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촐했던 박태준 명예회장 4주기 추모식 13일 유가족 중심 진행, 포스코 "향후 5년, 10년 단위로 진행"
심희진 기자공개 2015-12-15 08:21:27
이 기사는 2015년 12월 14일 15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 13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 입구에 들어서자 '청암 박태준 전 국무총리 묘소'라고 적힌 안내판이 눈에 들어 왔다. 입구에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10분 가량 올라갔다. 대형 태극기와 천막 사이에 박태준 회장이 잠들어 있는 17묘역이 눈에 들어왔다.많은 사람들로 북적일 것이란 예상과 달리 현장 분위기는 조용하고 차분했다. 취재진은커녕 경계 태세를 갖춘 보안 요원들도 보이지 않았다. 검은색 상복을 입은 유가족 스무 명 정도만이 삼삼오오 모여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조화도 이강덕 포항시장이 보낸 것 외에는 몇 개 없었다.
잠시 후 빨간색 대형 관광버스 두 대가 도착했다. 포스코 전현직 임원들의 모임인 '중우회' 회원들이 하나둘씩 내렸다. 중우회 회원들은 유가족과 인사를 나눈 뒤 묘역 앞에서 짧게 참배했다. 추모 행사는 20여 분도 안 돼 끝났다.
권오준 회장의 참석 여부가 궁금했다. 유가족으로 보이는 이에게 "권 회장은 언제 오십니까?"라고 질문을 던졌다. 그는 "(권 회장이) 8시 전에 잠깐 와서 미리 참배하고 바로 갔습니다"라고 답했다.
지난해까지 박 회장 추모식은 크게 열렸다. 매년 12월 13일 오전 정관계, 재계 인사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현충원 묘소에서 참배식이 거행됐다. 오후에는 포스코센터 1층 '박태준 부조상' 앞에서 박 회장의 업적을 기리는 행사도 열렸다.
지난 3년과 달리 추모 행사의 규모가 축소된 데는 올해가 4주기였다는 것 외에 별다른 이유가 없다. 포스코는 앞으로도 5주기, 10주기 외에는 가족 중심으로 조촐하게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공식적인 추도식은 통상적으로 3주기까지만 갖고, 그 이후로는 5년, 10년처럼 의미 있는 주기에만 연다"며 "다른 해에는 간단한 참배만 갖는 것이 관례"라고 말했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오스코텍 대표 교체, 주주갈등 2주만…이상현 CFO 선임
- 티몬 인수 ‘8부 능선’ 오아시스…'데이터·브랜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관세 유예'에도 국제유가 내림세…고민 커지는 정유사
- '최대 매출' LX판토스, 지분 더 늘린 LX인터 배당 '두둑'
- [i-point]DS단석, 콜마와 바이오디젤 제품 5만톤 공급 계약 체결
- 프레시지, 비용 구조 개선…디지털 전환 '성과'
- 구다이글로벌, '독도토너' 서린컴퍼니 품는다
- [금통위 POLL]4월 기준금리 동결 우세…'환율·금융안정' 부담 커졌다
- [i-point]아이티센그룹-경기혁신센터, '유니콘 브릿지' 참여 기업 모집
- '체코원전 수주' 대우건설,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