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승부수]'고객경험'에 꽂힌 삼성과 LGCXM 적극 수용, 조직명에도 붙여…차별화된 경험 제공해 '찐팬' 만들기
원충희 기자공개 2022-01-07 14:07:43
이 기사는 2022년 01월 06일 08시1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신임 대표들의 신년사를 살펴보면 '경험(Experience)'이란 단어가 빠지지 않는다. 고객경험관리(CXM)란 경영개념을 국내 대기업들이 적극 수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미국 애플이 갖가지 논란을 겪으면서도 탄탄한 팬층 덕분에 시가총액 세계 1위 기업이 된 것처럼 일명 '찐팬'을 만드는 전략이다.◇한종희·조주완 모두 신년사 통해 '고객경험' 강조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2022년 신년사를 통해 "최고의 고객경험(CX)을 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가치 있는 고객경험으로 사업품격 높이자"고 밝혔다. 조주완 LG전자 사장 역시 "혁신적인 고객경험을 제공하자"고 전했다. 정호영 LG디스플레이 사장, 정철동 LG이노텍 사장의 신년사에도 고객경험이란 단어를 찾아볼 수 있다.
국내 대표 기업인 이들의 올해 공통적인 경영키워드는 고객경험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아예 조직명에 붙였다. 생활가전(CE)과 IT·모바일(IM) 사업을 통합한 세트(완성품)부문의 명칭을 DX(Digital Experience)로, 무선사업부를 MX(Mobile Experience)로 바꿨다. 가치 있는 고객경험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영철학을 조직명에 붙여 전반적으로 투영하겠다는 의지다.

삼성과 LG가 경험에 꽂힌 이유는 글로벌 경영 트렌드와 연관이 깊다. 미국 콜롬비아대의 번트 슈미트 교수의 책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2003)'에서 제시된 CXM은 제품 서비스에 대한 정보 탐색, 구매, 사용, 사용 후 평가 단계(후기)에 이르기까지 고객과 브랜드가 만나는 모든 접점에서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마케팅 전략이다.
시장에 출시되는 제품의 종류는 다양해지고 소비자 선택의 폭도 넓어지면서 그만큼 개별 제품에 대한 고객 인지도는 떨어지는 추세다. 이는 고객의 브랜드 충성도를 약화시키고 시장 차별화에 실패하는 요인이 되고는 한다. 제품의 특징과 기능보다 기업이 제공하는 경험을 기반으로 브랜드를 구별하게 됐기 때문이다.
◇경험을 공유·비교하는 시대, CXM이 대세
과거와 달리 요즘 소비자들은 모든 경험을 비교하기 시작했다. 인터넷 모바일 환경이 발달하면서 후기, 리뷰처럼 SNS 등을 통해 기존 고객의 구매 경험이 타 고객의 구매 결정에 영향을 끼치는 변수로 작용한다. 이렇다보니 고객이 제품과 서비스를 접하는 전 과정에서 체험을 관리할 필요성이 대두됐다.

CXM은 고객경험이 감정을 중시한다는 점에 주목해 나온 개념이다. 소비자와 모든 접점에서 기업은 고객이 브랜드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호전시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애플이 여러 논란을 겪으면서도 시가총액 세계 1위 기업이 된 것은 고객경험관리를 통해 구축한 탄탄한 팬층 덕분이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이제 소비자는 제품 그 자체(물질재)가 아닌 경험재를 최종 구매하는 시대"라며 "아이돌 팬들이 자신의 스타를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홍보하는 것처럼 고객이 직접 체험하고 적극 알리는 쌍방향형, 참여형 콘텐츠가 유행하면서 삼성, LG 등 대기업들도 이런 추세에 적극 부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회생 딛고 올라선 원일티엔아이, 10년간 알짜 이익
- [Company Watch]지란지교시큐리티, 순손실 배경 'SSR' 영업권 손상
- 삼성·LG 'OLED TV' 확전에 정철동 웃는다
- '펀딩 3관왕' 트리거투자, 조력자 '유경원 상무' 눈길
- [VC 투자기업]뱅카우, 22일 4호 공모청약…5호부터 복수계좌 도입
- [thebell interview]황상연 HB인베 PE본부장 "차별화된 투자·밸류업 방점"
- [VC 투자기업]이플로우, 프리시리즈A 시동…독일법인 세운다
- [VC 투자기업]아토리서치, 적자 확대에 IPO 시계 늦춰졌다
- [동상이목(同想異目)] '아보하' 시장이 그립다?
- 상장 문턱서 좌절한 원유니버스, 넥써쓰가 일으키나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지배구조 분석/엔씨소프트]김택진, 지분 희석 보완책 '백기사'
- [지배구조 분석/네이버]지분에 기대지 않는 창업자 이해진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10명 중 4명은 겸직…사외이사 인력풀 확대 필요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사외이사 주 연령은 50~60대, 남성이 76% 이상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