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정체기 코스피 상장사]일정실업, 자산 매각에도 현금 부족 '우려'②영업현금흐름 둔화, 차입금 비중 커져…상환 부담 가중
황선중 기자공개 2022-03-31 08:12:32
[편집자주]
한국 증권시장을 대표하는 맏형 '코스피(KOSPI)'는 명실상부 국내 자본시장을 대표한다. 그러나 까다로운 상장 절차와 달리 시장에 입성한 기업은 온실 속 화초와 같다. 대형 악재만 아니라면 만성 적자 기업도 상장사 지위를 유지한 채 다양한 이점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만성 적자 기업들이 코스피라는 울창한 숲 안의 늪에 발목이 빠진 채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이에 더벨은 4년 이상 적자를 낸 코스피 상장사들의 현재와 미래 청사진을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2년 03월 28일 11시2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5년 동안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일정실업‘은 현금 사정도 넉넉지 못한 편이다. 차입금이 현금성자산을 웃도는 상태다.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가늠하는 지표인 영업활동현금흐름도 마이너스(-)로 현금 유출이 계속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보유하고 있는 유형자산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현금을 마련해왔지만, 앞으로는 차입 확대가 예상된다는 분석이다.유가증권 상장사 일정실업이 보유한 현금성자산(기타유동자산 포함)은 지난해 연결 기준 22억원이다. 자산총계의 5.14% 규모다. 반면 같은 기준 총차입금(단기차입금+유동성장기부채+장기차입금)은 154억원이다. 자산총계의 35.4% 수준이다. 현금성자산과 비교하면 7배가량 더 많다.
여기에 지난해 영업활동현금흐름은 -32억원을 기록하며 다시 순유출 기조로 전환했다. 일정실업의 영업현금흐름은 최근 5년 중에서 2020년을 제외하고 모두 마이너스를 보이고 있다. 영업현금흐름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펼치면서 들어온 현금보다 빠져나간 현금이 많다는 의미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2/03/25/20220325175956008_n.png)
지난해 영업현금흐름 둔화를 부추긴 요인은 사업 부진에 기인한 당기순손실이다. 지난해 당기순손실은 전년보다 76.5% 악화된 75억원을 기록했다. 일정실업은 16억원의 매출채권과 11억원의 선급금을 회수하며 현금 유입에 힘썼으나, 현금흐름의 마이너스 전환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일정실업은 5년째 적자를 겪고 있는 만큼 보유한 유휴자산과 투자부동산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현금을 창출해왔다. 실제 유형자산(투자부동산 포함) 규모는 적자가 발생하기 전인 2016년 281억원 규모였지만, 지난해 209억원으로 줄었다. 5년 만에 34.4% 감소했다. 이로 인해 자산총계도 최근 들어 해마다 감소하는 모습이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2/03/25/20220325180743228.png)
구체적으로 2020년에는 경기도 안산 단원구에 자리했던 7862㎡ 규모 1공장을 매각했다. 2015년 전북 익산에 1만7466㎡ 규모 공장을 새롭게 장만하면서 1공장을 매각예정자산으로 분류했었다. 여기에 직원들이 거주하던 사택도 매각했다. 경영악화로 직원 수가 줄면서 효용성이 떨어졌다는 설명이다.
유휴자산을 처분해 마련한 현금으로는 차입금을 상환했다. 현금성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상환에 대한 부담은 클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 기준 1년 이내 만기가 도래하는 차입금 규모만 118억원이다. 현금성자산보다 약 6배 많다. 여기에 제품을 외상으로 들여오고 아직 갚지 않은 매입채무(52억원)까지 고려하면 부담은 더 커진다.
앞으로는 유형자산 매각보다는 사업 역량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현금창출력을 개선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휴자산이나 투자부동산은 대부분 매각한 상태다. 당장은 본사와 익산공장, 기숙사 등 필수적인 유형자산만 보유하고 있는 상태다. 운영에 필요한 현금은 은행권 차입으로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일정실업 관계자는 "무역금융 한도가 충분해 차입에는 문제가 없는 상태"라며 "현재는 적자 탈피를 위해 인조가죽 사업에 집중하고, 새로운 임가공 제품도 물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올릭스, 비만약 빅파마 '릴리'에 9117억 기술이전 계약
- [유증&디테일]급한 불 끈 알체라, 흑자전환 '절실'
- [thebell interview]김기한 모티브링크 대표 "100년 기업 목표, 지분 안 판다"
- [거래재개 노리는 코스닥사]국일제지, 최대주주 투자금 회수 보험 '아산공장'
- 코스닥 '빅 네임' 모범사례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쇼핑몰 품은 꿈비, 유아제품 본업과 시너지 기대
- 교보생명 신창재 회장, 신한증권·한국증권서 돈 빌린다
- [한성에프아이는 지금]수익성 지속 하락, '온라인·아울렛' 신규 먹거리로
- [트럼프발 관세전쟁]K푸드 주역 '라면 3사', 생산 전략 재편할까
- [트럼프발 관세전쟁]현실화된 무역 장벽, K푸드 현지 생산 기업 '주목'
황선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 기대작 프리뷰]체급 커진 NHN, 북미 개척 닻 올린다
- [2025 기대작 프리뷰]크래프톤, 'AI 게임' 새 지평 여나
- [게임사 기초체력 분석]'블레이드키우기' 모비릭스, 고정비 부담 탈피 숙제
- [게임사 기초체력 분석]엠게임, '열혈강호' 훈풍에 달라진 재무구조
- [2025 기대작 프리뷰]넷마블, '왕좌의게임'으로 연타석 홈런 정조준
- [2025 기대작 프리뷰]인디게임 찾는 네오위즈, 목표는 'IP 부자'
- 굳건해지는 민용재·장현국 '지분 동맹'
- 위메이드 신작 '이미르', 무과금 이용자까지 잡는다
- 탑코미디어, 재도약 승부수 '탑툰 합병'
- 변하는 게임업계, 안 변하는 C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