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니드온, 배터리 셀 자동 추출 장비 첫 선 배터리 모듈에서 셀 추출 90초 소요…배터리 셀 손상 최소화
성상우 기자공개 2023-09-22 13:35:28
이 기사는 2023년 09월 22일 13:32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상장사 소니드의 자회사 소니드온이 배터리 모듈에서 배터리 셀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장비를 처음 선보였다.소니드온은 2023년 친환경에너지 페스티벌에 참가했다고 22일 밝혔다. 충청북도와 음성군이 공동 주최하는 친환경에너지 페스티벌은 오는 23일까지 충북 혁신도시 수소안전뮤지엄 일원에서 진행된다.
이번에 공개된 자동화 설비는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기존 배터리 셀 해체 작업에 비해 △배터리 셀 손상 최소화 △인건비 절감 △작업 시간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는 설명이다. 기존 작업에서는 사람이 전기톱을 이용해 수작업으로 해체하는 과정에써 배터리 셀 손상 문제가 있었다. 숙련도에 따라 작업 시간도 천차만별로 달랐다. 반면 소니드온의 자동화 설비는 배터리 셀 해체 작업에 일률적으로 1분 30초가 소요된다.
소니드온은 전국에서 나오는 전기차 배터리를 수거해 회수·보관, 성능 검사 및 해체하는 등 사업을 진행 중이다. 배터리 모듈에서 추출한 배터리 셀은 성능 검사 후 해체를 통해 재사용 또는 재활용 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의 핵심 단계로 주목 받고 있다.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을 일정한 개수로 묶어 프레임에 넣은 배터리 조립체를 말한다. 배터리 모듈을 묶어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BMS) 등 배터리 제어·보호를 위한 시스템을 장착하면 배터리 팩이 완성되는 구조다.

소니드온은 향후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관리 체계를 갖춘 전기차 회수·보관 및 자원화센터를 설립·운영할 계획이다. 전기차 해체 매뉴얼과 전기차 안전 해체 공정 및 ESS 화재 예방 시스템도 개발을 완료하고 특허 출원 중이다.
최근엔 청주시 오창읍에 8896제곱미터(약 2690평) 규모의 공장을 매입했다. 청주시 인근 배터리 제조 및 생산기업들과 연계해 유가 금속 회수율 98% 이상의 블랙 매스를 생산할 계획이다.
김진섭 소니드온 김진섭 대표는 "이차전지 사업 메카인 충북 내 업계 관계자들이 이번에 선보인 자동화 설비에 대한 큰 관심을 나타냈다”며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만큼 비용 절감이 화두가 되고 있어 당사의 장비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해체 업무를 의뢰하는 상담도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더스트리
-
- '주주환원' 시노펙스, 주식배당 무상증자 결정
- 다이나믹디자인, 글로벌 타이어 피렐리 전략공급사 선정
- 더코디, 서울과기대 손잡고 'AI 에듀테크' 시장 진출
- [삼성 AI 로드맵]똑똑한 메모리 등장, 투자 공세 유지
- [AI 의료 기업 리포트]100억 매출 돌파 앞둔 뷰노, 못지킨 약속 달라진 전략
- [레디 포 6G]표준화 작업 앞장 SKT, 글로벌 6G 리더십 확보 몰두
- [라인게임즈 2.0 돋보기]어깨 무거운 '창세기전'…신임 경영진 첫 시험대
-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 추가 인력 충원에 쏠리는 이목
- 블랙핑크 잡은 YG엔터, 다음 과제 '연착륙'
- [IBW 2023]'젊은' 인도, 블록체인 중심지로 떠오르다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세진중공업, 적자 전환 시점에 2세 윤지원 체제 ‘굳히기’
- [기술특례 코스닥 재점검]첫날 ‘30%↓’ 핀텔, FI 는 일제히 투자금 회수
- 이지트로닉스, ‘저전압 방지 EV 충전’ 특허
- [기술특례 코스닥 재점검]정부 의존도 높은 핀텔…매출 추정치 달성률 '30%'
- 코스닥 ‘추정 실적’이 안 맞는 이유
- 우리넷, 이음5G 자체 시험망 구축
- [Red & Blue/특징주]에이텀, 이틀새 주가 '반토막'…흑자 전환은 '내년'
- [Company Watch]잘 나가던 인텔리안테크, 돌연 수익성 '주춤'
- [기술특례 코스닥 재점검]'지분 11%'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 지배력 높일 묘수는
- 메가터치, 차세대 2차전지 정부사업 예타 통과 '호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