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5년 02월 04일 07시0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첫 시행하는 생애 최초 전기차 구매 보조금 정책은 실패한 정책이다."중국 전기차 브랜드 BYD가 올해 국내 수입차 시장의 메기로 등장하자 자동차산업 교수들이 우려를 표했다. 생애 첫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통해 가격 경쟁력을 갖춘 중국 전기차 브랜드의 '충성 고객' 모집에 속도가 붙을 가능성이 농후한 탓이다. 국내 소비자의 혜택을 늘린 정책이 국내 완성차업체를 향한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BYD가 국내 진출 시기를 앞당긴 배경도 일맥상통한다. 업계에 따르면 BYD는 지난해 상반기까지는 국내 진출 시기를 2026년으로 수립한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전기차 캐즘과 한국 소비자의 높은 기준을 맞추기 위해 '아토3' 상품성을 높인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출시해 고급화 전략을 꾀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BYD의 국내 진출은 예상보다 황급히 이뤄졌다. 새로운 모델이 아닌 2022년 출시한 아토3를 시장에 내놓았다. 환경부가 올해부터 19~34세 청년들이 생애 최초로 전기차를 구매할 시 보조금을 20% 추가로 지원하기로 한 영향이다. 보조금 혜택을 받을 시 2000만원대에 판매하는 '저가 공세' 전략으로 우회한 것으로 풀이된다.
BYD는 저렴한 전기차를 보급하며 충성 고객을 모집할 계획이다. 청년층 위주로 가성비 제품을 공급해 재구매율을 높이는 내용이 골자다. 과거 현대차그룹이 미국 시장을 공략할 때 사용한 전략과 동일하다. 자녀 수에 따라 보조금을 추가 지급하는 정책도 BYD 판매량 확대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완성차 업계도 생애 첫 전기차 구매 보조금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동급 모델인 현대차의 코나 일렉트릭과 기아 EV3보다 약 800만원 저렴해 청년층의 첫 구매 브랜드로 자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BYD는 올 3분기부터 신차에 자율주행 기술도 탑재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상품성도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청년층의 재구매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부가 생애 첫 전기차 구매 보조금 정책을 시행하면서 중국 전기차 브랜드가 활약할 수있는 판을 만들었다. 전 세계적으로 자국 기업에 혜택을 늘리는 등 보호 무역주의를 강화하는 모습과 상반된 모습이다.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 정책의 오류를 몰랐을까. 국내 기업이 전기차 분야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지원책으로 정책 수정이 필요한 시기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MBK, 미국 SI 손잡고 '일본 FICT' 인수한다
- [i-point]한컴라이프케어, 총기 제조사 베레타와 업무협약
- [i-point]라온시큐어-모니터랩, 손잡고 제로 트러스트 보안 사업 추진
- [SOOP을 움직이는 사람들]'터줏대감' 최동근 전무, 리브랜딩·글로벌 확장 기술 책임자
- [퀀텀점프 2025]ICTK "보안의 시대 불가피, 수출 가능한 국내 유일 보안칩"
- [퀀텀점프 2025]'보안칩 강자' 아이씨티케이, 대량 양산체제 전환 임박
- 빨라지는 바이오노트 승계, 장녀로 넘어간 485억어치 지분
- [클리니컬 리포트]강스템, '오스카' 1년 안정성 확보…'유효기간 2배 연장'
- [thebell interview]씨어스테크놀로지의 SI 활용법, '글로벌·B2C' 진출 발판
- [제약바이오 시총분석]보릿고개 버틴 엔솔바이오, 몸값 3000억 안착 'P2K 기대감'
박완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note]BYD 날개 달아준 '생애 첫 보조금'
- [Earning & Consensus]'최대 실적' 한국타이어, '영업익 32% 급증' 배경은
- [Company Watch]유럽 매출 '우상향' 금호타이어, '이참에' 공장 투자까지
- [현대차그룹 글로벌 정면승부]기회의 땅 '아프리카' 격전지 부상...중국과 '힘 겨루기'
- [현대차그룹 글로벌 정면승부]폭스바겐과 격차 좁힌다…핵심은 '중남미 공략'
- [현대차그룹 글로벌 정면승부]픽업트럭 첫 공략지 '중동·호주', 최종 목적지 '미국'
- [퍼포먼스&스톡]현대차, 2년 연속 '최대 매출' 경신…주가도 반등
- [현대차그룹 글로벌 정면승부]'역발상' 8년만에 중국 재투자 나섰다
- [현대차그룹 글로벌 정면승부]퍼스트 무버 핵심 'AI·수소'…'신거점·시너지' 확보 총력
- [트럼프발 전기차 생크션 리스크]현대차그룹, 신성장 동력 '흔들'…위협받는 '2030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