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시총분석]보릿고개 버틴 엔솔바이오, 몸값 3000억 안착 'P2K 기대감'1년새 시총 10배 상승…주력 물질 3분기 3상 결론, 투자자까지 확보
김진호 기자공개 2025-02-06 09:13:04
[편집자주]
시가총액이 반드시 기업가치를 대변하는 건 아니다. 신약개발에 도전하는 바이오업체일수록 더욱 그렇다. 하지만 시가총액은 제약바이오산업의 상황을 보여주는 좋은 잣대가 되기도 한다. 임상 결과나 기술이전(라이선스아웃) 등이 빠르게 반영되고 시장 상황도 고스란히 반영되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에 상장된 제약바이오 회사의 시가총액 추이를 통해 제약바이오 산업의 이슈와 자본시장의 흐름을 짚어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2월 05일 08시23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넥스 상장 기업 엔솔바이오사이언스. 2023년 말 코스닥 이전 상장 계획이 실패로 돌아가며 보릿고개를 넘었다. 그리고 1년여 지난 현재 주가가 급등하며 몸값이 처음으로 3000억원대를 기록했다. 지난 1년간 주가는 무려 10배 올랐다.주력 파이프라인인 퇴행성 디스크 신약 후보 'P2K'의 추가 기술수출과 글로벌 개발 진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주효하게 작용했다. 또 잇단 투자 유치 성과까지 어우러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이끌어냈다. 올해 3분기께 미국 파트너사가 수행 중인 P2K의 임상 3상 결론이 도출된다. 이전상장 청신호가 기대된다.
◇3천원짜리 주식 3만원대로, P2K 개발 진전 관심
코넥스 시장에서 엔솔바이오사이언스의 주가는 최근 4거래일간 9~30%씩 급상승했다. 4일 현재 주가는 3만4650원으로 약 62% 상승했다.
이달 3일 시총이 처음으로 3000억원을 돌파했고 4일 기준 3788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주가가 3000원대에 그쳤던 작년 2월과 비교하면 1년사이 밸류가 10배 올랐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의 시총 상승은 2023년 12월 코스닥 이전상장을 자진철회한 뒤 연달아 내놓은 성과와 연관된다. 주력 파이프라인은 '종양성장인자(TGF)-베타(β)1'을 조절해 통증을 제어하는 신규 기전의 혁신신약 후보인 P2K(미국 프로젝트명 SB-01)의 성과와도 직결된다.
P2K는 2009년 유한양행에 기술수출한 뒤 2018년 미국 스파인바이오파마(스파인)에 퇴행성 디스크 적응증에 대한 개발 권리를 재수출했다. 3000~4000원을 오가던 주가가 6000원에 안착하게 된 시점은 작년 6월부터다. 당시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스파인과 P2K의 적응증을 확장할 수 있도록 재계약을 맺었다.
작년 9월 본격적인 상승국면을 맞아 주가는 1만원을 넘어섰다. 당시 P2K의 퇴행성 디스크 관련 글로벌 임상 3상의 환자모집이 완료된 시점이다. 외신을 통해 스파인의 최고기술책임자(CTO)가 개발 성공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내면서 투자자의 관심은 더 커졌다. 올해 3월 P2K의 임상 3상이 종료된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P2K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해 시총이 크게 오른 것 같다"며 "오는 7~8월 경에 임상 3상의 결과를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일스톤·투자유치금, 차기 물질 밸류업에 활용
엔솔바이오사이언스에 대한 기대감은 투자유치에서도 드러났다. 이전 상장 철회로 인해 보릿고개를 간신히 넘었던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2022년부터 연을 맺어온 마그나인베스트먼트로부터 추가 수혈을 받은데 이어 작년 말에는 경영컨설팅사 스마트앤그로스의 형인우 대표로부터 100억원의 추가 조달을 했다. 형 대표는 '슈퍼개미'로도 이름을 알린 인물이라 이를 투자자로 확보한데 대한 상징성까지 확보하게 됐다.
더욱이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P2K 외에도 임상에 진입했거나 임박한 물질 3종을 더 보유하고 있어 추가 밸류업에 대한 기대감을 자아냈다. 작년에 수령한 기술수출 계약금과 마일스톤, 투자유치금 등을 차기 물질의 밸류업 작업에 쏟고 있다.
국내 임상 3상 진입을 준비하는 골관절염치료제 후보 'E1K'를 필두로 면역항암제병용항암제 ‘C1K(임상 1b/2a상 준비)’, 알츠하이머병치료제 ‘M1K(임상 1상 준비)’ 등의 파이프라인이 있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어려운 환경에서 투자유치를 이어왔다"며 "회사 자산의 가치를 높일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코스닥 이전상장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 P2K의 성과를 내세워 작년 12월 기술성평가를 재신청했다. 올해 상반기 중 한국거래소에 상장 예심를 신청할 방침이다. 연내 코스닥 입성을 목표로 삼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은행경영분석]KB금융 5조 클럽 입성, 역대급 실적에 역대급 주주환원
- [컨콜 Q&A 리뷰]하나금융, 역대급 자사주 소각에 'RWA 성장률' 관심 집중
- [컨콜 Q&A 리뷰]권태훈 카카오뱅크 CFO 컨콜 데뷔전…밸류업 '착착'
- 새마을금고, 자추위 설치…지배구조 개혁 '속도'
- 금감원, 우리금융 CET1 하락 가능성 제기…IR 이목 집중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 쟁점 떠오른 '계약금 몰취' 조항
- [thebell note]저축은행중앙회의 뿌리 깊은 관행
- [중견·중소 보험사는 지금]대한생명 출신이 이끈 한화손보 2년, 거뜬한 '합격점'
- [보험사 생크션 리스크]동양생명, 소비자보호 개선에도 경영개선 과제 지속
- [Red & Blue]'삼양 파트너' 에스앤디, 불닭볶음면 효과 주가 '훨훨'
김진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클리니컬 리포트]강스템, '오스카' 1년 안정성 확보…'유효기간 2배 연장'
- [제약바이오 시총분석]보릿고개 버틴 엔솔바이오, 몸값 3000억 안착 'P2K 기대감'
- [thebell interview]로완의 치매 솔루션 확장 전략 '병의원부터 로봇까지'
- [루키 바이오텍]약 없는 난청, 항체로 돌파구 마련한 뉴라클사이언스
- '올해 보여줄 것 많다' 제놀루션 오너가 자신감 '자사주 매입'
- 주가하락 국면 '소통행보' 티움바이오, 소액주주 대상 첫 IR
- [Policy Radar]상장폐지 시총요건 300억, 헬스·바이오 18곳 적신호
- [Policy Radar]저성과 기업 상폐에 속도, 바이오텍 시총 관리 관건
- '펩트론·지투지·인벤티지랩' DDS, 비만약 투약 개선 블루칩
- [thebell note]봄을 기대하는 '압타머' 개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