머물렀던 수익성도 개선했다.

별도 기준의 성적표가 더 좋았던 것은 자회사 플레이디가 코로나19 영향으로 주춤했던 탓으로 풀이된다. 검색광고(SA) 시장이 주력인 플레이디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여행·항공 등 산업의 마케팅 감소와 쿠팡 같은 주고객사 이탈 영향에 수익성이 뒷걸음질했다.
광고업계 경쟁력 척도인 취급고에도 영향을 미쳤다. 2019년 나스미디어와 플레이디의 전체 취급고는 1조원을 넘어섰지만, 지난해 9400억원가량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 나스미디어 취급고가 전년대비 15% 증가한 6400억원으로 집계된 것을 고려하면 플레이디 부진은 옥에 티로 남았다.

디지털 미디어렙 전문기업인 나스미디어는 광고주의 효율적인 광고 집행과 매체(지면 또는 시간) 판매 등을 대행한다. 지난해 세부적으론 온라인 DA사업과 디지털방송, 디지털옥외 사업부문에서 실적을 견인했다.
온라인 DA사업은 게임과 가전, 식음료 등 코로나19 수혜 업종이 광고 시장에 힘을 쏟으면서 수혜를 입었다. 디지털방송 사업은 IPTV 광고 판매 구조가 'MG(Minimum Guarantee)' 계약에서 수수료 구조 중심의 '오픈랩'으로 바뀌면서 매출 확대와 수익성까지 챙겼다. 그 외 지하철578호선 내 옥외 광고 수주 확대 등도 매출 확대 견인차 역할을 했다.
나스미디어는 올해 1100억원에 달하는 이익잉여금 등 풍부한 유동성을 기반으로 KT그룹 내 광고 시장을 공략할 공격수로 나설 계획이다. 최근 KT그룹이 콘텐츠 사업 역량을 집중할 스튜디오지니를 설립한 가운데 나스미디어는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광고 시장을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정 대표가 최근 KT그룹 내 부사장으로 승진한 것도 나스미디어의 달라진 위상을 대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KT가 보유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커머스 광고 시장에도 힘을 싣는다. 경쟁사인 인크로스가 모회사인 SK텔레콤과 협업한 '티딜(T-Deal)'과 같은 모델이 출범할 것으로 관측된다. 여기에 디지털 방송 시장 등을 공략하기 위해 다양한 광고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궁극적으론 자체 브랜드로 확장할 수 있는 미디어 커머스 역량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
나스미디어 관계자는 "성장성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갖춘 나스미디어는 KT그룹의 다양한 계열사와 시너지를 내기 위해 협업하고 있다"며 "미디어 커머스 사업을 비롯해 디지털 광고시장 공략을 위해 인수합병(M&A)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자회사 플레이디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회복 단계에 있는 만큼 다시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 [금융사 임베디드 동맹 분석]신한금융, 더존비즈온과 'ERP 뱅킹' 야심찬 청사진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페퍼저축, 2년간 대출채권 1조 매각…올해 건전성 회복 기대
- 보험업 신뢰지킨 주인공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KB국민카드, 인니에 역량 집중…실속은 태국에서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E&A, '본드콜' 발생 태국 플랜트 계약 끊어냈다
- 삼성물산 건설부문, 성장세 가파른 '인도' 공략 본격화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오너 2세' 황규영 건화 대표, 상장 전 수익성 회복 과제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건화, IPO 재추진…도화엔지 색 지운다
- [건설리포트]SK에코플랜트, '용인 반도체' 날개 달았다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도화엔지, 미완에 그친 지배구조 안착 '안갯속'
- [토목 엔지니어링 뉴 리더십]곽준상 도화엔지 부회장, '신재생·EPC'로 새 지평 열까
- '반도체 소재' 더하는 SK에코플랜트, 효과는 내년으로
- [대광그룹은 지금]'오너 2세' 조영훈 회장, 대광건영으로 지배구조 재구축
- [대광그룹은 지금]풍부한 유동성, 사업 확장 위한 M&A 베팅 밑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