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돈 빌린 신창재 회장, '25% 담보 제한' 쟁점되나 기존 FI, 주주간 계약 주장...'최대 담보 설정' 신한·한투증권과 분쟁 가능성도
윤준영 기자공개 2025-02-12 08:34:06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1일 08시5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이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사모펀드(PEF) 운용사 어펄마캐피탈 투자금을 먼저 상환키로 한 데 따라 담보 설정 비율에 시선이 몰린다. 담보 설정 비율에 따라 신 회장의 추가 자금 조달 여력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는 어피니티 컨소시엄(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IMM프라이빗에쿼티·EQT파트너스·싱가포르투자청)과의 추가 거래에서도 변수가 될 전망이다.11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 회장은 지난 7일 어펄마캐피탈(이하 어펄마)로부터 교보생명 지분 5.33% 전량을 주당 19만8000원에 사들이는 계약을 체결했다. 매매대금은 약 2162억원이다. 그 결과 신 회장 지분율은 기존 33.7%에서 39%까지 늘었다. 어펄마는 지난 2007년 주당 18만5000원을 투입해 해당 지분을 인수했다.
해당 자금은 신한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 등 금융기관이 지원하기로 했다. 이에 신 회장이 자금을 빌리면서 제공한 담보규모에 관심이 쏠린다. 신 회장은 보유한 교보생명 지분 가운데 일부 또는 전부를 담보로 하는 일종의 주식담보대출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두 증권사 입장에선 신 회장 보유분 중 최대한 많은 물량을 담보로 잡는 편이 유리하다. '교보생명 사태'는 10년 가까이 법적 분쟁에 휘말린 만큼 자본시장 내에서 '까다로운 딜'이라는 이미지가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신 회장 측에 빌려준 대금을 확실히 상환 받기 위해 최대한 많은 규모의 지분을 담보로 주장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이에 신 회장이 교보생명 지분 전체를 담보로 제공했을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 기존 교보생명 지분 33.7%에 어펄마에서 되사온 지분 5.33%를 더해 약 39%를 담보로 제공했다는 의견이다.
문제는 기존 FI인 어피니티 컨소시엄에서 이 같은 담보규모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는 점이다. 어피니티 컨소시엄은 신 회장이 보유한 지분 25%에 대해 담보 설정을 막을 수 있는 권리를 지닌 것으로 전해진다. 만약 신 회장이 이를 어겼다면 법적 분쟁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법적 분쟁을 피하고자 했다면 신 회장은 보유 지분 중 25%를 제외한 14.03%만 담보로 제공했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LTV(담보인정비율)를 약 50%로 가정할 때 단순 계산으로 신 회장은 어펄마에서 되사온 지분 5.33%의 두 배인 약 10.66%을 담보로 제공했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비상장회사인 교보생명의 경우 이보다 좀 더 많은 담보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결국 적정 수준이 14%라는 주장이다.
그럼에도 신한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교보생명 지분 39%를 전부 담보로 잡았다면 향후 어피니티 컨소시엄에 갚아줄 자금까지 고려했다는 의견이 나온다. 어피니티 컨소시엄 보유 지분을 고려하면 신 회장이 조달해야 하는 자금은 1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교보생명 주당 가격을 20만원으로 산정한 금액이다. 어피니티 컨소시엄은 교보생명 지분 약 24%를 들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T AICT 파트너]'AI 중심 파트너십' 선언, 유망기업 키워 '과실' 얻는다
- [Red & Blue]'아디다스' 성장세 탄 화승엔터프라이즈, 수혜 집중
- [트럼프발 반도체 생크션 리스크]한층 거세질 '레드 메모리' 공세, 한국 공습경보 확산
- [Red & Blue]'자금 확충' 와이씨켐, 유리기판 핵심소재 양산 확정
- 최재원 SK수석부회장, SKT 미등기 임원 맡았다
- [i-point]한컴-삼성SDS, '국회 빅데이터 플랫폼' 사업 수주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고려아연 '제련기술' 국가핵심기술 지정될까
- [i-point]케이퓨처테크, 호텔페어서 AI 로봇 2종 선봬
- [Earnings & Consensus]신작 '보릿고개'인데도…펄어비스, 4년 만에 역성장 극복
- [Company Watch]안랩, 잘 나간 모기업 발목 잡은 자회사
윤준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증권사 돈 빌린 신창재 회장, '25% 담보 제한' 쟁점되나
- [한화 아워홈 인수 추진]장남·장녀 지분 인수하는 한화, 삼녀 측 법적 대응 나서나
- '브랜드 재건' 꿈꾸는 스킨푸드, 600억 밸류 인정받을까
- 한화비전 빠진 아워홈 인수전, 인수금융 주선사 줄선다
- 'IMM과 오랜 인연' 신한증권, 교보생명 지원군 나선 배경은
- 교보생명 신창재 회장, 신한증권·한국증권서 돈 빌린다
- '마녀공장 인수' 케이엘앤파트너스, 코인베 펀드 활용 장점은
- [LP Radar]방폐기금, 돌연 사모펀드 출자 않기로 결정…배경은
- 부산에쿼티파트너스, '리벨리온' 600억 투자 완료
- 케이엘앤파트너스, 마녀공장 인수 속도…코인베 활용 '가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