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경영분석]웰컴저축, 외형 축소 흐름 지속…대출 영업 질적 개선대출 채권 잔액 2분기 연속 감소…담보대출 비중 확대
이기욱 기자공개 2023-06-09 08:16:06
이 기사는 2023년 06월 08일 16시2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웰컴저축은행이 금리인상 등 외부 악재에 대응해 내실 경영 기조를 강화하고 있다. 수익성보다는 안전자산 위주의 대출 영업 전략을 펼치며 선제적 리스크 관리에 나서는 모습이다. 금리인상에도 대출 금리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해말 시작된 외형 축소 흐름도 올해까지 이어지고 있다. 담보 대출 비중 확대 등 대출 영업의 질적 개선이 올해 경영의 최대 화두가 될 전망이다.웰컴저축은행이 최근 발표한 '2023년 1분기 경영 현황'에 따르면 웰컴저축은행은 올해 1분기 81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270억원) 대비 70%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동기(289억원)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이자비용(609억원)이 실적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웰컴저축은행은 지난해 4분기부터 금리인상, 경기침체 등 외부 악재에 대응해 영업 속도를 조절해왔다. 지난해 3분기말 기준 웰컴저축은행의 대출 채권 잔액은 6조136억원을 기록했으나 지난해말 5조8042억원으로 3.5% 줄어들었다. 올해 1분기말에는 5조6114억원으로 더욱 감소했다.
중소기업대출이 지난해말 2조8590억원에서 2조7260억원으로 4.7% 줄어들었으며 가계대출 잔액도 2조4263억원에서 2조3819억원으로 1.8% 감소했다. 고위험군 대출로 평가되는 부동산PF대출도 6743억원에서 6427억원으로 4.7% 줄어들었다.
외형 축소와 함께 질적 개선도 작업도 함께 진행됐다. 1분기말 기준 웰컴저축은행의 담보대출 잔액은 2조200억원으로 전체 대출 대비 비중은 36.53%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말(35.56%) 대비 0.97%포인트 확대된 수치다. 지난해 3분기말(35.39%)과 비교하면 1.14%포인트 늘어났다.
안전 자산 위주의 영업 전략으로 인해 수익성은 다소 악화된 모습이다. 1분기 웰컴저축은행의 대출 채권 평균 잔액은 5조3014억원으로 여기서 발생한 이자수익은 1516억원으로 집계됐다. 연 평균 이자율은 11.43% 수준이다.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연 평균 금리(11%)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1분기 예수부채 평균 금리는 4.07%로 지난해(2.37%) 대비 1.7%포인트 상승했다. 평균 예대금리차는 지난해 8.62%포인트에서 7.37%포인트로 1.25%포인트 축소됐다.
건전성 지표는 지난해 대비 소폭 악화됐다. 1분기말 기준 고정이하여신비율은 6.83%로 지난해말(6.25%)보다 0.58%포인트 상승했다. 전체 여신액 규모 감소에도 불구하고 고정이하여신 잔액이 3630억원에서 3835억원으로 5.6% 증가했다.
대신 상대적으로 부실 위험이 높은 회수의문 채권과 추정손실 채권의 비중이 낮아졌다. 회수의문 여신은 1020억원에서 978억원으로 4.1% 줄어들었고 추정손실 여신도 1690억원에서 1578억원으로 6.6% 감소했다. 대손충당금 전입액 규모도 611억원에서 581억원으로 4.9% 줄어들었다.
유동성비율과 BIS자기자본비율도 개선 흐름을 보였다. 유동성 비율은 지난해말 159.68%에서 162.77%로 소폭 상승했으며 BIS자기자본비율도 12.51%에서 13.04%로 0.53%포인트 높아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배터리솔루션즈 "IPO 계획 변함없다"
- 다나와 "그래픽카드 거래액 증가…신제품 출시 효과"
- 메리츠증권 PBS 진출 사력…NH증권 키맨 영입 '불발'
- VIP운용 조창현 매니저, '올시즌 2호' 4년만에 내놨다
- [2025 주총 행동주의 리포트]머스트의 조용한 '구조 개입'…침묵이 아닌 설계
- 한국증권, 채권형 중심 가판대 재정비
- 알토스벤처스, 크림 구주 인수 검토…1조보다 낮은 밸류
- 한화증권, 해외 라인업 강화 스탠스 '고수'
- [연금시장에 분 RA 바람]금융사도 일임 경쟁 참전…관건은 은행권 확보
- [택스센터를 움직이는 사람들]"고객만족 최우선시, 시나리오별 절세 노하우 제공"
이기욱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삼일제약, 자사주 활용 메자닌 차환 일석이조 '재무효과'
- 지오영, MBK 체제 첫 주주환원…비결은 고금리 장기차입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굳건한 신약 '투 톱' 대웅제약, 엔블로 병용요법 두각
- '유통→제조업' 서울리거, 미용의료 체질 개선 본격화
- [제약사 IPO 전략 점검]아이디언스, 일동제약 '신약 가치' 지킬 최후의 보루
- 지오영 '토탈 헬스케어' 속도, IT솔루션 신사업 추진
- [thebell interview]엠비디 "기술수출 기반 해외 활로 확장, IPO 계획 이상무"
- 퓨쳐켐 'ORR 60%' 숨은 의미, 규제기관·경쟁사와 다른 기준
- 에스바이오메딕스, PD '톱 데이터' 재확인 미국 3상 직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