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부동산자문사 점검]닻 올린 알스퀘어 투자자문본부, 데이터 경쟁력 승부수②2021년 말 본부 신설, 이윤영 상무 영입…매입 자문 '두각'
정지원 기자공개 2023-06-07 07:36:50
[편집자주]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외국 자본이 본격적으로 유입됐던 IMF를 기점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외국계 자문사들이 국내 시장에서 '톱랭킹'을 차지하며 뛰게 된 배경이다. 이처럼 글로벌 하우스들이 이끌어가는 시장 이면에서 국내 업체들도 각기 다른 강점을 앞세우며 경쟁력을 발휘하고 있다. 토종 부동산자문사들의 강점과 주요 전략은 무엇인지, 또 각사에서 뛰고 있는 핵심 인력들은 누구인지 등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3년 05월 31일 07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알스퀘어는 토종 부동산자문사 중에서는 막내격이다. 대기업 그룹의 자산관리회사에서 출발한 곳들과 달리 2009년 프롭테크 업체로 처음 문을 열었다. 이제는 종합부동산서비스 회사로 더 큰 도약을 준비 중이다.투자자문본부는 알스퀘어 내에서도 성장 가능성이 큰 곳으로 꼽힌다. 2021년 말 업계 베테랑 이윤영 상무가 합류한 뒤 지금의 본부가 갖춰졌다. 매입·매각 자문 시 알스퀘어만이 확보하고 있는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투자자문본부, 쿠시먼 출신 이윤영 상무 총괄
알스퀘어는 프롭테크 업체 중 유일하게 종합부동산서비스 회사로 사세를 키웠다. 국내외에서 확보한 30만건 이상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각도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IT △임대차 △매입·매각 △자산관리 △리서치/컨설팅 △인테리어/리모델링 △해외 등 7개 사업부문을 통해 원스톱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투자자문본부는 올해와 내년 본격적으로 시장에서 활약할 것으로 보인다. 2021년 말 진영을 갖춘 뒤 성장을 위한 준비를 마친 상태다.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를 맞았지만 오히려 다양한 고객사들과 폭넓게 접촉하는 등 향후 사업을 위한 네트워킹을 차곡차곡 쌓아왔다.
본부 구성의 첫 단추는 이윤영 상무 영입이었다. 이 상무는 2021년 하반기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 캐피탈마켓본부에서 알스퀘어로 자리를 옮겼다. 알스퀘어 투자자문본부 총괄 자리를 맡은 뒤 함께할 팀원들을 직접 뽑는 등 조직력 강화에 힘 썼다.
이 상무는 15년 이상 부동산업계에서 업력을 쌓으며 시행, 투자·운용, 자문 등 업무를 두루 경험한 베테랑이다. 중앙대학교 건설환경공학 학사, 한양대학교 도시공학 석사를 졸업한 뒤 2007년 디벨로퍼 청원건설에 입사했다. 2012년 제이알투자운용, 2015년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 2021년 알스퀘어로 업력이 이어진다.
◇방대한 데이터 바탕 '매입 자문' 역량 두각
알스퀘어 투자자문본부는 산하 3개 팀으로 구성됐다. △투자자문팀 △매입매각팀 △빅데이터컨설팅팀에서 총 30명 이상의 팀원이 함께 하고 있다. 투자자문팀은 1000억원 이상 규모의 중대형자산에 대한 매입매각 자문을 담당한다. 매입매각팀은 200억~500억원 규모 자산의 중소형에셋을 맡고 있다.
마지막 빅데이터컨설팅팀은 경쟁사 투자자문본부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조직이다. 통상 부동산 자산을 거래할 때 법률·재무·감정·물리 등 실사를 진행하는데 이때 시장 환경 조사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알스퀘어는 디테일한 부동산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문을 제공해 자산관리회사(AMC)의 딜 클로징을 돕고 있다.
매입 자문 역시 알스퀘어 투자자문본부의 강점으로 꼽힌다. 통상 부동산 거래는 매각 자문에서 시작한다. 매도자가 투자 회수를 원할 때 자문사를 선정하고 자문사가 매수자를 찾아주는 순서다. 알스퀘어는 반대로 빌딩 매입을 원하는 고객사에 적절한 매물을 찾아주는 매입 자문 역량이 뛰어나다.
매입 자문은 투자 대상이 정해지지 않은 거래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자문 난이도가 더 까다로운 편이다. 이 때문에 경쟁 자문사의 경우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해 엑시트 의지가 있는 건물주나 투자자, 자산관리회사를 연결해 주는 정도에 그친다.
반면 알스퀘어는 매입 물건을 찾는 일이 어렵지 않다. 알스퀘어 데이터는 건물주의 자산 매각 니즈, 남은 임대차 기간 등 상세한 내용을 포괄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유 데이터를 활용하면 매물로 나온 자산 외에도 매각을 타진할 수 있는 자산까지 추려낼 수 있는 셈이다.
알스퀘어는 전사 차원에서 이 같은 데이터를 유료화해 투자자 및 자산관리회사에 제공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 중이다. 리서치센터와 제품개발팀이 상업용 부동산 분석 솔루션 '알스퀘어애널리틱스(RA)'를 개발했다.
RA는 공급 추이, 임대 동향 및 임대료, 공실률 등 공급·임대·매매 정보를 모두 지도상에 표시한다. 이미 이지스자산운용과 코람코자산신탁 등 국내 대표 부동산자산운용사와 공급 계약을 맺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오버행 리스크 체크]옵티코어, 주가반등하자 CB 투자 엑시트 '우르르'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매각 급한 다보링크, 폐배터리 미래 먹거리 '글쎄'
- [유니콘 톺아보기]KCD, '한국소호은행' 출자 위한 투자유치 언제 나설까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모태펀드 영화계정 GP 전원 탈락…재공고 효과 있을까
- S&S인베, 온플랫폼 투자 손실…고강도 자구책 마련
- [LP Radar]'2년차' 하나벤처스 민간모펀드…GP당 출자액 늘었다
- K-AI 스타트업, 연이은 글로벌 스포트라이트
-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지금]'닥터지'로 그려낸 성장 곡선, 3000억 시대 향한다
- [뉴파워프라즈마 줌인]'계열사 1호 상장' 도우인시스, 상각비 탓 EBITDA 방식 채택
- [코스닥 유망섹터 지도]'1조 수주' 비에이치아이, HRSG 글로벌 공급 부각
정지원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HDC현산, 턴어라운드 시작…영업이익률 6% 돌파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HDC현산, 채권 회수 리스크 '축소'…외형 성장 예고
- 롯데리츠, '선배당후투자'…밸류업 약속 이행
- 美 멀티패밀리 투자사 GL캐피탈, 한국 시장 진출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포스코이앤씨, 우발채무 1조 미만…리스크 미미
- [PF Radar]케이리츠운용, PF정상화펀드 활용…서초 개발 '본궤도'
- 대방건설, 동탄 디에트르 퍼스트지 오피스 재투자
- HDC, '부동산114 판교 오피스' 남겨 놓은 까닭은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BS한양, '비주택' 비중 확대…리스크 '미미'
- [건설사 미수금 모니터]BS한양, 에너지기업 도약 박차…공사미수금 감소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