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 '3000억 몸값' 메디쿼터스에 100억 투자 시리즈D 라운드 참여 '성장성 베팅', 현대백화점과 협력 주목
김예린 기자공개 2025-03-19 08:00:41
이 기사는 2025년 03월 18일 16시0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KB증권이 패션·뷰티 브랜드·플랫폼 운영사 메디쿼터스에 100억원을 투자했다. 지난해부터 진행된 시리즈D 라운드에 마지막으로 합류한 것으로, 설립 이래 가파른 실적 성장을 이어온 점에 주목했다.1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KB증권은 최근 메디쿼터스에 100억원 규모 투자를 완료했다. KB증권 고유계정으로 20억원을 투입하고 나머지 자금은 PE신기사본부에서 운용 중인 블라인드 펀드를 활용해 마련했다.
이번 투자는 메디쿼터스가 지난해부터 돌입한 시리즈D 라운드에 합류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메디쿼터스는 지난해 초부터 펀딩을 시작해 당해 상반기 시그나이트인베스트먼트, KT인베스트먼트, LB인베스트먼트, 컴퍼니케이파트너스, 하나벤처스, 대성창업투자 등 여러 벤처캐피탈(VC)들에서 380억원 가량을 유치했다.
이후에도 추가 자금 수혈을 위해 VC와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등 재무적투자자(FI)는 물론 국내외 전략적투자자(SI)들과 접촉해왔으나 자본시장 불확실성 장기화로 펀딩 기간이 길어졌다.
최근 현대백화점이 300억원을 투자하기로 한 점은 펀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모양새다. 현대백화점그룹은 SI로서 메디쿼터스에 300억원 투자를 추진 중인 상황이다. 일본 내 패션사업에서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차원으로 전해진다.
굵직한 파트너사를 확보하면서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는 기대감에 KB증권도 베팅한 것으로 풀이된다. 시리즈D 라운드에서 투자자들이 인정한 메디쿼터스의 기업가치는 약 3000억원이다. 메디쿼터스는 펀딩으로 조달한 금액을 볼트온 등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달에는 일본 온라인 패션·뷰티 플랫폼인 '샵리스트'를 인수하기도 했다.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인수 하이라이트는 가파른 성장세가 꼽힌다. 2023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1191억원인데, 지난해 매출액은 2000억원 수준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기대하는 매출액은 약 4000억~5000억원 수준이다.
메디쿼터스는 서울대 경영대 출신 이두진 대표가 2016년 설립한 회사다. ‘마하그리드·더바넷·나이스고스트클럽·드로우핏’ 등 15개 패션 브랜드와 ‘아닐로·메디247’ 등 4개 뷰티 브랜드, ‘바르닭’이라는 F&B 브랜드를 보유했다. 지난 2020년에는 일본에 패션 커머스 플랫폼 '누구'를 출시해 업계 선두로 자리매김했다. 일본 젋은 여성들 사이에서 각광받는 1위 플랫폼이자 패션·뷰티 브랜드 업체로서 가파르게 성장해왔다는 점이 투자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한컴, '2025 재팬 IT 위크 스프링' 참가
- [NPL 경영분석]800억 환입에 순익 4배…대신F&I, '나인원한남 효과'로 도약
- [보험사 CSM 점검]메리츠화재, 보수적 계리정책이 견인한 잔액 증가
- [신협 부실여신 관리 점검]'PF 후폭풍' 신협중앙회, 위기대응 역량 '시험대'
- 우리금융캐피탈, 디지털 영업 경쟁력 강화 사업 착수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NH농협생명, 경과조치·보완자본 뺀 손실흡수력은
- [신한금융-더존비즈온 맞손]제주은행 주가 급등한 두 가지 이유
- [금융지주 동일인 지분 점검]JB금융 '3대 주주' OK저축은행 투자 전략 영향은
- [금융사 KPI 점검/KB국민은행]불완전판매 재발 없다, '고객보호·윤리경영' 평가 반영
- [MG캐피탈은 지금]효성에서 새마을금고로, 28년 업력 바탕 새로운 전성기 준비
김예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VIG파트너스, 마제스티골프 최대주주 올랐다
- 게임 개발사 '앤유', 최대 300억 투자유치 추진
- 이녹스리튬, 2500억 모은다…한투PE·KB운용 리딩 FI로
- '우본 LP 확보' 신한자산운용, 1150억 인수금융 투자 펀드 결성
- 'HD한국조선 EB 인수' IMM크레딧, 산캐 앵커 LP로 유치
- 자동차 부품사 코렌스, 최대 300억 투자 유치 돌입
- '유니콘 등극' 리벨리온, 2000억 프리IPO 추진
- 배터리 장비사 세종기술, 150억 투자유치 추진
- EQT, 인천공항 폐기물 처리업체 '경인에코텍' 인수 완료
- '지붕형 태양광 인수' 스틱·에이치에너지, LP 모집 포인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