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키 바이오텍 in market]IPO 재수 파인메딕스, 2년 전과 다른 '실적' 자신감 주목매출 100억 돌파, 4년만에 흑자전환…연내 상장 목표
한태희 기자공개 2024-05-09 08:15:32
[편집자주]
스포츠에서 신인을 뜻하는 루키(Rookie)의 어원은 체스에서 퀸 다음으로 가치 있는 기물인 룩(Rook) 또는 떼까마귀(Rook)다. 전후좌우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점이 신인의 잠재력과 행보와 닮았단 해석, 속임수에 능하고 영악한 떼까마귀같다는 부정 의미도 있다. 기업공개(IPO)를 통해 유동성 공급을 앞둔 '루키 바이오텍'에도 이런 양면성이 내재해 있다. 더벨이 주식시장 입성을 앞둔 이들 기업의 진면목을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5월 08일 11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내시경 국산화'에 앞장선 의료기기 기업 파인메딕스가 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4년만에 흑자전환을 이룬 점이 눈길을 끈다. 글로벌 매출 성장이 실적을 견인한 원동력이 됐다. 이를 발판 삼아 기술특례 트랙을 통해 연내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소화기 내시경 의료기기 국산화, 국내 뿐 아니라 해외 공략
파인메딕스는 소화기내과 전문의 전성우 대표가 설립한 프로슈머(Product+Consumer)형 기업이다. 내시경 수술 도구 등 시술 분야 의료기기를 직접 제조해 판매하고 있다.
전 대표는 2009년 의사로서 직접 시술하며 느낀 불편함을 토대로 창업을 결심했다. 당시만 해도 수술용 의료기기 제품 대부분이 외국산이라 의료진 피드백 반영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외국 업체가 장악하던 내시경용 시술기구의 국산화에 힘쓰고 있다.
원료부터 소화기 시술기구 제조공정 전체를 내재화해 보유한 게 차별점이다. 2021년에는 대구에 제2공장을 준공했으며 서울에 영업사무소를 꾸려 영업, 마케팅도 자체 진행하고 있다. 작년 말 기준 최대주주는 29.8% 지분을 보유한 전성우 대표다.
내시경용 인젝터, 스네어, 나이프, 포셉 등이 주요 제품이다. 이를 국내 여러 대학병원과 대형병원 및 의원에 납품하며 국내 시장 점유율을 30%까지 확보하는 성과를 이뤘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최근 매출은 꾸준히 상승했다. 2021년 73억원, 2022년 81억원으로 서 성장한 데 이어 작년에는 102억원을 기록하며 설립 후 처음으로 100억원대 매출을 돌파했다. 영업이익은 9억원으로 4년 만에 흑자로 전환했다. 당기순이익은 12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6배 증가했다.

내수 시장 외 해외 판로 확장에 집중한 결과다. 파인메딕스에 따르면 작년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은 전체의 30%로 약 30억원 수준까지 확대됐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동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영국, 일본, 인도, 말레이시아 등에 진출했다.
2017년 설립한 중국 생산법인에서는 의료기기 원재료를 제조해 모회사에 공급하고 있다. 향후 자체 공정을 통해 중국 시장에도 뛰어들 계획이다. 중국 법인의 작년 매출은 7억6448만원으로 전년 매출 3억1067만원 대비 두 배 이상 상승했다.
신제품 개발에도 힘쓴다. 케이메디허브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와 협력사업을 통해 '최소침습 시술용 전기수술장치'를 개발 중이다. 시제품제작, 시험평가, 인허가, 임상, 사용적합성평가 컨설팅 등을 진행하고 있다.
◇고무적 실적 기반으로 연내 상장 목표, 2년만에 재도전
매출 신기록 돌파에 흑자전환까지 이룬 상황에서 상장 채비에 서둘고 있다. 파인메딕스는 이달 7일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다. 3월 기술성평가에서 A, BBB등급을 받아 통과한 뒤 2개월 만이다.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으로 공모예정주식수는 90만주다.
파인메딕스는 앞서 2021년에도 상장을 추진한 바 있다. 당시 주관사로 한국투자증권을 선정하고 기술성평가를 통과한 뒤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등을 이유로 이듬해 상장 자진철회를 결정했다.
파인메딕스는 상장 실패를 겪은 2년 전과는 다르다는 입장이다. 기술특례 트랙임에도 100억원이 넘는 고정 매출과 영업흑자를 냈다는 점을 고무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기술특례상장은 일반상장 요건을 만족 못 해도 외부평가기관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으면 예심 신청자격을 부여하는 제도다.
파인메딕스 관계자는 "수출이 늘어나며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며 "현재 매출 비중은 국내 70% 해외 30% 수준"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한컴, '2025 재팬 IT 위크 스프링' 참가
- [NPL 경영분석]800억 환입에 순익 4배…대신F&I, '나인원한남 효과'로 도약
- [보험사 CSM 점검]메리츠화재, 보수적 계리정책이 견인한 잔액 증가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PF 후폭풍' 신협중앙회, 위기대응 역량 '시험대'
- 우리금융캐피탈, 디지털 영업 경쟁력 강화 사업 착수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NH농협생명, 경과조치·보완자본 뺀 손실흡수력은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제주은행 주가 급등한 두 가지 이유
- [금융지주 동일인 지분 점검]JB금융 '3대 주주' OK저축은행 투자 전략 영향은
- [금융사 KPI 점검/KB국민은행]불완전판매 재발 없다, '고객보호·윤리경영' 평가 반영
- [MG캐피탈은 지금]효성에서 새마을금고로, 28년 업력 바탕 새로운 전성기 준비
한태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 제약·바이오 포럼]K-바이오 생존전략 1시간의 토론, 한정된 자원 활용법은
- [바이오텍 유증·메자닌 승부수]JW중외제약 프로젠 SI 합류, 특약에 명시된 '우선협상권'
- '휴젤 알짜 자회사' 아크로스, 1년만에 공개매수 재추진
- '매출 2배 증가' 쓰리빌리언, 이사 보수한도 유지 '사업 총력'
- 에스엔이바이오, 엑소좀 급성뇌경색 치료제 임상 승인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
- 빌릭스, '클래시스 맞손' 스킨부스터 개발 '매출 다각화'
- HLB, 포스트 리보세라닙 전열…계열사 지배구조 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