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금융 Forum]"여전사 유동성 리스크 잔존…ALM 강화로 대응"이성희 금융감독원 여신금융감독국 건전경영팀장
최필우 기자공개 2023-01-27 09:46:13
이 기사는 2023년 01월 26일 15시2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감독원이 올해 여전사 유동성 리스크 관리를 강화한다. 기업에 유동성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끔 자기자본 확충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급한 불을 끈 뒤에는 ALM(자산·부채 만기구조 관리) 툴을 강화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26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3 더벨 금융 포럼'에서 이성희 금융감독원 여신금융감독국 건전경영팀장(사진)은 "지난해 12월 여전사 조달 환경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으나 아직 조심스럽다"며 "금리 상단이 확인되지 않은 만큼 선제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것"라고 말했다.

이 팀장은 여전업계 전반적인 상황을 살피고 성장 추이 만큼은 여전히 견조하다고 진단했다. 카드사와 캐피탈사 자산 총계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409조원으로 집계됐다. 2017년 245조원, 2018년 267조원, 2019년 292조원, 2020년 320조원, 2021년 365조원에 이어 6년 연속 자산 성장을 달성한 것이다.
수익성도 선방했다. 지난해 카드사 순이익은 3분기 누적 기준 2조2787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2.4% 성장했다. 비 카드사의 경우 2조8931억원으로 9.6% 감소했지만 유가증권 평가액 변동에 따른 감소분을 제외하면 큰 차이가 없거나 소폭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이 팀장은 "여전업계는 지난해 어려운 영업 환경을 잘 이겨냈다"며 "자산 규모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건전성 악화 조짐이 나타다고 있다. 캐피탈사 연체율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0.96%로 전년도 말에 비해 10bp 상승했다. 같은 기간 카드사 연체율은 1.06%로 3bp 하락했으나 이 팀장은 이 같은 개선 추세가 이어지는 건 사실상 어렵다고 봤다.
가장 큰 문제는 유동성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다. 여전사는 주로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지난해 여전채 순발행 규모를 보면 하반기 들어 순발행이 크게 축소됐다. 비 카드사 순발행 규모는 9월 마이너스(-) 1조5000억원, 10월 -2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이후 채안펀드 가동 등 시장 안정화 조치가 내려지면서 상황이 다소 나아졌다.
이 팀장은 "여전사는 회사채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비중이 꽤 높아 시장 불안에 따라 회사채 발행과 자금 조달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며 "지난해 여신금융감독국 차원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모니터링을 한 것도 여전사 유동성"이라고 말했다.
이 팀장은 올해도 유동성 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경고했다. 여전채 만기 도래로 차환 발행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 금리 불확실성 및 건전성 악화 우려가 재차 커진다면 시장 변동성은 언제든 확대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취약차주 상환 부담 증가에 따른 신용리스크 확대도 유의해야 할 점으로 꼽혔다. 금리 인상이 지속될 경우 취약차주 상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고위험자산 부실 현실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팀장은 "이자 부담이 커지면서 취약 지점에서 신용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을 재베할 수 없다"며 "특히 PF 관련 리스크가 불거지지 않도록 면밀히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면밀한 관리를 넘어 리스크 관리 툴(tool)을 고도화하는 방안도 구상하고 있다. 자산과 부채 만기 구조를 관리하는 ALM 모델을 정교하게 발전시키면 리스크 관리 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팀장은 "현재 긴급하다고 여겨지는 유동성 리스크 등이 어느정도 해소되면 리스크 관리 툴 발전을 추진하고 싶은 마음"이라며 "리스크 관리 툴의 경우 자세한 방안이 나오진 않았지만, 충당금 측면에서 자산별로 더 적절한 금액을 도출해낼 수 있을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해외 법인장 인사 '성과주의 도입' 효과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카자흐, 2년 연속 '퀀텀점프' 성장 지속가능성 입증
- [thebell note]김기홍 JB금융 회장 '연봉킹 등극' 함의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명확해진 M&A 원칙, 힘실릴 계열사는 어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베트남은행, 한국계 해외법인 '압도적 1위' 지켰다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밸류업 재시동 트리거 '비은행 경쟁력'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NH농협, '보험 전문가' 후보군 꾸렸지만 선임은 아직
- [하나금융 함영주 체제 2기]'40년 커리어' 마지막 과업, 금융시장 '부채→자본 중심' 재편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JB금융, 사외이사 후보군 '자문기관 위주' 전면 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