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삼성전자, DX부문 발빠른 재정비 '노태문 등용'MX사업부 변동·DA사업부장 분리, 추가 인사 가능성 제기
김도현 기자공개 2025-04-02 13:39:33
이 기사는 2025년 04월 01일 16시5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삼성전자가 디바이스익스피리언스(DX)부문 수장의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민하게 움직였다. 차기 리더로 꼽히던 이들을 등용하면서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으로 풀이된다.1일 삼성전자는 노태문 모바일익스피리언스(MX)사업부장 겸 디자인경영센터장(사장)을 DX부문장 직무대행으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노 사장은 MX사업부장은 계속 역임하는 한편 품질혁신위원장도 겸임한다.
지난달 말 고 한종희 부회장이 갑작스럽게 별세하면서 DX부문 내 변화가 불가피했다. 한 부회장은 DX부문장 외에도 생활가전(DA)사업부장, 품질혁신위원장 등을 맡아 1인3역을 해왔다. 그만큼 어깨가 무거웠고 역할이 막중했다.

이에 따라 재계에서는 삼성전자가 단기간에 후임을 정하고 조직 안정화에 나설 것으로 관측했다. 실제 삼성전자는 일주일 만에 새 리더를 올렸다.
노 사장은 MX사업부 개발실장, MX사업부장을 지내면서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갤럭시 신화'를 이끈 인물이다. 세계 최초 상용화한 '폴더블폰의 아버지'로도 불린다. 그는 수년간 MX사업부를 이끌면서 '넥스트 한종희'로 가장 많이 거론되기도 했다. 예상대로 노 사장이 당분간 DX부문을 지휘하게 됐다.
삼성전자는 "(노 사장이) DX부문장 직무대행을 맡아 스마트폰 사업의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MX사업뿐만 아니라 세트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만 노 사장은 모바일 분야에 오래 몸담았기 때문에 TV, 가전 등 전문성은 다소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를 상쇄하기 위해 삼성전자는 고 한 부회장이 겸임하던 DA사업부장 자리에 김철기 부사장을 앉혔다.
김 부사장은 삼성자동차로 입사한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다. 이후 부품기술 및 품질업무 등을 담당했고 스마트폰, 가전, TV 전 제품의 업무를 경험하면서 기술과 영업전문성을 두루 겸비한 인사로 여겨진다.
더불어 김 부사장은 2024년 말부터 MX사업부 전략마케팅실장을 맡고 있다. 진작부터 노 사장과 호흡을 맞춰왔다는 의미다.
삼성전자는 "(김 부사장은) "풍부한 인사이트와 시장경험을 통해 DA사업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노 사장의 짐을 덜어준 적임자로 최원준 MX사업부 개발실장(부사장)이 발탁됐다. 최 사장은 지난달 원포인트 인사로 부사장에서 승진한 바 있다.
이번 인사를 통해 MX사업부 최고운영책임자(COO) 겸 개발실장, 글로벌운영팀장 등을 동시에 맡게 됐다. 당초 최 사장은 노 사장 후임으로 고려됐는데, 그 과정을 밟게 된 셈이다.
삼성전자는 "(최 사장은) 갤럭시 시리즈 개발을 주도해 온 스마트폰 전문가"라면서 "MX사업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MX사업부 COO로서 사업운영을 총괄하고 모바일 사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지속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TV 쪽은 기존대로 용석우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장(사장)이 주도한다. 앞으로 DX부문은 노 사장과 용 사장, 김 부사장, 최 사장 등 중심으로 운영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오르비텍, 방사성폐기물 처리 신기술 도입
- 대우건설, 해외시장 진출 '박차'
- [Company Watch]온타이드, 매출절반 차지하는 해외법인 부진 지속
- [ESS 키 플레이어]한중엔시에스 '국내 유일 수랭식 공급' 가치 부각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빗썸, 비언바운드 법인 청산…해외사업 '고배'
- [현대차그룹 벤더사 돋보기]에스엘, 투자 대폭 늘렸는데도 '무차입 기조' 유지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김도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삼성전자, DX부문 발빠른 재정비 '노태문 등용'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역할 많아진 최원준, '노태문 부담 최소화' 초점
- 헥토, 스포츠토토 온라인 결제대행사 선정 '초읽기'
- 삼성, 평택 4공장 구축 속도조절 '5공장 잠정중단'
- LG이노텍, FC-BGA 조단위 투자 자신감 '빅테크 확보'
- [토종 AI 반도체 생태계 분석]망고부스트, '미완의 대기' DPU 상용화 이뤄낼까
- [Sanction Radar]중국 찾은 삼성·SK, 아슬아슬한 반도체 줄타기
- [Sanction Radar]삼성D, BOE 특허소송 '판정승'…법적다툼 계속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조주완 LG전자 CEO "가전 생산, 미국 이동 준비"
- 문혁수 LG이노텍 대표 "중국 카메라 경쟁, 우위 자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