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 투자기업]'위피·콰트' 엔라이즈, 흑자전환…"올해 글로벌 방점"지난해 매출 337억, 전년대비 17% 증가…일본 사업 확장, 앱 고도화 작업 지속
이영아 기자공개 2025-04-16 08:18:36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0일 14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엔라이즈가 지난해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이어가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이 회사는 국산 데이팅앱 점유율 1위 '위피'와 건강관리 앱 '콰트'를 개발 및 운영하고 있다. 올해 일본 사업 확대를 바탕으로 실적 성장세를 이어가겠다는 포부다.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엔라이즈는 지난해 별도기준 매출액 337억원, 영업이익 7억원을 올렸다. 2023년 매출액 288억원, 영업손실 27억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매출액이 17% 증가했고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다만 2021년부터 건강관리앱 '콰트' 개발을 비롯한 신사업 투자에 나서면서 적자로 전환했다. 2020년 별도기준 매출액 153억원, 영업이익 18억원을 기록했지만 2021년 매출액 228억원, 영업손실 40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적재적소 모험자본 투자가 이뤄지며 신사업 확장에 나설 수 있었다. 엔라이즈는 시리즈B 브릿지 라운드까지 진행하며 누적 200억원 투자를 받았다. 한국투자파트너스와 대교인베스트먼트, LB인베스트먼트, 보광인베스트먼트 등이 투자했다.
올해도 위피와 콰트를 중심으로 실적 성장을 이어가겠다는 포부다. 먼저 위피는 일본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갈 계획이다. 엔라이즈는 지난해 9월 일본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구독형 비즈니스모델(BM)을 접목한 위피재팬을 출시했다.
김봉기 엔라이즈 대표는 "일본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해외 매출 비중을 높이는 것이 목표"라며 "일본 MZ세대를 타깃 한 마케팅을 추진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신규 가입자를 확보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다.
콰드 플랫폼 고도화 작업도 이뤄진다. 엔라이즈는 홈트레이닝 특화 기구와 전용 콘텐츠 개발을 통해 오프라인에서만 가능했던 대형 운동기구 경험을 가정에서도 구현할 수 있도록 소형화·모듈화된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김 대표는 "콰트는 단순한 운동을 넘어 전반적인 라이프스타일 개선까지 제안하는 헬스 테크 플랫폼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커머스 채널을 활용해 관련 제품 판매를 확대함으로써 매출 증대도 기대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상폐위기' 제일엠앤에스, CB 투자 운용사 어쩌나
- [2025 주총 행동주의 리포트]표대결 아닌 설득에 초점…트러스톤 '대화형 주주행동'
- 연금 통합한 우리은행 WM그룹, 컨설팅 파트 간판 바꾼다
- RISE미국AI밸류체인커버드콜, 월배당 '존재감'
- [WM헤드 릴레이 인터뷰]"고객 투자성향 'MBTI식 분석'…ELS 손실 재현 방지"
- 가시화된 IMA, 발행어음 대비 경쟁력 있을까
- KB국민은행, 비대면 투자자문서비스 추진
- [Tax 라운지]조기대선 국면 진입…조세 불확실성 우려하는 자문위원들
- [연금시장에 분 RA 바람]'일임서비스 개시' 숙원 이뤘다…반절 허용 '옥에 티'
- 이지스운용 점찍은 건대 CGV, 대주단 권리 행사 나선다
이영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VC 투자기업]트립비토즈, 첫 감사보고서 제출…매출 성장 지속
- [VC 투자기업]바로팜, 첫 감사보고서 제출…500억 매출 눈앞
- [VC 투자기업]'셀러 소통' 나선 발란, 정산 방안은 '오리무중'
- [VC 투자기업]'위피·콰트' 엔라이즈, 흑자전환…"올해 글로벌 방점"
- [thebell interview]"앤틀러코리아, 창업팀 키워 투자…매년 20팀 발굴"
- [VC 경영분석]파트너스인베, '성과보수' 증대…조합청산 효과
- [VC 투자기업]'흑자 지속' 스트리밍하우스, 일본 진출 가속
- [thebell interview]"신한벤처, 투자·관리 '상향평준화'…자생력 키울것"
- 아산나눔재단, 보이저 확대개편…글로벌 지원 강화
- [VC 투자기업]머스트잇, 사옥매각금으로 버텼다…실적 딜레마의 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