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태 2024 1차 정시출자]미달난 'M&A·세컨더리', PE 붙고 VC는 탈락[문체부] 미시간벤처 탈락, 사모펀드 운용사 노틱인베스트 홀로 생존…최소 400억 재출자
유정화 기자공개 2024-03-18 13:49:18
이 기사는 2024년 03월 18일 10시5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무혈입성이 점쳐졌던 모태펀드 1차 정시 출자사업 '인수합병(M&A)·세컨더리' 분야에서 탈락자가 나왔다. 벤처캐피탈(VC) 미시간벤처캐피탈이 서류 심사 문턱을 넘지 못했고 사모펀드(PEF) 운용사 노틱인베스트먼트가 단독 후보로 남았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PEF 운용사가 모태펀드 GP로 선정될 가능성이 커졌다.18일 한국벤처투자에 따르면 문체부 1차 정시 출자사업 서류심사 결과에 따르면 M&A·세컨더리 분야를 통과한 운용사는 노틱인베스트먼트 한 곳으로 나타났다. 노틱인베스트먼트는 모태펀드에 200억원의 출자를 요청했고 800억원 이상의 펀드를 조성하겠다는 목표다. 최소 결성액인 334억원을 훌쩍 웃도는 금액이다.
노틱인베스트먼트는 M&A, 바이아웃 딜에 강점이 있는 운용사다. 지난해 초 경색된 자금시장에서 1000억원대의 자금을 모아 스마트팩토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바이아웃 딜을 성사시키며 주목을 받았다. 또 지난해 8월 'IBK 성장 M&A 펀드' 5.5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한국성장금융으로부터 GP로 선정되기도 했다.

노틱인베스트먼트는 한국성장금융의 출자금 400억원을 시작으로 현재 2호 블라인드펀드 결성을 추진하고 있다. 앵커 LP를 확보해 목표 결성액의 상당수를 이미 확보했기 때문에 이번 서류 심사에서도 유리한 고지에 올랐다는 평가다. 이번 정기 출자사업은 결성시한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심사에서 펀드 조기결성 능력을 중대 우대사항으로 보고 있다.
이번 M&A·세컨더리 펀드는 M&A나 바이아웃을 위한 문화산업 중소·벤처기업 인수에 결성목표액의 40% 이상 투자해야 한다. 단 △단독 또는 전략적 투자자 등과 공동으로 최대주주 지위 확보 △등기임원의 과반수 선임 △대표이사를 선임하는 경우 중에서 1개 이상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투자한 기업이 중소·벤처기업 등을 인수하는 경우엔 위 조건들 중 하나라도 갖추면 중견기업에도 투자가 가능하다. 여기에 국내 문화산업 중소·벤처기업의 구주 인수에도 결성목표액의 20%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
M&A가 전문 분야인 사모펀드 운용사들이 최근 들어 정부 출자사업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는 분위기다. 예컨대 지난해 1차 정시 출자사업 문화 계정에서 유일한 PEF 운용사였던 ATU파트너스가 'K-문화 M&A' 부문 GP로 나우IB캐피탈과 함께 선정된 바 있다. M&A·세컨더리는 K-문화 M&A가 올해 개편된 분야다.
올해 M&A·세컨더리 분야 출자 예산은 600억원으로 지난해 보다 200억원 증액됐다. 해당 분야는 3곳 운용사를 뽑는데 노틱인베스트먼트와 미시간벤처캐피탈 두 곳만 지원했다. 미시간벤처캐피탈은 문화 분야에서 입지가 공고하고, 과거 모태펀드 GP를 경험한 적도 있어 당초 큰 이변이 없다면 무혈입성이 점쳐졌다.
결과적으로 미시간벤처캐피탈의 운용인력 이탈이 서류 탈락에 일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미시간벤처캐피탈에서 대표 펀드매니저 및 핵심 운용인력으로 활약하던 이창호 미시간벤처캐피탈 부사장이 지난해 회사를 떠났다. 모태펀드 서류 심사에서는 펀드의 조기 결성 능력뿐 아니라 △운용사 인력 이탈률 △펀드 운용 중 중도 이직 △모태 자조합의 사후관리 수준 등 요소를 평가한다.
이렇다 보니 한국벤처투자도 모태펀드 출자 계획 수정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업계는 한국벤처투자가 출자 예산 중 GP에 배정하고 남은 금액은 이연해 이후 진행될 수시 출자 예산으로 활용할 것으로 본다.
노틱인베스트먼트는 2017년 김성용 대표가 SK증권에서 독립해 설립한 한국계 사모펀드 운용사다. 지난 2021년 설립한 440억 규모의 첫 블라인드펀드는 올해 엠투아이 바이아웃 딜까지 진행하며 올해 초 기준 소진율이 60%를 넘어섰다. M&A뿐 아니라 스마트팩토리 분야 투자 강자로 알려져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유정화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 [저축은행경영분석]위기에 빛난 애큐온저축의 남다른 '수신' 전략
- [이사회 분석]SBI저축, 금감원 출신 금융보안 전문가 사외이사 영입
- [IBK저축은행은 지금]전병성 신임 대표가 제시한 청사진, 핵심은 '건전성'
- [저축은행중앙회 차기 리더는]압도적 지지 속 연임 확정, '오화경 2기' 과제는
- 웰컴저축, 순이익 목표치 초과 달성…배당도 '두둑'
- [저축은행중앙회 차기 리더는]오화경 회장, 지방 저축은행 리테일 지원…연임 공약 보니
- [IBK저축은행은 지금]PF 정상화 '우선'…부동산 관리 체제로 본격 전환
- [IBK저축은행은 지금]떠나는 김재홍 대표가 남긴 저축은행의 '백 투 베이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