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thebell note]진정한 '산업바이오'의 개막

정새임 기자공개 2024-06-17 08:42:58

이 기사는 2024년 06월 13일 07:50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바이오(bio)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생명'을 뜻하는 'bios'다. 영어로 넘어오면서 일생, 생물, 생명 등 포괄적 의미를 담은 채 다양한 합성어를 탄생시켰다. '생물학'처럼 쉽게 연상되는 단어 외에도 개인의 생애를 기록한 '전기', 유산소 운동을 뜻하는 '에어로빅' 역시 바이오에서 파생된 합성어다.

새삼스레 바이오의 어원을 되짚는 이유가 있다. 그간 바이오의 무궁무진함을 미처 몰라봤던 것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어서다. 단어에 함축된 다양한 의미처럼 바이오산업 역시 무한한 확장을 거듭한다. 그중에서도 21세기 합성생물학을 토대로 형성된 레드·화이트·그린바이오 생태계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쉽게 말하면 필요한 기능이 극대화된 인공 미생물을 만들어 기존 석유 기반 소재를 대체하는 산업이다. 화장품이나 의류 소재가 될 수도 있고 휘발유를 대체하는 바이오 연료가 될 수도 있다. 가능한 일인가 싶겠지만 인공적으로 균주를 만들어내는 장벽은 크게 낮아졌다. 유전공학기술 발전으로 미생물과 동식물 등 수천 종의 전체 유전자를 밝혀냈기 때문이다. 즉 산업용 미생물을 만드는 유전체 설계도 제작 기반이 마련됐다는 의미다.

합성생물학을 산업화하는 첫 계기는 가격이었다. 세계금융위기로 유가가 급등하며 시선은 바이오 에너지로 향했다. 옥수수 등 곡물이나 폐식용유를 활용해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자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산업이 크지 못한 이유 역시 가격이었다. 곡물이나 폐식용유 가격이 덩달아 올라 수지타산이 맞지 않았다. 유가가 다시 안정화하자 바이오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식었다.

15년 전만 해도 가격과 기술의 한계가 뚜렸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충분히 화학소재를 대체할 환경이 됐다. 시대적으로도 환경파괴 주범인 석유 소재가 아닌 친환경 소재를 원한다. 산업바이오 시대가 열렸다.

이 지점에서 국가 간 격차도 발생했는데 미국은 꾸준히 산업화 시도를 이어왔고 현재 미국 바이오테크 절반 이상이 합성생물학을 기반으로 둔 레드·화이트·그린바이오라고 전해진다. 반면 한국은 당시 열기가 꺼진 후 잠잠하다 최근에서야 태동기에 접어들었다.

제약으로 한정된 바이오에 엔지니어링이 더해져 패션, 화학, 식품으로 뻗어나간다. 시대적 요구와 맞물려 10년 20년 뒤 먹는 것과 입는 것, 타는 것 전반에 바이오가 스며들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달라져야 할 것은 전통적인 바이오에 머물러 있는 우리의 인식같다. 바이오산업이라 하면 여전히 십중팔구는 '신약'을 떠올리고 투자자의 포트폴리오도 대부분 신약 개발사로 채워져있다. 이제는 바이오의 정의를 활짝 넓힐 때다. 진정한 산업바이오의 개화는 이 지점에 있지 않을까.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이진우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김용관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