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2년 05월 24일 07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친숙한 이름이 다시 돌아왔다. 하영구 전 전국은행연합회 회장이 블랙스톤(Blackstone)의 한국 회장으로 자본시장에 화려하게 복귀했다. 세계 최대 대체투자자산운용사와 한국 금융계 거물의 만남은 심상치 않게 받아들여진다.블랙스톤이 하 회장을 영입한 이유로는 단연 '네트워크'가 꼽힌다. 한미은행장을 역임한 뒤 한국씨티은행을 10년간 이끌어 '직업이 은행장'이라 불린 인물이다. 2017년 11월 은행연합회장에서 물러난 뒤 SK하이닉스 이사회 의장을 맡았다. 그의 네트워크는 재계, 금융계뿐 아니라 법조계까지 다양한 영역에 깊이 침투해 있다. 바다 건너 월가까지 인맥이 자리 잡고 있다.
하 회장의 커리어에서 가장 빛났던 순간은 국가가 경제위기를 맞이했을 때다.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 당시에 정부는 주요 경제대국과 통화스와프를 추진했다. 하 회장은 월가는 물론 워싱턴 조야까지 접촉하며 평생에 걸쳐 쌓은 네트워크를 쏟아부었다.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을 막후 조력하며 한국경제의 결정적인 순간에 이름을 남겼다.
이번에는 한국시장에서 별다른 활약을 하지 못한 블랙스톤의 구원투수가 되면서 또 다른 의미로 이름을 새겼다. 그간 블랙스톤은 한국에서 존재감이 미약했다. 한국법인은 유지했지만 2014년에는 사무소를 철수하며 쓴맛을 보기도 했다.
그러는 동안 글로벌 경쟁사인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칼라일그룹, 텍사스퍼시픽그룹(TPG) 모두 국내에서 꾸준한 투자 성과를 거두며 블랙스톤의 가슴을 시리게 했다. 경쟁사들은 하 회장과 같은 금융계 고위 인사를 회장으로 영입하지 않았다. 그를 선임했다는 사실을 공표하는 행위 자체가 이번에는 부진을 만회하겠다는 강한 의지의 '선언'인 셈이다.
하 회장의 앞에는 쉽지 않은 과제가 많다. 광범위한 네트워크로 외부의 일을 해결하는 것은 일차적인 문제다. 내부에서도 역할이 필요하다.
그간 국내 투자를 이끌어 온 국유진 한국 PE부문 대표의 고민과 과제를 보듬어야 한다. IB업계에 따르면 국 대표 역시 큰 목표가 있지만 여러 제약으로 괄목할 성과가 없었다. 김태래 부동산부문 대표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하 회장은 두 대표가 투자활동을 하는 데 있어 의사결정에 힘을 실어주는 역할을 자임할 필요가 있다.
하 회장은 지난주 미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 지난달 블랙스톤 한국 회장으로 정식 취임한 뒤 사실상 첫 해외 출장이다. IB업계에서는 그가 이번 출장에서 글로벌 본사와 소통하는 동시에 현지에서 보유한 네트워크에도 다시 한번 숨을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한다.
그는 이달 말 귀국해 본격적으로 업무를 시작한다. 하 회장을 전면에 내세운 블랙스톤이 앞으로 한국 자본시장에서 반전을 이룰지, 그리고 그의 활약에 한국경제는 무엇을 얻게 될지 주목된다. 얽히고 섥힌 내외부의 이해관계 속 '윈윈' 구조를 추구할 그의 노련한 가교 역할을 지켜볼 일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해성옵틱스, 갤럭시S25·S26에 카메라 모듈 공급
- [i-point]폴라리스AI파마,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 [WM 풍향계]리테일 경쟁 격화, 성장 전략 색깔차 'PB vs 센터'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밸류시스템, 수익률 선방…'내러티브 숏' 집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펀더멘털 롱숏' 구도운용, 라인업 확충 박차
- [Product Tracker]쿼드운용 프로젝트펀드, 루닛 하락에도 웃음짓는 이유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i-point]경남제약, '칼로-나이트 Relax' 출시
- 동진쎄미켐, 3세 '이종호' 경영 전면 등판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삼성전자, DX부문 발빠른 재정비 '노태문 등용'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
- [thebell interview]김종윤 비버웍스 대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경쟁력 확고"
- 비버웍스, 시장 격변 넘을 카드 '토털솔루션·인하우스'
- 삼성전자, DX부문 공백 최소화 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