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12단 HBM4 양산 준비 '내년 6월까지 마친다' SK하이닉스는 하반기 목표, 경쟁사 추월 '사활'
노태민 기자공개 2024-10-24 07:55:55
이 기사는 2024년 10월 22일 15시3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전자가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선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쟁사인 SK하이닉스보다 발빠르게 HBM4 양산 준비를 마치는 게 목표다. HBM3와 HBM3E에서 빼앗긴 점유율을 되찾겠다는 계획이다.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내년 6월까지 12단 HBM4 양산 준비를 마치는 것을 목표로 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4분기 중 HBM4 테이프아웃 작업에도 들어간다.
테이프아웃은 반도체 설계의 마지막 단계로 설계 도면을 반도체 파운드리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포토마스크도 함께 만들기 때문에 마스크 테이프아웃(MTO)이라고도 부른다.
삼성전자에 정통한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HBM4 시장 선점을 위해 SK하이닉스보다 먼저 제품 양산에 돌입하려고 한다"며 "12단 HBM4는 내년 상반기 말께 제품 양산 준비를 마친다는 내부 목표를 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테이프 아웃과 제품 생산 일정 등을 고려하면 내년 초 정도에는 HBM4 테스트 제품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후 제품 동작 검증 등을 거친 뒤 설계 개선과 공정 개선 등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가 HBM4 양산을 서두르는 이유는 경쟁사인 SK하이닉스에 뺏긴 HBM 점유율을 되찾아오기 위해서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가 발표한 지난해 HBM 시장 점유율은 SK하이닉스 53%, 삼성전자 38%, 마이크론 9%다. HBM3, HBM3E 시장에서 고전을 하고 있는 만큼 올해 삼성전자의 HBM 시장 점유율은 더욱 감소할 확률이 높다.
삼성전자는 HBM4 점유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신기술도 대거 적용한다. 1c D램(10nm)급 6세대 D램)을 HBM 코어 다이로 활용하고 로직 다이를 파운드리 4nm 공정을 통해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삼성전자의 1c D램 적용에 대해 우려를 보내는 시선도 있다. 1c D램의 첫 적용처가 HBM이 될 확률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국내 메모리 기업에서 HBM 개발을 담당하는 관계자는 "1c D램 적용이 우려가 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삼성전자가) HBM4 내부 양산 일정을 맞추기 위해서는 먼저 1c D램 양산 수율을 끌어올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경쟁사인 SK하이닉스는 내년 하반기께 12단 HBM4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코어 다이로는 1b D램(10nm)급 5세대 D램)을 적용한다. 또 로직 다이 양산을 위해 TSMC 5nm 공정과 12nm 공정을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성능보다 안정성을 택한 셈이다.
양사의 12단 HBM4는 엔비디아와 AMD의 차차세대 인공지능(AI) 가속기에 탑재될 것으로 예정이다. 엔비디아와 AMD는 오는 2026년 12단 HBM4를 탑재하는 AI 가속기 루빈과 MI400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노태민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김철기 DA사업부장 선임 '마케팅·품질' 제고 중책
- 동진쎄미켐, 3세 '이종호' 경영 전면 등판
- [Company Watch]네패스, 출범 4년 만에 'FO-PLP' 사업 철수
- [LG그룹 로봇사업 점검]전략 중심에 베어로보틱스, 계열사 '원팀' 경쟁력 제고
- [LG그룹 로봇사업 점검]LG전자, 넥스트 가전 선점 '휴머노이드 개발 달린다'
- [LG그룹 로봇사업 점검]'부품부터 완제품까지' 가전 DNA 살린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CCTV 강자 한화비전, 북미 시장 '1위' 목표
- '사법리스크 해제' 이재용, 해외 행보 1순위 '자동차 전장'
- [Company Watch]비에이치EVS, 설립 3년만 흑자 달성
- '주주가치 제고' 곽동신 회장, 비주력회사 지분 '사재 매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