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보험이익 감소에도 2조 클럽 재진입 3분기 누적 순이익 2조…투자이익 107% 급증해 호실적 견인
이재용 기자공개 2024-11-18 13:03:09
이 기사는 2024년 11월 15일 18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생명이 '2조 클럽'에 재진입했다. 3분기 누적 지배주주지분 순이익 기준 2조원을 넘어선 건 2016년 이후 약 8년만이다. 시장 컨센서스를 웃도는 수준이자 생·손보사를 통틀어 국내 보험사 중 최고 분기 실적이기도 하다.건강보험 상품 비중 증가로 양질의 신계약 보험계약마진(CSM)을 확보했으나 일회성 요인에 누적 보험이익은 소폭 감소했다. 그럼에도 2조원의 순이익을 기록한 건 투자 다변화와 연결효과로 급증한 투자이익 덕분이다.
15일 영업실적 공시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올해 3분기 지배주주지분 순이익으로 2조42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1조4500억원보다 40.9% 증가했다. 3분기 순이익은 1년전보다 41.6% 증가한 6736억원으로 집계된다. 누적 영업이익은 2조7170억원이다.
수익성 양대 부문 중 하나인 누적 보험이익은 1조187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 1조2060억원 대비 1.6% 감소한 규모다. 올해 1분기 미보고발생손해액(IBNR) 제도 변경에 따른 일회성 요인으로 780억원이 줄어든 영향이다. 3분기만 보면 3880억원에서 4750억원으로 22.6% 늘었다.

미래수익성 지표인 CSM 총액은 지난해 말보다 7000억원 증가한 12조9600억이다. 건강보험 등 보장성 상품 담보 경쟁력을 높이고 시니어 시장을 적극 공략한 결과다. 삼성생명은 올해 보장성 보험 신상품 9개를 출시했다. 건강 보험 신계약 CSM은 1조4140억원, 사망보험 CSM은 9090억원이다.
영업실적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연납화보험료(APE)는 3분기 누적 기준 2조8580억원을 기록했다. 1년전 대비 16.9% 늘었다. 건강보장APE를 4250억원에서 1조140억원으로 139% 더 확보한 결과다. 3분기 당기 APE는 1조350억원이다. APE는 신계약 모집으로 거둔 첫 보험료를 일 년 단위로 나눈 수치다.
영업 효율 지표인 13회차 계약 유지율은 90%다. 전년 동기 88%보다 2%포인트 상승했다. 25회차 유지율도 전년 동기보다 2%포인트 오른 71%를 나타냈다. 담보별 손해율은 생존 담보는 88%로 전년 동기와 동일했다. 사망담보 손해율은 42%로 2%포인트 올랐다. 전체 손해율은 78%로 1%포인트 악화됐다.
보험부문이 부진했지만 급증한 투자이익이 이를 만회했다. 삼성생명의 올해 3분기 누적 투자이익은 1조5300억원에 달한다. 전년 동기 7380억원 대비 107.5% 늘었다. 연결 투자이익에는 삼성카드와 삼성증권의 배당금 각 2080억원과 577억원, 연결효과 8080억원이 포함됐다.
특히 연결효과가 지난해 동기 5970억원 대비 35.3% 불어난 덕을 톡톡히 봤다. 이와 함께 투자 다변화를 통한 비이자수익 확대로 투자이익을 늘릴 수 있었다고 삼성생명 측은 설명했다. 3분기 누적 기준 일반보험과 변액보험 투자이익은 각 3360억원과 1500억원을 기록했다. 퇴직연금은 540억원의 투자 손실을 냈다.
지급여력(K-ICS·킥스)비율 잠정치는 190~200%로 전망했다. 이지선 삼성생명 RM팀장(상무)은 "유동성 프리미엄 하락 등 할인율 강화에 따른 영향으로 킥스비율이 하락한 상태"라며 "금리하락과 삼성전자 주가 수준을 고려하면 3분기 킥스비율은 190% 중반대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해성옵틱스, 갤럭시S25·S26에 카메라 모듈 공급
- [i-point]폴라리스AI파마,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 [WM 풍향계]리테일 경쟁 격화, 성장 전략 색깔차 'PB vs 센터'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밸류시스템, 수익률 선방…'내러티브 숏' 집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펀더멘털 롱숏' 구도운용, 라인업 확충 박차
- [Product Tracker]쿼드운용 프로젝트펀드, 루닛 하락에도 웃음짓는 이유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i-point]경남제약, '칼로-나이트 Relax' 출시
- 동진쎄미켐, 3세 '이종호' 경영 전면 등판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삼성전자, DX부문 발빠른 재정비 '노태문 등용'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anction Radar]기업은행, 개선 의지 읽히는 '쇄신위' 조기 구성
- 새마을금고 정부합동감사 개시…대출 적정성 따져본다
- 산은, NPL 매각 시동…올해 2000억 규모
- [Policy Radar]AML 내부통제 내실화…FIU, 업무규정 5월 시행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신한금융, 거버넌스 구축 막바지…협의회도 만든다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우리금융, 최고의사결정기구 부재 '옥의티'
- IBK기업은행, 내부통제 '환부작신'한다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예외 승인, 내부통제·조직문화 개선에 달렸다
- [Sanction Radar]기업은행, 900억 부당대출 '축소·은폐' 덜미
- '유명무실' 금융권 이해상충 방지 실효성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