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재계약 설득한 메가존·바이낸스, 한고비 넘겨 내달 전북은행과 재계약 가닥…9월 전 최대주주 변경 완료해야
노윤주 기자공개 2024-08-01 08:11:31
이 기사는 2024년 07월 31일 16:37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가상자산거래소 고팍스(스트리미)와 전북은행의 실명인증 계좌 재계약 시점이 보름 앞으로 다가왔다. 은행은 고팍스의 지분구조가 이달 말까지 개선되지 않으면 재계약을 진행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이었지만 지속된 설득에 한발 물러선 것으로 파악된다.고팍스 최대주주인 바이낸스는 메가존(주)와 지분 매각을 논의 중이다. 금융당국이 외국계 자본의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소유를 사실상 제한했기 때문이다. 메가존이 바이낸스로부터 고팍스 지분 58% 이상 인수하는 게 주요 협상 내용이다.
메가존도 투자확인서(LOC)를 작성하는 등 강력한 인수 의지를 표명했지만 자금 납입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은행에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주사, 고팍스 지분 매각에 시간 더 필요하다 '은행 설득'
31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고팍스와 전북은행은 내달 중 재계약을 긍정적으로 논의 중이다. 애초 전북은행은 이달 중으로 고팍스 지분구조가 정리되지 않으면 계약 관계를 이어갈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이었다. 최대주주를 국내 기업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었다. 금융당국의 요구를 반영했다.
고팍스 최대주주인 바이낸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메가존에 지분 매각을 추진 중이다. 바이낸스는 고팍스 지분 67.45%를 보유하고 있다. 이 중 58% 이상을 메가존에 매각하고 지분율을 10% 미만으로 낮춘다는 계획이다.
메가존 역시 고팍스 인수 의사가 강하다. 국내에 5개 뿐인 가상자산 원화거래소를 보유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7월내 자금납입은 촉박하다고 피력했다. 검토할 사안과 협상이 끝나지 않은 디테일이 많다는 이유다.
전북은행을 설득하며 우선 한고비를 넘기는 듯하지만 시간 여유는 많지 않다. 금융당국이 고팍스에 9월 중순까지 가상자산사업자 갱신신고 사전서류를 제출하라고 지정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바이낸스가 이 시점까지는 매각을 완료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특정금융거래정보법(특금법)에 따라 가상자산사업자 지위 유효기간은 3년이다. 사업을 지속하고자 하는 기업은 사업자 갱신신고를 진행해야 한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각 거래소에 개별적 사전 서류 제출 시점을 찝어줬다. 정식 신고 전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당국이 사전 점검을 진행하겠다는 의지다.
한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우선 은행이 한 발 물러서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며 "다만 지분구조 조정은 금융당국의 요구이기에 이를 무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고파이 엮인 고팍스 매각 문제…가상자산 시장 신뢰도와 '직결'
가상자산 업계는 고팍스 매각 진행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아직 고파이 미지급금이 남아있기에 결과에 따라 시장에 미칠 영향이 막대하다. 고파이는 고팍스가 중개하던 가상자산 예치이자 서비스다. 운용을 담당한 제네시스캐피탈의 유동성 문제로 1년 반 넘게 이용자들에게 예치 원리금 일부를 돌려주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초 바이낸스가 고팍스를 인수하면서 그 조건으로 고파이 미지급금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당국의 제동으로 정상적인 인수 운영이 불가능해지며 도중에 이행이 막혔다. 지난해 미지급금 총액 중 절반 가량을 고객에게 돌려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560억원 가량이 남아 있다. 가상자산 시세가 오르면서 원화 환산액도 불어나고 있다.
현재로서는 메가존이 고팍스를 인수하면서 자금을 투입하거나 고팍스가 사업을 통해 이윤을 남겨 순차 지급을 이어가는 게 유력한 방안이다. 하지만 이번 지분 매각까지 무산된다면 모든 시나리오의 실현 가능성은 '제로'가 된다. 대금을 채워줄 주주도 없고 고팍스는 원화거래를 유지하지 못해 자생 능력도 잃게된다.
가상자산 업계서는 이번 이슈는 단순히 기업의 최대주주 손바뀜이 아닌 투자자보호와 결부된 문제라고 강조했다. 촉박한 타임라인 속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고파이 미지급금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종결된다면 가상자산 시장 전체 신뢰도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며 "향후 국내서는 새로운 가상자산 투자방식, 서비스가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했다. 이어 "투자자보호, 업계 발전 방향 등 많은 이슈와 맞물려 있는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노윤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다시 온 가상자산의 시간]국내 플레이어, 비트코인 현물 ETF 허용 기다린다
- '국내 코인 시장 고립 우려' 바이낸스, 글로벌 협업 제안
- [다시 온 가상자산의 시간]'법인 투자 허용' 연내 결판, 게임체인저 될까
- [Company Watch]드림어스, 20년 만에 주주환원 '주가 방어'
- 업라이즈, 두물머리투자자문 인수 'RA 사업 확장 발판'
- [2024 이사회 평가]'이사회 활발' 비에이치, 다양성·독립성은 부재
- [2024 이사회 평가]대덕전자, 독립성 낮은 이사회…최고점은 '경영성과'
- [다시 온 가상자산의 시간]'CBDC 금지' 외친 트럼프, 비트코인에 쏠리는 눈
- [다시 온 가상자산의 시간]미국 코인 기업, 규제 막히자 대선판 움직였다
- [2024 이사회 평가]일진하이솔루스, 사내이사 위주 이사회 '평균 1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