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회 글로벌 네트워크]지분 변동이 만든 현대글로비스 외국인 이사 '20년 동행'노르웨이 빌헬름센, '특별관계' 2대주주…현대차 주주 참여, 유코카 출신 이사회 활동
김동현 기자공개 2024-12-09 08:16:58
[편집자주]
외국인 사외이사 선임은 이사회의 다양성 측면에서 높게 평가받는다. 회사의 의사결정이 이뤄지는 이사회에 글로벌 시각을 이식하는 역할도 하며 전세계를 무대로 뛰는 국내 기업들이 하나둘 이사회 구성원으로 외국인을 찾기 시작했다. 특히 '트럼프 2.0' 시대로 전환하며 글로벌 인맥을 갖춘 인물의 중요도는 더욱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더벨이 재계에 분포한 외국인 이사진을 살펴보며 사업과의 연관성을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6일 15시00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현대글로비스 이사회에는 2인의 외국인 사외이사가 활동 중이다. 현대글로비스의 주주사인 덴 노르스케 아메리카린제 AS(Den Norske Amerikalinje AS), 프로젝트 가디언 홀딩스(PROJECT GUARDIAN HOLDINGS LIMITED) 측 임원이 1명씩 기타비상무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프로젝트가디언(칼라일그룹 특수목적법인)은 2022년 주주사로 들어오며 비교적 최근부터 이사회에 이사를 선임 중이다.노르웨이 해운사 빌헬름센(덴 노르스케 아메리카린제 모회사)의 경우 20년 동안 기타비상무이사를 보내고 있다. 빌헬름센은 2004년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당시 사장)의 지분 총 25%를 인수하며 현대글로비스 '특별관계' 주요 주주로 올라섰다.
특별관계자는 최대주주(정의선 회장)의 특수관계인은 아니지만 합의나 계약으로 의결권을 공동행사하는 공동보유 주주를 의미한다. 오너가와 특수한 관계에 있는 만큼 빌헬름센의 현대글로비스 기타비상무이사도 현대차그룹 경영과 연결고리를 가진 인물이 선임되고 있다.
2004년 빌헬름센이 현대글로비스 주주사로 진입한 후 사내이사를 제외한 등기임원(상근감사 포함)을 거쳐간 빌헬름센 측 인사는 4명뿐이다. 이중 3명이 2010년대 전까지 기타비상무이사, 상근감사 등으로 이사회에서 활동했고 2012년부터는 얀예빈왕 빌헬름센 수석부사장이 장기간 홀로 기타비상무이사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현대글로비스 이사회에서 활동한 빌헬름센 인물의 그간 이력을 살펴보면 현대차그룹과의 연결고리를 추가로 찾을 수 있다. 단순히 빌헬름센 C레벨이어서 현대글로비스 이사회에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한국에서의 근무 경력이 선임의 배경으로 꼽힌다.
빌헬름센은 2002년 현대상선(현 HMM)의 자동차 운송 사업부문을 인수하며 유코카캐리어스라는 한국법인을 설립했다. 현대상선에 해상 수출 물량을 넘기던 현대자동차와 기아도 이때 유코카캐리어스에 지분을 넣으면서 빌헬름센 측 80%, 현대차그룹 20%(현대자동차 12%, 기아 8%)로 지분구조를 형성했다. 양측은 이미 사업에서 별도 법인을 통해 협력을 이어갔던 셈이다.
빌헬름센의 현대글로비스 지분 확보 이후 칼 요한 하그만 유코카캐리어스 대표이사(CEO), 슈테이너 포버그 유코카캐리어스 전 최고재무책임자(CFO) 등이 각각 현대글로비스 기타비상무이사, 상근감사로 선임됐다. 또다른 기타비상무이사인 슈어 갈퉁 빌헬름센 CEO도 유코카캐리어스 사내이사였다.

오랜 기간 지분·사업 협력을 이어오던 빌헬름센은 현대글로비스에 보내던 '물류 자문' 몫 등기이사 수를 줄여갔다. 2007년 하그만 CEO가 현대글로비스 등기이사직을 내려놨고 2012년엔 포버그 감사가 물러났다. 현재 유일한 빌헬름센 측 기타비상무이사인 얀예빈왕 CEO도 2007년부터 3년간 유코카캐리어스 대표직을 수행하다 2010년부터 지금까지 현대글로비스 이사회에서 활동 중이다.
전체 9명으로 꾸려진 현대글로비스 이사회 구성원 중 빌헬름센 측 인원이 1명으로 줄면서 외국인 이사 비중은 10년 가까이 10% 수준으로 유지됐다. 그러다 2년 전인 2022년 칼라일그룹이 정몽구 명예회장과 정의선 회장의 합산 지분 10%를 매입하면서 이사회에 기타비상무이사를 보내기 시작했다. 칼라일그룹의 프로젝트가디언도 정 회장의 특별관계·공동보유자로 분류된다.
얀예빈왕 이사는 국내뿐 아니라 노르웨이, 미국 등의 빌헬름센 계열사에서 근무한 이력을 바탕으로 현대글로비스의 본업인 해운·해외물류 사업 자문역을 맡고 있다. 칼라일그룹 몫의 기타비상무이사인 타나카 조나단 마샤스웨 파트너는 글로벌 금융 자문역으로 이사회에 들어가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칼라일그룹의 이사회 진입으로 회사의 자본·사업 관리, 신사업 확대 강화 등을 기대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김동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반전 준비하는 SK온]CAPEX 감소·수주 증가, 모회사 기업가치도 견인할까
- [반전 준비하는 SK온]'가뭄에 단비', 통합법인 첫 배당 인식
- [thebell note]삼성SDI가 만들어 갈 '정답'
- [방산 체급 키우는 한화그룹]㈜한화, 에어로 유증에 9800억 투입…차입부담 불가피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굳건한' HMGMA 동맹, 낙수효과 기대하는 LG·SK
- [반전 준비하는 SK온]SKIET·넥실리스 소재 계열사와 '선순환' 이뤄지나
- 이영준 롯데케미칼 사장, 미래사업 '친환경 수소' 낙점
- SKC, C레벨 직제 정비...'PM부문' CSO 격상
- [반전 준비하는 SK온]SK배터리아메리카, '백조'로 거듭날까
- [반전 준비하는 SK온]'닛산 잭팟' 400조 수주, '다변화' 마침표 찍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