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경영분석]웰컴저축, 손실흡수 능력 지속 개선…순익도 선방BIS자본비율 2분기 연속 상승…위험가중자산 감소
이기욱 기자공개 2023-09-08 08:23:42
이 기사는 2023년 09월 07일 14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웰컴저축은행이 업계 위기 상황에 맞춰 손실 흡수 능력을 개선시키고 있다. 지난해말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금을 늘린데 이어 상반기에는 위험가중자산도 성공적으로 줄였다. 예치금 등 안전자산 위주의 자금 운용을 통해 유동성 비율도 크게 높이는 등 위기 대응에 역량을 집중하는 모습이다.7일 업계에 따르면 웰컴저축은행은 올해 상반기 23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지난해 동기(519억원) 대비 54.1% 줄어들었지만 페퍼저축은행(-429억원), 애큐온저축은행(-329억원), 다올저축은행(-113억원) 등 적자를 기록한 경쟁사에 비해 선방했다.
타 저축은행들과 마찬가지로 이자비용이 크게 증가했다. 상반기 총 1216억원으로 지난해 동기(606억원) 대비 두 배 이상 늘었다. 대출 이자이익도 2787억원에서 2913억원으로 4.5% 증가했지만 이자비용 증가폭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유가증권 관련 수익이 일부나마 수익성 방어에 기여했다. 매도가능증권 처분이익이 39억원에서 120억원으로 늘어났다. 24억원에서 64억원으로 늘어난 할부금융 이자도 힘을 보탰다. 내실 경영 기조 속 대출 채권 잔액은 5조7314억원에서 5조2430억원으로 8.5% 감소했지만 할부금융 채권은 728억원에서 816억원으로 12.1% 증가했다. 그동안의 포트폴리오 다각화 노력이 조금씩 효과를 보이고 있다.
수익성보다 눈길을 끄는 것은 손실흡수능력 개선이다. 6월말 기준 웰컴저축은행의 BIS자기자본비율은 14.07%로 집계됐다. 지난해말(12.51%) 이후 2분기 연속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말(11.84%) 보다는 2.23%포인트 높다. 주요 5개 저축은행(SBI·OK·웰컴·페퍼·애큐온저축은행)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말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이후 926억원의 자본잉여금이 생겼고 위험가중자산도 성공적으로 줄여나가고 있다. 6월말 기준 총 위험가중자산은 5조5165억원으로 지난해말(5조9940억원) 대비 8.7% 감소했다. 3월말(5조8147억원)과 비교해도 5.1% 줄어들었다.
연체 채권의 비중은 확대됐지만 그 부실 위험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6월말 고정이하여신비중은 7.58%로 지난해말(6.25%) 대비 1.33%포인트 높아졌다. 하지만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등 채권 분류 단계별 손실위험도를 가중한 손실위험도 가중여신비율은 25.16%에서 24.27%로 0.89%포인트 낮아졌다. 특히 위험도가 가장 높은 추정손실 대출 채권이 1671억원에서 1446억원으로 13.5% 줄어들었다.
안전자산 위주의 자금운용을 통해 유동성 비율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대출 자산을 줄이는 대신 저축은행중앙회 예치금을 늘렸다. 6월말 기준 저축은행중앙회 일반 예치금 잔액은 5100억원으로 지난해말(1450억원) 대비 251.7% 늘어났다.
현금 및 예치금 잔액은 1조762억원으로 지난해말(9939억원) 대비 8.3% 증가했다. 유동성 비율 역시 같은 기간 159.68%에서 243.42%로 83.74%포인트 높아졌다. 저축은행 감독규정에 따른 규제 기준인 100%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타 저축은행들과 마찬가지로 고위험자산인 부동산PF 대출에 대한 건전성 관리는 향후 주요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6월말 기준 웰컴저축은행의 부동산PF대출 잔액은 6403억원으로 지난해말(6743억원) 대비 5.04% 줄어들었다. 하지만 부동산PF 대출의 연체액은 44억원에서 236억원으로 5배 이상 늘어났다. 연체율 역시 0.01%에서 3.68%로 3.67%포인트 상승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우리금융, '회장 3연임 주총 특별결의' 신설…금융권 영향은
- [카드사 글로벌전략 점검]신한카드, 글로벌 4각편대…카자흐, 'JV전환' 덕 봤다
- [여전사경영분석]NH농협캐피탈, 건전성 중심 운영 지속…상반기 실적 전망은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CET1비율 새 목표 '13%', 자본 배치 계획은
- [캐피탈사 해외법인 실적 점검]BNK캐피탈, 중앙아 법인 성장 궤도 안착…신사업 추진 지속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금융지주 계열 생보사, 중위권 싸움 불붙는다
- [Rating Watch]등급 상향 기대감 LG CNS, 남은 트리거 ‘차입금의존도’
- [IR Briefing]카카오뱅크, 월등한 여신 성장 자신감 배경엔 '개인사업자'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임종룡 회장 '비은행' 재건 완수, 추가 보강 계획은
- [은행경영분석]카카오뱅크, 수신 운용이 견인한 순익 성장세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BIO KOREA 2025]셀인셀즈, 오가노이드 원천기술 우수성 입증 "이제는 BD"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1억에 부도, 오너 분쟁 격화…원용민 CFO "정상화 우선"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차입 500억에 회생신청? 오너 분쟁에 기업 존폐 기로
- [동성제약 오너십 체인지]삼촌 이양구 회장에 맞선 조카 나원균 대표, 우군 확보 사활
- [BIO KOREA 2025]주요국 넘어 중동까지, 'K-바이오' 기회의 장 넓어진다
- 카카오헬스, 300억 유증의 의미 '그룹 신성장' 위상 굳히기
- [바이오 스톡 오해와 진실]보로노이 'VRN11' 임상 데이터 이견, 핵심은 약 없는 'C797S'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JW중외제약, 빈혈 치료제는 지연…기대되는 '통풍 신약'
- 제테마, 필러 중국서 '첫 발'…차별화는 '안전성·고급화'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 안보는 동국제약, 제네릭 잇는 '의료기기'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