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 원자력 리부트]뉴스케일파워 미국 상장...SMR 신사업 전략은⑤지분법이익보다는 사업기회 '확장' 기대...제작 협력관계 확대 방침
김서영 기자공개 2022-07-21 07:36:36
[편집자주]
두산그룹의 원자력 사업이 최근 새 국면을 맞았다. 올해 5월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전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백지화' 됐다. 유럽연합(EU)에서는 원자력 발전을 친환경 사업으로 보고 그린 택소노미에 포함시켰다. 때마침 두산그룹도 채권단 관리 체제에서 벗어나면서 원전 사업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다. 더벨이 두산그룹의 원자력 사업 '재시동(reboot)' 행보를 살펴봤다.
이 기사는 2022년 07월 19일 16시0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원자력 사업은 개별 기업이 아닌 국가에서 주도하는 사업이다. 정부가 수립한 에너지 정책을 바탕으로 한국전력공사(한전)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수주 경쟁에 뛰어들어 계약을 체결한다. 국내 원전 건설이나 해외 원전 수출 모두 마찬가지다. 주기기를 생산하는 협력사인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의 '운신의 폭'이 넓지 않다는 의미다.이 가운데 두산에너빌리티가 의지를 가지고 자체적으로 원전 사업을 펼칠 수 있는 민간 영역이 존재한다. 바로 지분 투자를 통한 수주 물량 확보다. 2019년 7월 뉴스케일파워 주식을 47억3700만원어치 매입했다. 지분율은 0.49%다. 지분 투자를 통해 뉴스케일파워가 진행하는 미국 및 세계 원전 시장 SMR 건설 사업에서 3조원 규모의 핵심 기자재 공급권을 확보했다.
뉴스케일파워는 2007년 설립된 원자력 설계 회사다. 특히 '소형모듈원자로(SMR·Small Modular Reactor)'를 개발한다. SMR이란 전기 출력이 300MWe(메가와트) 이하인 소형 원전을 뜻한다. SMR은 송전망이 충분하지 않거나 외딴 지역에 소규모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개발됐다. 대형 원전의 핵심 기기인 원자로, 증기 발생기, 냉각재 펌프, 가압기 등이 하나의 용기에 일체화돼 크기를 줄일 수 있었다.

뉴스케일파워는 올해 5월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에 성공했다. SMR 기업 중 최초 상장 사례다.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스프링밸리어퀴지션 코퍼레이션(Spring Valley Acquisition Corporation)과 합병 후 상장했다. 뉴스케일파워는 합병을 통해 유치한 3억4100만달러를 포함해 모두 3억8370만달러 규모의 자본을 조달했다. 충분한 자금을 확보해 중장기 사업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원전업계 관계자는 "뉴스케일파워에 투자한 재무적투자자(FI)들이야 당연히 상장했을 때 지분 가치가 올라가니까 이익을 보게 된다"며 "다만 두산에너빌리티나 삼성물산, GS에너지의 경우 지분법이익은 부수적인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들 회사는 그보다 뉴스케일파워와 함께 사업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 주목적"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원전 시장에서 가장 잘 나가는 SMR 설계 기업을 꼽는 척도는 '투자'다. 투자금이 많이 몰리면 그만큼 기술력을 인정받은 것으로 간주한다. 뉴스케일파워가 상장에 성공해 사업 영역이 확장되고 물량이 커지면 두산에너빌리티도 물량을 더 많이 따낼 수 있다. 지분 투자로 조단위 기자재 공급권을 확보했는데 이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뉴스케일파워와 협력 관계를 더 견고히 굳히고 있다. 이들은 올해 4월25일 SMR 주기기 제작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를 두고 원전업계에서는 SMR 분야의 기업간 협업에서 한미가 한발 앞선 행보를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번 협약으로 두산에어빌리티는 2029년 준공을 목표로 뉴스케일파워가 미국 아이다호주에 추진 중인 'UAMPS(Utah Associated Municipal Power Systems) 프로젝트'에 공급할 SMR 본제품 제작에 착수한다. 또 올해 하반기 SMR 제작에 사용되는 대형 주단 소재 제작을 시작하고 내년 하반기 중 본격적으로 SMR 본 제품 제작에 돌입할 예정이다.
앞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SMR 제작 협력 사업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9월 뉴스케일파워 외에도 미국 엑스에너지(X-energy) 등과 SMR 제작·설계 용역 계약을 맺었다. 현재 SMR의 주기기 제작 참여를 추진 중이다. 글로벌 SMR 시장 공략과 사업 다각화를 위해 제작 설비 확대를 위한 투자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SMR을 비롯한 원전 사업에 5년간 1조원 투자를 배정해뒀다.
원전업계 관계자는 "뉴스케일파워는 미국뿐만 아니라 수출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중동이나 유럽 등 SMR이 필요한 나라에 영업을 열심히 하고 있다"며 "납품처는 뉴스케일파워지만 이들이 SMR 설치하는 어딘가에 두산에너빌리티의 제품이 설치되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SMR 분야에서 연 평균 4800억원을 수주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중장기 수주 목표로는 1조7000억원으로 설정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밸류업 성과 평가]조선업 활황에…HD현대그룹 상위권 '독식'
- 조선업 호황과 CFO 시험대
- [판 바뀐 종투사 제도]대대적 손질…모험자본 확대·건전성 강화 '방점'
- [이슈 & 보드]한화에어로, 이사진이 요구한 공모 유증 규모 축소
- [주류 스마트오더 점검]데일리샷 김민욱 대표 "주류 이커머스 잠재력, 여전히 유효"
- [ROE 분석]교보생명, '전략'이 만든 역대 최대 자기자본이익률
- 메가스터디교육, 주주환원 첫 해 이행률 초과달성
- [Company Watch]'비유가공' 키우는 매일유업, 수익성 방어 '방점'
- [조선업 리포트]현금여력 키운 HD현대마린엔진, 차입금 전액 상환
- [판 바뀐 종투사 제도]현실화 된 IMA '미래에셋 vs 한투' 2파전 가시화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HL디앤아이한라, 지방주택 현장 공사비 회수 '착착'
- [건설리포트]동문건설, 수주목표 '1.2조' 실적 반등 나선다
- 인창개발, 가양동 CJ 공장부지 매입 5년 만에 착공
- [디벨로퍼 리포트]KT에스테이트, '호텔사업 호조'에 역대 최대 실적
- [Company Watch]GS건설, 해외 모듈러 신사업 '외형 확장' 성과
- [건설리포트]부영주택, 저조한 분양 탓 수익성 회복 고전
- [thebell note]모듈러 주택, 진가를 발휘할 때
- [건설리포트]우미건설, '분양 호조' 힘입어 외형 성장
- [건설부동산 줌人]신영부동산신탁, '증권 출신' 김동현 신탁사업부문장 낙점
- [이사회 분석]GS건설, 다시 여는 주총…사외이사 '재선임'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