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관계 얽힌' MBK·우리은행, MG손보 인수 완주할까 롯데카드 인수 협업, 엑시트 과정 소통 중요…금융당국 별도 매각 추진·소송전 지속 부담
김경태 기자공개 2022-10-27 08:01:47
이 기사는 2022년 10월 26일 14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MG손해보험(이하 MG손보) 대주단 주도로 MG손해보험 경영권 매각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MBK파트너스가 관심을 보이면서 실제 거래 성사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MBK파트너스는 MG손보 대주단 중 한 곳인 우리은행과 롯데카드 인수합병(M&A) 건으로 얽힌 이해관계자라는 점에서 더 주목받는다.다만 최근 금융당국에서 대주단과는 별개로 MG손보 매각을 추진하고 있고, 가처분 소송 외에 본안소송까지 속도가 붙고 있다는 점이 변수가 될 전망이다.
26일 투자업계에 따르면 MBK파트너스는 대주단 주도로 추진하고 있는 MG손보 M&A에 인수 의사를 밝히고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 MBK파트너스 외에 홍콩계 구조조정 전문 펀드인 'SC로이'도 MG손보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동북아 최대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다. 과거 금융사 M&A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MBK파트너스는 2019년 한앤컴퍼니를 비롯한 복수의 경쟁자를 제치고 롯데카드를 인수했다.
다만 IB 및 금융계에서는 MBK파트너스가 대주단 주도의 MG손보 매각 절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위원회가 MG손보를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한 후 예금보험공사를 내세워 대주단과 별도로 매각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사안에 밝은 관계자들에 따르면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되는 경우 예금보험공사에서는 해당 보험사에 대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하며 감자(자본감소)를 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다.
예금보험공사가 MG손보 새 주인 후보자를 구하면 감자 후 신주 인수 형식으로 매각이 이뤄진다. 회생절차(법정관리)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원매자 입장에서는 더 낮은 가격에 인수할 공산이 크다. 이 경우 현재 대주단의 투자금 회수(엑시트)는 사실상 어려워진다.

최근 금융당국과 JC파트너스간 소송전이 벌어지고 있다는 점도 원매자들에 부담이 될 부분이다. JC파트너스는 서울행정법원에 부실금융기관 지정 효력 정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했고 올 5월 1심에서 승소했다. 하지만 올 8월 진행된 2심에서는 서울고등법원 행정10부가 1심을 뒤집고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 현재 3심이 진행 중이다.
여기에 JC파트너스가 제기한 본안소송도 본격화되고 있다. 서울행정법원은 MG손보와 JC파트너스가 제기한 '부실금융기관결정 등 취소' 소송의 첫 변론기일을 내달 17일로 결정했다. 올 4월 14일 소송이 접수된지 약 7개월만이다.
그럼에도 MBK파트너스의 행보가 주목받는 배경에 우리은행과의 관계성이 있다. MG손보와 관련해 우리은행은 투자금을 회수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MBK파트너스 입장에서는 롯데카드 매각을 위해서 우리은행과의 협업이 중요하다.
우리은행은 2019년 MBK파트너스가 롯데카드를 인수할 때 컨소시엄에 참여해 지분 20%를 확보했다. 그 후 MBK파트너스는 올 여름 롯데카드 엑시트를 본격화했고 9월초 예비입찰을 실시했다. 하지만 가장 강력한 후보로 거론됐던 우리은행이 불참을 선언하면서 김이 샜다. 현재 롯데카드의 새주인 후보자가 나타났다는 소식을 들리지 않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호실적' LG전자, 질적 성장 '진검승부' 남았다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DX부문 첫 실적·후속인사 '고차방정식'
- [상호관세 후폭풍]한숨돌린 삼성·SK? 중국·대만 여파에 보조금 협상 '고심'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