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 06월 12일 07시0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BNK캐피탈의 글로벌 행보가 남다르다. BNK캐피탈은 중앙아시아 중심의 글로벌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에 진출한 캐피탈사는 BNK캐피탈이 유일하다. 중앙아시아 진출에 적극적인 이유는 무엇일까.BNK캐피탈은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에서 현지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금융업권에서 중앙아시아는 '불모지'에 가까운 시장이다. KB국민은행의 카자흐스탄 센터크레디트은행(BCC)은 해외진출 실패로 회자되는 대표 사례다.
하지만 BNK캐피탈은 중앙아시아를 글로벌 사업의 핵심 지역으로 선정했다. 대출 수요가 많아 높은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기 떄문이다. 카자흐스탄의 소액금융업(MFI)은 2019년부터 3년간 연평균 46% 이상의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키르기스스탄의 경우 연평균 13%의 성장세를 기록했다.
외국자본 유치에 적극적이고 규제 장벽이 다소 낮다는 점도 기대 요소이다. 중앙아시아 5개국에서는 금융산업 고도화를 목표로 디지털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금융사들이 디지털 인프라에 강점을 지닌 만큼 디지털 수요를 충분히 충족할 수 있다는 평가다. 금융위원회에서 'K-금융 세일즈' 첫 행선지로 중앙아시아를 택한 이유이기도 하다.
또한 중앙아시아는 금융회사의 진출 비율이 낮아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블루오션’이다. 언어적, 문화적으로 유사해 시장 확장에도 유리하다는 평가다. BNK캐피탈은 카자흐스탄 현지법인의 성공을 기반으로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으로 영업망을 확대했다.
김성주 BNK캐피탈 대표는 이번주 중앙아시아 출장길에 올랐다. 취임 이후 두 번째 중앙아시아 출장이다. 김 대표는 중앙아시아 내 시장 지위 확보에 역점을 두고 있어 이번 출장에 거는 기대감이 크다.
현재 우즈베키스탄 현지법인이 영업 개시를 준비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현지법인은 소매금융업 라이선스 취득 절차를 진행하며 영업개시를 준비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현지법인은 중장기적으로 은행업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BNK캐피탈이 글로벌 시장에 본격 진출한 시기는 2014년이다. 동남아시아에 진출했지만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BNK캐피탈에게 중앙아시아 진출은 도전이자 모험이었다. 이 도전은 현재 금융당국에서 소개하는 금융사의 해외진출 성공사례다. BNK캐피탈의 새로운 글로벌 시장 도전을 기대해본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김경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페퍼저축, 2년간 대출채권 1조 매각…올해 건전성 회복 기대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애큐온저축, 선제적 신용 관리로 건전한 자산 중심 경영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OK저축, 건전성 관리 기준 정교화…NPL 채권 정비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JB우리캐피탈, 3년 만에 미얀마서 손익 실현…올해 BEP 예상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웰컴저축, 안정적인 자산 운용에 중점…잠재 손실 최소화
- 한국캐피탈, 견조한 자산 성장 지속…건전성 관리에 만전
- [저축은행 위험 관리 점검]적자 원인된 채권 부실화, 올해도 중점 관리 리스크는 '건전성'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IBK캐피탈, 신규 영업 위축 지속…미얀마 사업 정상화는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미래에셋캐피탈, 저위험 자산 중심 재편…연간 흑자 가능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