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PF 리스크 점검]SK에코플랜트, '환경·에너지' 덕에 PF 우발채무 걱정 벗었다주택사업 수익 대신 '신사업' 안정성 챙겨, 건설업 리스크 커지자 '빛'
정지원 기자공개 2022-11-23 07:38:11
[편집자주]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냉각되고 있다. 시장 호황기 공격적으로 사업 기회를 늘렸던 건설사들은 걱정이 많다. PF 우발채무가 늘어난 가운데 착공 지연, 분양 악화 등으로 각종 리스크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주요 건설사들의 PF 우발채무 규모와 재무 대응력을 들여다봤다.
이 기사는 2022년 11월 21일 15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건설사들에게 PF 우발채무가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하지만 SK에코플랜트는 이 같은 우려와 무관한 모양새다.공식적으로 집계할 만한 PF 우발채무가 사실상 없다. 주택 사업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각종 신용보강을 늘려온 건설사들과 달리 환경·에너지 분야로 사업 모델을 전환한 덕분으로 풀이된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상반기 연결기준 SK에코플랜트가 사업비 대출과 관련해 시행사, 재개발·재건축조합, 민간투자사업법인에 제공한 전체 신용보강 규모는 4조2010억원으로 집계된다.
공식적으로 PF 우발채무에 속하는 금액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과 신평사는 정비사업과 SOC사업에 대한 신용보강은 리스크가 낮다고 보고 있다. 미분양, 미착공 등 건설업 환경 악화로 인한 영향을 덜 받는다는 이유다.
SK에코플랜트가 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재개발·재건축조합과 SOC사업을 진행하는 민간투자사업법인에 제공한 신용보강 금액은 각각 8050억원, 1570억원이다. 총 9620억원 수준이다.
나머지 3조2390억원은 시행사 및 재개발·재건축조합에 제공한 책임준공 규모에 해당한다. 도급사업, 정비사업 등 사업 유형과는 무관하게 책임준공 역시 PF 우발채무 산정 시 제외된다. 책임준공은 공사기간 내 건축물을 준공할 의무를 뜻한다. 미이행시 시공사가 부담하는 책임이 손해배상 의무에 불과하다.
SK에코플랜트는 PF 부실화 우려가 큰 도급 및 개발사업을 진행하는 시행사에 책임준공을 제외하고 지급보증이나 자금보충을 제공하지 않았다. 상반기 연결기준 리스크가 큰 PF 우발채무가 없다는 의미다.
사업 행보로 봤을 때 당연한 결과다. 전통적인 건설업을 탈피해 환경·에너지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국내외 신재생 에너지 기업, 폐기물 업체를 인수하는 등 관련 투자를 늘리고 새로운 수익 모델 구축에 힘써왔다.
환경·에너지 사업 매출 비중도 꾸준히 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13%를 기록했다. 1분기 11%보다 늘어난 수치다. 3분기에도 17%를 기록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연 매출 기준 20% 이상 확대를 전망한다.
새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미리 움직인 덕에 건설업 불확실성으로 인한 리스크를 피했다는 평가다. 최근 불어난 PF 우발채무로 걱정이 커진 건설사들은 대부분 시공 이익 확대를 목적으로 본 PF 전 브릿지론에서 대규모 신용보강을 제공한 곳들이다.
PF 부실화로 인한 유동성 위기는 가능성이 낮다. 다만 신사업 투자 과정에서 차입금이 늘어난 점은 우려된다. SK에코플랜트의 내년 만기 도래 회사채 규모는 6000억원으로 집계된다. 절반인 3000억원의 상환이 상반기 예정돼 있다.
재무완충력도 충분하다. 상반기 연결기준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조130억원으로 나타났다. 내년 만기 도래 회사채를 전부 현금 상환해도 충분한 수준이다. 올해 금리 급등으로 인해 대형 건설사들이 회사채 현금 상환을 결정하는 사례가 늘어났다.
부채비율은 200%대까지 떨어졌다. 내년 하반기로 예정된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재무건전성 확보에 주력한 영향이다. 상반기 연결기준 336%로 직전 분기보다 26%포인트 감소했다. 3분기 말에도 264%로 추가 하락하는 등 올해 들어 부채비율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 피보나치·모간스탠리, '싱가포르 VCC'로 돈줄 푼다
정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하나자산신탁, 상장리츠 출시 '청신호'…AUM 5000억
- [부동산자문사 리포트]CBRE코리아, 외형 유지 성공…수익성 저하
- 이지스자산운용, AP타워 매각 본격화
- 포스코이앤씨, 1300억 사채 차환…금리 3%대 도전장
- '합병 5년차' HDC랩스, 수익성 개선 '과제'
- [건설부동산 테크기업 톺아보기]곽세병 레디포스트 대표 "도시정비 토탈 솔루션 목표"
- 디앤디플랫폼리츠, 수송스퀘어 우선주 130억 투자
- [이사회 분석]롯데리츠, 'IB·회계사' 2인 감독이사 선임 '이례적'
- [상장 리츠 리포트]롯데리츠, 주당 배당금 증가세 속 112원 책정
- [부동산자문사 리포트]'토종 자문사' 교보리얼코, 전년비 영업익 30%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