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그룹, 이르면 연내 수소사업 투자 개시 조주익 포스코 수소사업추진단장 "2차전지 소재만큼 기대"
이호준 기자공개 2022-07-07 14:37:09
이 기사는 2022년 07월 06일 17:1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포스코그룹이 이르면 올해 말 수소 사업 투자를 단행한다. 그동안 기술개발이나 MOU 체결 수준에 머물렀던 포스코그룹의 수소 사업이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조주익 포스코홀딩스 수소사업추진단장(전무)은 6일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 2022 인베스터 데이에 참석해 "수소도 2차전지 소재 사업만큼 기대해봐도 좋다"며 "이르면 올해 말, 늦어도 내년 안에 수소 투자 발표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그룹이 수소 사업에서 구체적인 투자 시점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포스코그룹은 지주회사 체제 전환을 추진하면서 수소 사업을 그룹의 역점 사업으로 키우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2050년까지 700만톤가량의 수소 생산 체제를 구축해 그룹 내 철강 등에 필요한 수소 500만톤과, 외부 판매를 위한 수소 200만톤을 공급한다는 게 골자다.
목표는 있었지만 아직까지 돈이 투입된 적은 없었다. 현재 포스코그룹이 진행 중인 수소 프로젝트는 총 7건이다. 말레이시아, 호주, 오만, 사우디비아라비아에서 진행되는 4건의 해외 프로젝트와 국내 3건이다. 지금까지는 사업 타당성을 조사하는 초기 단계다.
투자가 시작되면 포스코그룹의 생산설비 구축에도 한층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앞서 포스코그룹은 향후 5년간 수소사업을 포함한 친환경미래소재 분야에 약 5조3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기술 개발에 나서거나 MOU를 체결하는 수준을 넘어 JV(합작법인) 설립, 부지 확보, 수소 공장 착공 등의 실제적인 움직임이 예상된다.
수요 시기에 따라 투자 시점은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사업 초기인 만큼 수소 분야는 아직까지 정부 주도로 이뤄지고 있다. 공공 시설 등지에서 수소 사용 비율이 높아지고 공급처가 확정돼야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다.
포스코그룹이 예상 매출을 밝히지 않고 있는 이유다. 포스코그룹은 친환경미래소재 분야 중 하나인 2차전지 사업에서 2030년까지 매출액 41조원 달성을 예고했다. 하지만 같은 친환경미래소재 분야 중 하나인 수소에서는 예상 매출액을 밝히지 않고 있다. 그린수소·블루수소 생산 기술이 아직 부재한 데다 수요 불확실성이 남아 있는 시장 상황을 고려한 판단이다.
조 전무는 "아직까지 예상 매출을 구체화할 수는 없고, 수소 투자는 수요 시기를 고려하면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6일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에서 포스코홀딩스 조주익 수소사업추진단장(왼쪽에서 첫번째)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CFO 워치/네이버]김남선의 발빠른 전략 선회 '자사주 소각 대신 현금 활용'
- 넷마블, 스핀엑스 유상감자로 본사 재무구조 개선
- 스튜디오드래곤, 역대급 실적에도 아쉬운 IR
- KT가 그리는 디지털 헬스케어 전략 방향은
- IPO 앞둔 쏘카, 회계기준 위반 '경고'
- 이녹스첨단소재, 고부가 OLED·기판 소재 실적 쌍끌이
- [엔데믹시대, 가전업 재고 리스크 점검]SK매직, 재고 건전성 레벨업 '평가충당금 축소'
- [글로벌 코인거래소 동향 체크]NXC의 비트스탬프 활용법…이익 대신 포폴 확장
- [ESG 모니터/하이브]ESG위원회 설립…'위버스 앨범' 환경 경영 첫 걸음
- [게임사 투자유치 전략]K-게임 눈뜬 투자자 잡아라…IR 역량 키우는 게임사들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지속가능경영 리뷰]현대오일뱅크, 중요이슈에 '이사회 리더십' 선정
- [잭팟 터트린 K방산]KAI의 유럽 진출, 수출확대 교두보 마련
- 김교현 롯데케미칼 부회장 "투자 계획 속도 조절"
- SK네트웍스도 BSM 도입, 이사회 중심 경영 '박차'
- LX하우시스, 상하이 법인 정리 수순
- 잘하는 것과 잘해야 할 것
- 고려아연의 잇단 M&A , 자원순환 사업 속도
- 모빌리티 생태계 대응하는 GS, '모빌리티 협의체' 눈길
- [러시아 리스크, 상사는 지금]GS글로벌, '친환경·헬스케어'에서 돌파구 찾을까
- [지속가능경영 리뷰]포스코케미칼, '공급망 관리'에 방점...그룹과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