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B금융 김기홍 체제 3기]재직 기간 '은행지주 최고' 주가상승률…기세 이어간다⑥김기홍 회장 임기 내 주가상승률 235.4%…차기상승 동력은 밸류업·핀테크 신사업
김영은 기자공개 2024-11-26 12:55:12
[편집자주]
김기홍 JB금융 회장이 3연임에 성공했다. JB금융 최초의 3연임이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취임 후 첫 금융지주 회장 연임 사례이기도 하다. 김 회장은 JB금융에 '강소금융' 정체성을 입히고 재무와 주가 측면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며 탄탄한 입지를 구축했다. 김 회장은 안주하지 않고 계속해서 가보지 않은 길을 걷겠다는 포부다. 김기홍 체제 3기의 현안과 과제를 살펴봤다.
이 기사는 2024년 11월 22일 08시28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김기홍 회장은 임기 동안 지방은행 금융지주 중에서도 최하위였던 JB금융 주가를 시중은행 금융지주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주가상승률은 압도적으로 높다. 현재 은행주의 주가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는 밸류업 실행 전부터 JB금융 주가는 우상향을 지속했다. 은행의 몸집을 키우기보다 자본효율성에 집중했던 김 회장의 전략이 맞아떨어진 덕분이다.김 회장은 새 임기에서도 지금의 주가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다는 자신감을 드러냈다. JB금융은 앞서 밸류업 계획을 통해 수익성 제고 및 주주환원율 확대를 통해 2027년까지 PBR(주가순자산비율) 1배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김 회장의 차기 성장 전략이 빛을 발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임기 내 주가상승률 235.4%…리딩금융 KB보다 100%p 높은 주가상승률
JB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김기홍 회장을 차기 회장 후보자로 낙점한 배경에 대해 향후 기업의 주주가치 제고를 이끌어갈 적임자라는 평가를 내렸다. 김 회장이 임기 동안 은행지주 최고 수준의 주가상승률을 이끌어낸 성과에 두둑한 점수를 준 모습이다. 앞으로의 성장세를 이어갈 인물이라는 신뢰도 높다.

실제 JB금융 주가는 김 회장이 선임됐던 2019년 3월 29일 종가 기준 5570원에서 지난 21일 종가 기준 1만8680원으로 올랐다. 임기 시작 때는 은행지주 중에서 주가가 가장 낮았지만 현재는 우리금융(1만6790원)의 주가를 뛰어넘었다.
김 회장은 임기 동안 무려 235.4%의 주가상승률을 기록하며 독보적인 성장세를 증명했다. 두 번째로 상승률이 높았던 KB금융(132.5%) 보다도 100%포인트 높은 수치다. 같은 기간 6개 은행지주의 평균 주가상승률은 51.2%를 기록했다.
JB금융의 주가는 은행주의 평균적인 주가 흐름과 차별적인 모습을 띠었다. 대다수의 은행주가 올해 도입을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 이후 부쩍 성장세를 보였지만 이전에는 대표적인 저평가주로 꼽히며 횡보 흐름이 이어졌다. 그러나 JB금융은 꾸준히 주가가 우상향을 지속해왔다.
기존 은행의 성장 공식을 따르지 않은 김 회장의 전략이 적중했다. 김 회장은 지방금융지주로서 영업 확장에 한계를 가진 JB금융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시중은행처럼 몸집을 키우기보다는 자본효율성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봤다. 그 결과 연간 순이익을 3배 이상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수익성 지표인 ROE(자기자본이익률)는 현재 15% 달성을 목전에 두고 있다.
◇2027년까지 PBR 1배 달성 목표
김 회장은 3기 체제에서도 주가 성장을 이뤄내겠다는 자신감을 비쳤다. 차기 회장 최종 후보자 선정을 위해 진행된 JB금융 임추위의 다면평가에서 현재 진행 중인 핀테크 신사업 등 경영 전략이 성공한다면 그간의 순이익 및 주주환원율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다고 답했다.
김 회장의 차기 성장 전략이 빛을 발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JB금융은 핀테크와의 협업을 통해 지방은행의 한계를 극복하고 고객 기반 확대에 나서고 있다. 토스뱅크, 카카오뱅크와의 공동대출을 통해 대출 성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더불어 밸류업이 본격적으로 실행되면서 주주가치 제고에 탄력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 회장은 다음 임기 종료시까지 PBR 1배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 기업가치제고계획에 따르면 JB금융은 ROE 10% 달성, 주주환원율 50% 확대를 통해 PBR 1배에 도달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2027년 이후에도 PBR이 1배에 도달하지 못하면 성장 전략과 주주환원정책 재검토에 나선다. 현재 JB금융의 PBR은 0.72배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영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국소호은행, 소상공인 금융 혁신 이뤄낼 경쟁력 세가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NH농협은행, 글로벌 순익 기여도 10% 청사진은
- [은행경영분석]토스뱅크, NIM 나홀로 상승하며 연간 흑자 '스타트'
- [은행경영분석]씨티은행, 14년 만에 ROE 5% 돌파…배경엔 '순익·배당'
- [보험사 지배구조 점검]한화생명, 경쟁사 대비 협소한 사외이사 후보군
- NH농협금융, '내부통제·ESG' 과제 맞춰 사외이사 쇄신
- [보험사 지배구조 점검]삼성생명, 내부 의존도 높은 CEO·사외이사 후보군 관리
- [한국소호은행 제4인뱅 독주]범금융권 자본력 총집합…시중은행 세 곳 지분율 구성은
- [제4인터넷은행 풍향계]예비인가 신청 마감…상반기 결과 발표
- [한국소호은행 제4인뱅 독주]지역별 종횡무진 협업…포용금융 고득점 정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