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ACR로 보는 K-바이오]레고켐바이오 ADC의 진화, 신물질 3종 이중항체 공략CD20·CD22 동시 타깃하는 LCB36 첫 연구결과 발표
정새임 기자공개 2024-03-20 09:19:13
[편집자주]
세계 3대 암학회로 꼽히는 AACR 2024(미국암학회)가 4월 5일부터 엿새간의 여정을 시작한다. '제2의 키트루다'를 꿈꾸는 다양한 신약 후보물질의 초기 임상이 데이터가 대거 공개된다. 초기 파이프라인이 많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참여도 눈에 띄게 늘었다. 더벨은 AACR을 통해 글로벌 진출을 꾀하는 유망 국산 신약을 들여다봤다.
이 기사는 2024년 03월 19일 15시3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해 얀센과 2조원대 기술수출(L/O) 계약을 맺은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가 AACR에서 신물질을 선보인다. 혈액암을 타깃하는 새로운 이중특이항체 항체약물접합체(BsADC)다.얀센은 오리온을 최대주주로 맞이하며 공격적인 연구개발을 약속한 바 있다. 기존 목표를 두 배 높여 빠르게 임상에 진입하고자 한다. AACR을 비롯한 암 학회에서 적극적으로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배경이다.
◇혈액암 후속 물질 공개, 이중타깃ADC
레고켐바이오는 올해 AACR에서 △LCB02A △LCB84 △LCB36 세 개 물질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 이 중 LCB36은 미공개 상태였던 새로운 신약물질이다. AACR에서 첫 공개됐다. LCB36은 CD20과 CD22를 동시 표적하는 첫 이중특이항체 ADC다.

레고켐바이오는 과거 CD19를 타깃하는 혈액암 ADC를 개발해 영국 바이오텍 익수다에 기술이전 한 바 있다. 이번에는 이중항체 ADC로 혈액암을 노린다. 새 모달리티를 통한 확장 전략의 일환이다.
LCB36은 B세포 림프종에서 발현되는 CD20과 CD22를 타깃한다. 레고켐바이오의 ADC 플랫폼 '콘쥬올'을 적용해 부위특이적으로 결합된 PBD 프로드럭을 결합했다.
일부 암세포는 CD20 혹은 CD22 중 하나만 높게 발현되는 양상을 보인다. LCB36은 둘 중 하나만 발현해도 종양세포에 결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CD20과 CD22 양성 세포주 모델에서 LCb36은 CD20 또는 CD22 단일 표적 ADC에 비해 우수한 효능을 보였다. 또 CD20 또는 CD22 단일 양성 암 세포주에서도 단일 표적 ADC와 비슷한 효능을 나타냈다.
동물 실험에서는 LCB36의 독성 평가를 진행했다. 여기서 LCB36의 우수한 내약성을 확인했으며 내약성이 양호한 용량에서 효능을 보였다.
혈액암의 경우 미세잔존질환(MRD) 유무에 따라 완전관해에 도달하더라도 재발 가능성이 높다. LCB36은 재발을 높이는 MRD를 감소시켜 무사건생존기간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얀센이 산 'LCB84' 계열 내 최고 가능성 시사
LCB84는 얀센이 총 2조2000억 규모에 사간 신약후보물질이다. 얀센은 초기 임상부터 함께 하겠다는 의지를 보일 정도로 LCB84 도입에 진심이었다. 미국 1/2상 임상을 같이 진행한 후 얀센이 단독개발 옵션을 행사하면 이후 연구를 얀센이 이끌어가게 된다.

올해 발표되는 연구는 LCB84의 전임상 결과다. LCB84는 TROP2를 표적하는 항체와 MMAE 약물을 연결시킨 ADC로 약물 대 항체 비율(DAR)이 4다. 항체당 4개의 약물이 결합됐다.
TROP2는 유방암, 위암 등 다수 고형암에서 과발현된다고 알려져있다. LCB84는 TROP2가 과발현된 종양조직에 약물을 방출시켜 효과를 높인다. 정상세포를 건들지 않으면서 종양조직에서 선택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종양을 이식한 마우스 실험에서 LCB84는 트로델비·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 등 동일 계열의 경쟁 ADC 약물 대비 우수한 효능을 입증했다고 회사는 밝혔다. 시험관(in vitro) 및 생체(in vivo) 실험으로 진행한 독성 평가에서도 경쟁약과 기존 MMAE ADC와 비교해 안전성도 향상됐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LCB84는 약물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인 약물동력학 프로파일을 보였다.
레고켐바이오 연구진은 "임상에서 동급 최고(best-in-class)의 결과를 낼 것"이라고 자신했다. 현재 레고켐은 얀센과 함께 미국에서 LCB84의 1/2상을 진행 중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정새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인투셀 IPO]든든한 자산 '사옥'에 100억 차입, 창업주 지분 사수 기반
- 유한양행 '렉라자 병용'이 쓴 생존기간 "치료기준 바꿨다"
- [와이바이오로직스 항암신약 로드맵]R&D 전략 재수립, 후발주자에서 '퍼스트 무버' 입지로
- 루닛, 흑자전환 시점 연기…볼파라 효과 가시화는 '고무적'
- 60주년 맞은 휴온스, 윤성태 회장 복귀 "해외 사업 챙긴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삼양 바이오 새 수장 김경진 사장 "CDMO 글로벌 확장"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루닛의 새 조력자 이준표 SBVA 대표, '카이스트' 인연
- [이뮨온시아 IPO]자사주 활용한 신주모집 효과, 유한양행 '통 큰 결정'
- 조영제 신약 '인벤테라' 기술성평가 신청, IPO 첫발
- 에스테틱 진출 리메드, '클레오' 브랜드 각인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