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Paper]기아, 악화된 시장분위기 돌파해낼까이달 동급 현대캐피탈은 '진땀'…美 투심 '관건'
박기수 기자공개 2022-02-03 07:38:06
이 기사는 2022년 01월 28일 15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설날 연휴 이후 한국물 시장을 여는 주인공은 기아다. 작년 발행 이후 2년 연속 달러채 조달을 위해 시장을 찾는다. 올해도 작년처럼 성공적인 자금 조달을 이뤄낼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작년 좋았던 기억, 올해 달라진 시장 분위기
28일 투자은행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내달 7일 벤치마크 사이즈의 달러채(RegS/144a)를 발행할 예정이다. 이번 달러채는 ESG채권 형태다.
기아는 작년 4월 한국물 시장에서 3년·5.5년물로 총 7억달러를 조달했다. 당시 기아에 들어왔던 주문량은 50억달러에 육박했다. 이중 3년물에서만 전체 주문량의 절반 가량인 26억5000만달러의 수요가 몰렸던 바 있다. 주문을 넣은 기관 수만 140곳이었다.
투심 폭발로 최초 제시 금리 대비 최종 발행 금리도 크게 절감했다. 기아는 만기 별 미국 국채 금리 대비 75bp, 90bp 가산한 금리로 달러채를 발행했다. 최초 제시 금리는 3년물은 110bp, 5.5년물은 125bp였다. 만기 별로 35bp씩 절감했던 셈이다.
작년 기아의 한국물 발행은 4년 만의 발행이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깊었다. 또 자동차 판매 회복 등으로 무디스(Moody's)는 기아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상향하기도 했었다. 펀더멘탈 회복과 함께 시장 상황도 우호적이었던 작년은 기아에 좋은 기억으로 남아있다.
1년 만에 다시 모습을 드러낸 기아가 처한 상황은 작년보다 녹록지 않다. 미국의 3월 기준금리 인상설이 '유력'을 넘어 확실시되는 분석이 힘을 얻으면서 투자자 우위 시장 분위기가 퍼졌다. 발행사들은 작년까지 마이너스(-)를 기록하기도 했던 '뉴 이슈어 프리미엄(NIP)'을 지불하면서까지 발행에 나서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간 갈등 심화도 시장 불안감을 조성하는 이슈다. 양 국가 간 높아지는 군사 긴장도는 글로벌 시장의 투자자 심리가 위축될 수밖에 없는 요소다. 러시아 국채는 6년 만에 최고로 치솟은 상태다.

기아가 발행 전 참고할 만한 딜은 이달 한국물을 발행했던 현대캐피탈 딜이다. 현대캐피탈와 기아는 글로벌 신용등급이 Baa1(무디스), BBB+(S&P)로 같다.
현대캐피탈은 이달 19일 글로벌 시장에서 7억달러를 조달하면서 진땀을 뺐다. 현대캐피탈은 만기는 3.25년과 5년물로 구성해 IPG로 각각 미 국채에 110bp, 125bp를 가산한 금리를 제시했다.
IPG 제시 당시 미 국채 금리가 급등하는 등 투심 위축으로 발행 철회 직전까지 갈 정도로 분위기가 좋지 못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다 막판 미국 시장에서 반전을 이뤄내 기존 목표했던 조달량을 달성했다.
현대캐피탈의 최종 금리는 3년·5년물 각각 87bp, 97bp로 결정됐다. 기아의 작년 발행금리와 비교하면 3년물은 약 12bp, 5년물은 7bp 높다. 작년 대비 올해 시장이 녹록지 않다는 점을 수치로 보여주는 대목이다.
◇강해진 펀더멘탈, 미국 시장 관건
기아의 관건은 미국 시장이 될 전망이다. 통상 한국물 주문은 대부분 아시아 시장이 가져간다. 다만 기아는 미국 내 브랜드 인지도가 탄탄해 미국 투자자들의 투자 수요가 많다. 작년에도 전체 물량의 절반 이상이 미국에 배정됐다.
IB업계 관계자는 "미국 시장이 아시아·유럽 시장이 열린 뒤 마지막으로 열리는 시장이기 때문에 기아의 딜도 마지막까지 알 수 없는 양상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수익성 등 펀더멘탈이 강화했다는 점도 믿을 구석이다. 기아는 작년 3분기 누적 연결 기준 영업이익으로 3조8906억원을 기록했다. 2020년(2조665억원)보다 88.3% 늘어난 수치다. 영업이익률도 작년 3분기 누적 7.4%로 2020년(3.5%)보다 3.9%포인트 높아졌다.
전 트랜치(Tranche)를 ESG채권으로 구성했다는 점도 투심을 자극할 만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IB업계 관계자는 "그린 본드(Green Bond)의 수요가 많은 만큼 기아 역시 이번 딜의 흥행을 위해 모든 채권을 ESG채권으로 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변곡점 맞은 해운업]SM상선에 '건설사 붙이기' 그 성과는
- [트럼프발 관세전쟁 대응전략]SK온, 미 공장 '가동률 극대화' 플랜 가동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계열사 합병후 시총 '더블업'…저평가는 '여전'
- 아주스틸, 420억 손상차손…PMI 통해 자산 재평가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가성칼륨 강자 유니드, 1년만에 '수익성' 회복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
- [조선업 리포트]한화오션, 든든한 자금줄 산은 덕 현금흐름 '이상무'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순현금만 93조…차입 부담 버거운 호텔신라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영업익 본 궤도로…수익성 독보적 1위 삼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重 매출성장 1위, 삼바·삼전도 반등…고민 깊은 SDI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한화에어로, 차입 조달했어도 부채비율 유럽과 '비슷'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증자]오션 연결로 부채비율 낮췄는데…유증이 최선이었나
- [Financial Index/삼성그룹]1년새 주가 어디가 올랐나…금융사·삼성重·삼바 '미소'
- 손재일 한화에어로 대표 "유증이 최선의 방법"
- ROE에 대한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