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오너가 분쟁]지주사 '전문경영인' 체제 시작, 신동국 인연 '김재교' 추대30년 유한양행맨, 메리츠서 바이오 투자 주도…이사회·주총 절차 촉각
김성아 기자공개 2025-02-25 18:25:47
이 기사는 2025년 02월 25일 18시2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미약품그룹 경영권 분쟁을 가깝고도 멀게 바라본 1년여의 시간들. 신동국 회장과 연을 맺었던 메리츠증권 IND본부를 이끌던 김재교 부사장이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로 추대된다. 이사회 및 정기주주총회 등 절차가 산적해 있는 상황이지만 오너일가측과 김 부사장은 이미 교감을 이룬 상태다.25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한미사이언스의 신임 대표이사로 김재교 메리츠증권 IND본부 총괄 부사장이 추대됐다. 전날 김 부사장은 오너일가 모녀인 송영숙 회장과 임주현 부회장을 만나 최종적으로 합을 맞추기로 입을 모았다.
김 부사장은 더벨과의 통화에서 "이렇다 할 얘기를 하기는 어렵지만 어제부로 사실상 한미사이언스로의 이적을 수락한 게 맞다"고 말했다.
신 회장 역시 "김재교 부사장을 임원으로 선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절차가 남아있어 단언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 부사장이 한미사이언스 대표이사 하마평에 오른 건 사실 작년부터다. 한창 신 회장과 오너가 차남 임종훈 사장이 첨예한 대립각을 내세우던 상황에서 김 부사장은 조언자이자 자문역으로 신 회장과 교류했다.
두 사람의 인연은 1년여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약업계에 잔뼈 굵은 인물을 찾고 있던 신 회장의 레이더에 김 부사장이 발탁되면서다.
김 부사장은 유한양행 글로벌전략부문장을 지내던 인물로 M&A 및 국내외 바이오텍 투자를 담당했다. 유한양행에서만 30여년을 근무한 베테랑으로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성장한 렉라자 등의 기술이전 딜을 직접 이끈 경험이 있다.
신 회장은 일찌감치 김 부사장을 전문경영인으로 꼽기는 했으니 김 부사장은 이에 대해 이렇다 할 입장을 밝히진 않았다. 메리츠증권에서 3년여 시간동안 투자해 놓은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는 일에 집중하면서다.
하지만 24일 송영숙 회장과 임주현 부회장을 만나고 최종 결정을 내렸고 한미약품그룹 지주사 한미사이언스로 이적하는 방안에 사실상 수락을 했다. 이는 결과적으로 신 회장이 낙점한 전문경영인을 오너일가 역시 받아들였다는 의미다.
신 회장은 송 회장이 임종훈 사장 후임으로 단독대표이사가 된 상황에서도 전문경영인에 대한 언급을 조심스레 했다. 혹여나 시장에 부정적 뉘앙스를 자아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결과적으로 모녀가 최종적으로 김 부사장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신 회장이 줄곧 주장했던 전문경영인 체제가 코앞에 다가오게 됐다.
신 회장은 더벨과의 통화에서 "이미 더벨도 알고 있었다시피 오래 전부터 평판체크 등을 했고 고민해 왔던 일"이라며 "다만 지금으로선 아무것도 결정된 바 없기 때문에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김 부사장 역시 더벨과의 인터뷰에서 "아직 많은 절차가 남아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겸허하게 상황을 지켜보는 것 말고는 달리 말할 수 있는게 없다"고 신중한 모습을 나타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미 오너가 분쟁]지주사 '전문경영인' 체제 시작, 신동국 인연 '김재교' 추대
- 셀트리온, 고희 바라보는 '서정진' 사내이사 2년 더 한다
- [i-point]큐브엔터, 우리사주조합 대상 유상증자 실시
- 대웅, 담당자 바뀌어도 CFO 공식화…이사회 변동 가능성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새주인 들어선 SC엔지니어링, 이사진 대거 교체
- 'BBB급' 두산퓨얼셀, 차입금리 낮추기 집중
- [i-point]케이쓰리아이, 아시아 첫 '볼로냐 라가치 크로스미디어상'
- 글로벌사업 중심축 두산밥캣, '5세 경영수업' 무대됐다
- 이창용 한은 총재, '1%대 성장률' 지속 우려에 작심발언
- [thebell interview]"AI 핵심은 인프라SW…모레, 넥스트 딥시크 만들 것"
김성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미 오너가 분쟁]지주사 '전문경영인' 체제 시작, 신동국 인연 '김재교' 추대
- 대웅, 담당자 바뀌어도 CFO 공식화…이사회 변동 가능성
- [트럼프발 생크션, K-바이오 위기와 기회]FDA 신약 기업 '비상'…불확실성 속 대응 마련 '차이'
- 치매 신약 레켐비 업은 '뉴로핏' 예심 청구, IPO 시동
- [트럼프발 생크션, K-바이오 위기와 기회]계엄에 늦춰진 정부 전략 수립, 민간 먼저 나섰다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IPO]지분 19% 쥔 차바이오그룹, 이유있는 상호 보완 관계
- 고바이오랩, 건기식 자회사 위바이옴 덕 '600억 매출'
- 미국 빅파마, 트럼프측 만난다…정책 '불확실성' 해소될까
- 큐라클, FDA와 후속 개발 논의 끝…기술이전 기반 다졌다
- 삼양홀딩스, 김경진 사장 사내이사로…바이오 대표 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