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러스트-클레이튼 조직 대이동…규제천장 뚫는다 크러스트 주요 인력 클레이튼 재단으로 이동…블록체인 사업 속도 개선 목적
노윤주 기자공개 2023-02-15 13:51:19
이 기사는 2023년 02월 14일 07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카카오 블록체인 계열사인 크러스트와 클레이튼 재단 사이 조직 변동이 발생한다. 크러스트에서 블록체인 사업을 진행하던 주요 인원이 클레이튼 재단으로 소속을 변경한다.크러스트 측은 독립 법인이자 해외에 거점을 둔 클레이튼을 통해 블록체인 사업 확장 속도를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적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하반기 가상자산 클레이(KLAY) 가격 하락으로 인해 두통을 앓았던 클레이튼 생태계가 빠른 속도로 회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카카오 산하 블록체인 조직 한 번 더 변화…'크러스트→클레이튼 재단' 인력 이동
14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크러스트에서 근무하던 주요 인력들이 클레이튼 재단으로 적을 옮긴다. 이에 따라 크러스트는 자연스럽게 조직 축소를 진행한다.
크러스트는 카카오의 종속 자회사로 블록체인 '클레이튼'의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싱가포르에 법인을 두고 있으며 지난 2018년 설립된 동명의 법인 '클레이튼(Klatn Pte. Ltd)'이 전신이다. 2021년 국내 자회사인 그라운드X가 클레이튼 개발 사업을 크러스트로 모두 이관하면서 구체적인 사업 윤곽을 드러냈다.
2021년 말 이후 블록체인 기술 및 기반 서비스 개발은 크러스트가, 코인 발행과 관련한 사안은 클레이튼 재단이 관리하는 체제로 변했다. 현재 그라운드X는 전자지갑 클립 및 대체불가토큰(NFT) 사업에만 집중하고 있다.
크러스트와 클레이튼 재단의 가장 큰 차이점은 카카오 계열사 여부다. 크러스트는 카카오가 지분 대다수를 갖고 있는 반면 클레이튼 재단은 독립법인이다. 재단 측에서도 카카오가 빠진 탈중앙화 체제로 운영되는 법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규제로 막혔던 사업, 독립법인 클레이튼 재단으로 뚫는다
이번 조직 이동의 가장 큰 이유는 규제 때문이다. 크러스트는 모회사인 카카오가 있어 적극적으로 블록체인 사업을 펼치기 어려운 구조다. 해외 법인이지만 국내 가상자산 규제 문제를 모두 팔로업 하고 있다.
한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블록체인은 글로벌 시장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빠른 의사 결정으로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는 게 중요하다"며 "크러스트의 경우 모회사를 거쳐야 해 의사결정 속도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모기업에 타격을 주면 안 되기 때문에 국내 규제를 최대한 준수해야 해 글로벌 트렌드로 떠오르는 일부 탈중앙화 사업을 진행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간 클레이 유통 및 클레이 활용 투자에 집중했던 크러스트 재단의 역할에도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국내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다는 이점을 살려 탈중앙화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조직 이동으로 크러스트는 사업을 일시 중단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됐다. 지난달 크러스트로 출근하는 인력이 급감했다는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크러스트 측은 "전혀 아니다"라고 강하게 부인했다.
크러스트 관계자는 "재택근무가 주가 되는 새로운 형태의 근무방식을 점진적 도입 중"이라며 "이로 인해 오해가 발생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크러스트는 사업을 이어간다"며 "규제 틀 안에서 할 수 있는 사업을 펼쳐보자는 기조"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회생 딛고 올라선 원일티엔아이, 10년간 알짜 이익
- [Company Watch]지란지교시큐리티, 순손실 배경 'SSR' 영업권 손상
- 삼성·LG 'OLED TV' 확전에 정철동 웃는다
- '펀딩 3관왕' 트리거투자, 조력자 '유경원 상무' 눈길
- [VC 투자기업]뱅카우, 22일 4호 공모청약…5호부터 복수계좌 도입
- [thebell interview]황상연 HB인베 PE본부장 "차별화된 투자·밸류업 방점"
- [VC 투자기업]이플로우, 프리시리즈A 시동…독일법인 세운다
- [VC 투자기업]아토리서치, 적자 확대에 IPO 시계 늦춰졌다
- [동상이목(同想異目)] '아보하' 시장이 그립다?
- 상장 문턱서 좌절한 원유니버스, 넥써쓰가 일으키나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K스퀘어의 새판짜기]티맵 이사회, '밸류업' 전문가 구성…IPO 성공 밑작업
- [SK스퀘어의 새판짜기]'핵심 관리 대상' 11번가, 스퀘어 임원 대거 투입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소액주주 늘어난 두나무, RSU 규정 보완 '숙제'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홍관희 CISO 2년, 재정비 노력에도 '고객신뢰' 문제 상존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권준혁 NW부문장, 효율화 vs 통신품질 '균형' 숙제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관 출신' 권용현 전무, 하락세 기업부문 살리기 미션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이상엽 CTO, 플랫폼 실패 딛고 'AI 성장' 도모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이재원 부사장, AI 글로벌 항로 개척 '미션'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KB 연동 일주일, 점유율 반등 '절반은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