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밸류업 점검]발목 잡는 지배구조 부담④삼성 등 관계사 주식, 지급여력비율 하방 압력
이재용 기자공개 2024-09-20 10:54:03
[편집자주]
K-밸류업 정책이 본격화 하면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윤곽을 드러냈다. 기업들은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하는 등 바쁘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지배구조, 이익창출력, 주주가치 등 여러 방면에서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정책에 호응하는 한편 미래지속가능성장을 위한 투자유치 기회로 삼았다. 삼성생명이 준비하는 밸류업 전략을 살펴보고 시장의 가치평가 기준이 되는 여러 재무·비재무 요소를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24년 09월 13일 11:44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생명의 지급여력(킥스·K-ICS)비율은 4개 분기 연속 하락세다. 보험사는 통상 킥스비율을 기준으로 자본정책을 세운다. 즉 킥스비율이 하락세라는 건 자본 활용 여력이 줄어들고 있다는 의미다. 기업가치 제고(밸류업)를 위해 주주환원율 목표치를 50%로 설정한 삼성생명엔 악재다.경상이익 증가로 지급여력금액(가용자본)은 늘었지만 지급여력기준금액(요구자본)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며 킥스비율을 끌어내렸다. 특히 요구자본 하위 항목인 시장리스크의 부담이 크다. 사실상 삼성 금융계열사의 중간지주이자 총수일가의 지배구조 주축 역할을 맡고 있는 영향이다.
◇자본적정성·주주환원 여력 가늠자 킥스비율 연속 하락
실적발표 자료에 따르면 삼성생명의 올해 상반기 기준 킥스비율 잠정치는 200~210%다. 직전분기 212.8% 대비 2.8~12.8%포인트 낮다. 지난해 상반기 223.5%를 기록한 이후 4개 분기 연속 하락세다. 가용자본의 증가 폭보다 리스크량인 요구자본의 증가폭이 더 큰 탓이다.
올해 1분기 기준 요구자본의 규모는 25조5940억원이다. 1년전 21조8250억원보다 17.3%(3조7690억원) 증가했다. 요구자본의 하위 리스크액은 4개로 그 중 시장리스크액이 24조620억원으로 가장 크다. 통상 보험리스크액이 큰 다른 보험사들과는 대조적이다.
시장리스크는 시장변수와 자산포트폴리오의 분산도 부족 등으로 인해 잠재적 경제 손실이 발생할 위험이다. 하위 리스크로는 금리, 주식, 부동산, 외환, 자산집중리스크가 있다. 이 중 리스크액 규모로 가장 리스크가 크게 측정된 항목은 주식리스크다.
지난해 말 기준(이후 수치 공시 전) 주식리스크액은 20조7565억원으로 나타났다. 주식리스크액의 대부분은 15조5812억원으로 집계된 선진시장 상장주식리스크액이다. 선진시장 상장주식은 FTSE 선진국 지수에 편입된 국가의 증권거래소 등에 상장된 보통주 주식을 의미한다.
◇무거운 관계사 주식…삼성 지배구조 연결고리 부담
삼성생명의 운용자산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선진시장 상장주식리스크액은 삼성 관계사 주식에서 비롯된 것을 알 수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운용자산 219조6590억원 중 주식의 규모는 48조6590억원이다. 이 가운데 95.8%에 해당하는 46조6270억원이 관계사 주식이다.
이런 배경에는 삼성생명이 그룹 내에서 맡고 있는 역할과 관련이 있다. 삼성생명은 삼성금융계열사들을 거느린 중간금융지주이면서 총수일가→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이어지는 지배구조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역할상 보유주식이 많다 보니 위험에 대한 민감도도 높은 것이다.
삼성생명은 삼성SRA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등 4개의 자산운용 계열사를 비롯해 삼성카드(지분율 71.86%)를 종속회사로 두고 있다. 또 삼성증권과 삼성화재 각각 지분 29.39%, 14.98%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이와 동시에 삼성전자 지분 8.51%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총수일가가 그룹 최대 계열사를 지배하는 구조의 핵심 연결고리가 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코스닥 첨단전략산업 돋보기]배터리솔루션즈, 배터리 재활용 '해외 선제 투자'
- [와이즈넛 road to IPO]기대 못미친 수요예측 성적표, 성장성 의구심
- [건기식 R&D 스토리]휴온스푸디언스, 2년만 신규 개별인정형 원료 확보
- [Red & Blue]'휴머노이드' 섹터 각광, 하이젠알앤엠 수혜 부각
- [i-point]'큐브엔터 계열' 아더월드, SL:U 두 번째 시즌 공개
- [thebell note]'가지치기' 필요한 LCC 시장
- [캐피탈사 생크션 리스크]금융사고 안전지대는 없다…강화하는 제재망
- [새마을금고 경영 쇄신]비대해진 이사회, 26명 중 사외이사는 단 9명
- [생크션 리스크 매니지먼트]우리금융, 준법감시·내부통제 조직 '달라진 위상'
- [카드사 생크션 리스크]롯데카드, CEO 직속 내부통제위→이사회 소위원회로 격상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2025 금융권 신경영지도]수협은행, IB에 힘 싣고 비이자 확보 '드라이브'
- 한화생명, 노부은행 인수 7부 능선…현지 생크션 리스크 관건
- 금융지주, 외부 핀테크 지분투자 15%까지 허용한다
- 법인, 코인 거래 가능해진다…가상자산 2단계법도 추진
- [금융사 생크션 리스크]광주은행, 자회사관리·내부통제 '총체적' 미비
- 강석훈 산은 회장 "부산 이전 계속 추진"
- [금융사 생크션 리스크]무풍지대 농협은행, 비결은 '매뉴얼·전담조직'
- [금융사 생크션 리스크]NH농협은행, AML 경종 울린 미국 '본보기 제재'
- 기업은행, 중기 '키다리 아저씨' 역할 강화한다
- 신성장동력 확보·경제 견인차 '한국산업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