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빅파마, 트럼프측 만난다…정책 '불확실성' 해소될까 화이자·머크 등 빅파마 CEO 트럼프 정부 회동, 의약품 관세 부과 등 정책 방향성 확립 주목
김성아 기자공개 2025-02-19 07:15:28
이 기사는 2025년 02월 17일 16시0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의료 개혁 정책에 글로벌 빅파마가 대거 포진해 있는 미국 제약업계가 행동에 나섰다. 미국 제약업계는 '미국 제약협회(PhRMA)'를 구심점으로 트럼프 정부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 등을 만나 현재 대두되고 있는 의약품 관세 인상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신임 복지부 장관 취임 후 첫 회동, 화이자·머크 등 총출동
17일 미국 제약업계에 따르면 화이자, 머크 등 주요 제약사 CEO와 PhRMA는 이번 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화이자의 알버트 부르라(Albert Bourla) 회장, 롭 데이비스 머크(MSD) 대표 등이 참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정부 측에서는 트럼프 대통령보다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인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사진)가 등장할 가능성이 더 높게 점쳐지고 있다. 케네디 장관은 현지시간 13일 연방 상원의 인준 절차를 통과하며 장관직에 공식 취임했다.
이번 회동은 케네디 장관의 취임 후 첫 회동이라는 데 의미가 있다. 양 측은 작년 12월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자택에서 만찬 회동을 가진 바 있다.
케네디 장관은 '백신' 회의론자로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 케니디 장관은 20년 전부터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에 대해 음모론을 펼쳐 왔으며 백신이 자폐증을 유발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에 업계는 케네디 장관 임명 당시 성명을 발표하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업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케네디 장관이 취임에 성공하면서 미국 제약업계는 정부와의 협력으로 소통의 방향을 정했다.
부르라 화이자 회장은 2024년 4분기 컨퍼런스 콜을 통해 "케네디 장관의 견해를 이해하려고 노력 중"이라며 "만성질환, 심혈관 질환, 암 등에 대해서는 협력의 기회를 발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초미의 관심사 '의약품 정책'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도 촉각
이번 회동은 비공개 회담으로 알려졌다. 주요 의제에 대해서도 밝혀진 바가 없지만 외신 등에 따르면 이번 회담에서는 트럼프 정부가 제시한 의약계 개혁 방안 등에 대해 전반적인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국내 업계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대한 대대적 개혁 요구와 미국 내 의약품 관세 문제다.
현재 트럼프 정부는 케네디 장관의 FDA 비판 기조에 따라 FDA를 비롯한 복지부 산하 기관 인력 감축 등을 단행하고 있다. 케네디 장관은 작년 "FDA의 주요 목적은 제약회사의 상업적 이익을 위해 봉사하는 데 있다"고 강력히 비판한 바 있다.
FDA 출신 국내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의 인원 감축이 어떤 부서까지 단행될지 알 수 없지만 만약 해외 의약품 인허가 부서에도 영향이 있다면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도 영향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FDA 인허가를 위해 이미 많은 자금을 집행하고 있는 기업이 많은데 FDA 인원 감축으로 계획에 차질이 생기거나 허가에 투입되는 자금이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의약품 관세 문제 역시 눈여겨봐야 할 지점이다. 트럼프 정부는 최근 제네릭을 포함한 모든 국가의 의약품에 대한 관세 강화를 언급했다. 현재 국내 의약품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필수품으로 분류돼 면세로 수출되는 실정이지만 관세가 부과된다면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미국병원협회(AHA), 제네릭 의약품 로비 단체 접근가능 의약품 협회(AAM) 등은 이윤 마진 부족과 의약품 부족 역사를 언급하며 의약품 관세 면제를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의약품 정책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기조가 매우 불확실하다"며 "이번 제약업계와 정부 회동을 통해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된다면 적절한 대응 전략을 고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옵트론텍, 600% 상회하던 부채비율 158%로
- [i-point]옵트론텍 "강모씨 파산신청 법원이 기각"
- [i-point]케이쓰리아이, 호남권 유일 4K 돔영상관 구축
- [i-point]제일엠앤에스, 최대 매출 달성에도 적자 전환
- [김화진칼럼]이사회 구성의 다양성 폐기
- 국세청, 코빗·업비트 세무조사 착수…코인 업계 '긴장'
- [Red & Blue]JR에너지 맞손잡은 유진테크놀로지, 장비사업 기대감
- 김동명 LG엔솔 사장 "트럼프 변수 대비한 기업이 승자"
- 엘앤에프, 미국 LFP 투자 본격 검토…CFO 현지 출장
- 최수안 엘앤에프 부회장 "미국 LFP 투자, 자금 조달 방식 검토"
김성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IPO]지분 19% 쥔 차바이오그룹, 이유있는 상호 보완 관계
- 고바이오랩, 건기식 자회사 위바이옴 덕 '600억 매출'
- 미국 빅파마, 트럼프측 만난다…정책 '불확실성' 해소될까
- 큐라클, FDA와 후속 개발 논의 끝…기술이전 기반 다졌다
- 삼양홀딩스, 김경진 사장 사내이사로…바이오 대표 교체
- [한미 오너가 분쟁]차남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 사임…경영권 분쟁 '종식'
- [지놈앤컴퍼니는 지금]지향점 'ADC 신약', 매출원 포기 결단 'CDMO 사업 철수'
- [지놈앤컴퍼니는 지금]선급금 없는 '엘립시스' 딜, 리스크 줄이고 가능성 높인다
- [지놈앤컴퍼니는 지금]R&D 위한 '돈 버는 바이오' 겨냥, '신약' 선순환 결과로
- [한미 오너가 분쟁]형제 추천 사외이사 사임, 분쟁종식 가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