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반건설, 호반산업 맡던 신재생에너지 '직접 영위' 신규 사업목적 추가, 대한전선 등과 시너지 구상
전기룡 기자공개 2023-12-11 10:18:35
이 기사는 2023년 12월 08일 14시3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호반건설이 신재생에너지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기존에는 호반산업이 신재생에너지를 전담해왔지만 그룹 차원에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대한전선을 인수한지 3년차를 맞이한 시점에서 본격적인 시너지를 내기 위한 목적도 담겼다.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호반건설은 '산업환경설비공사업'과 '신재생에너지발전사업', '발전시설 설치공사 및 개발사업', '발전시설 유지·보수업'을 신규 사업목적으로 추가했다. 과거 호반건설을 주축으로 계열사들을 흡수합병하는 과정에서 사업목적이 늘어났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
그룹 차원에서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목적이 컸다. 그간 호반그룹 내에서는 호반산업이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주도해 왔다. 일찍이 '해외 자원 및 에너지 개발사업', '산업·환경설비공사업', '토양 및 지하수 정화업' 등의 사업목적을 마련한 배경에도 호반산업을 주축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뛰어들겠다는 복안이 깔려있다.
외부인력을 유치할 때도 호반산업을 활용했다. 2018년부터 2021년까지 호반산업을 이끌어온 김진원 전 대표가 대표적이다. 1955생인 김 전 대표는 현대건설 토목환경사업본부, 현대엔지니어링 인프라사업본부에서 쌓은 이력을 토대로 호반산업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진출하는데 일정부분 기여했다.
'비금주민태양광발전'과 같이 성과가 가시화된 사례도 있다. 비금주민태양광발전은 2019년 동명의 특수목적법인(SPC)를 통해 추진된 사업이다. 주주로는 호반산업(15.1%) 외에 비금신재생에너지주민협동조합(40%), 한국수력원자력(29.9%), LS일레트릭(12%), 해동건설(3%) 등이 참여하고 있다.
주주 명단에서도 알 수 있듯이 비금주민태양광발전은 민·관·산이 협업해 진행된 지역주민 이익공유형 태양광발전소 사업이다. 전남 신안군 비금면에 위치한 230만여㎡ 염전 부지에 매년 27만메가와트(MW) 규모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인프라를 설치하는 걸 골자로 한다.
호반산업이 2518억원을 들여 대한전선 지분 40%를 인수한지 3년차를 맞은 시점이란 점도 호반건설이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한 사업목적을 추가한 배경이다. 해상 풍력발전 케이블에 뛰어난 역량을 지닌 대한전선과의 물리적·화학적 결합이 완료됐다는 판단 하에 그룹 차원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추진하기에 적기라고 판단했다.
최근 대한전선이 그룹 차원에서 새 먹거리를 확보할 때 자주 함께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의견에 힘이 실린다. 호반그룹이 지난 10월 사우디아라비아 경제사절단에 포함돼 모하메드 알-오자이미 그룹과 업무협약을 체결했을 때도 대한전선을 통해 현지에 초고압 케이블 생산 기지를 구축한 이후 주택·건설로 접점을 늘려가자는 협의를 이끌어냈다.
호반그룹 관계자는 "호반건설에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목적을 추가한 이유는 호반산업 위주로 사업을 주도하기 보다 그룹 차원에서 추진하자는 기조가 수립됐기 때문"이라며 "대한전선을 인수한지도 상당한 시간이 지난 만큼 그룹 차원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동인기연, 필리핀 바타안경제특구청과 협력 강화
- [i-point]태성, 임대공장 계약 "복합동박 장비 초도물량 대응"
- [상호관세 후폭풍]중국·베트남 생산비중 높은 HS효성, '고관세' 영향 불가피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동국산업, 손익 '엇박자'…영업흑자에도 순손실 300억
- [Red & Blue]무상감자에 관세 전쟁까지...'신저가' 찍은 KG모빌리티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고ROE와 상반된 PBR…중국공장 신설효과 기대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이사회 '오너 3세' 주축…'역할 분배' 뚜렷
- NH증권 점프업리그, 해외로 확장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KG스틸, 그룹내 '유동성 창출' 중심 부상
- KB국민은행, 가판대 대폭 조정…한·중 펀드에 힘
전기룡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R Briefing]쎄크 "고성장 신규 시장 타깃, 100년 생존기업 목표"
- 쎄크 창업주의 최종 목표
- 세라젬, 하이엔드 안마가전 '파우제 M10' 출시
- [Company Watch]KAI 체제 예고한 제노코, 최대주주 변경 절차 '아직'
- [i-point]SAMG엔터, 현대차와 대규모 유스 마케팅 '맞손'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서부T&D, 오너가3세 주축 시설관리 법인 출범
- [2025 서울모빌리티쇼]'UAM 낙점' 삼보모터스, 종합 모빌리티 그룹 목표
- [Red & Blue]'대웅체제 본격화' 시지메드텍, 주가 '꿈틀'
- [코스닥 주총 돋보기]'재선임' 우혁주 온타이드 대표, 적자 탈출 관건
- [코스닥 CB 만기도래]아이씨에이치, 첫 청구기간에 풋옵션 100%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