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수' 아모레퍼시픽·LG생건, 판관비 격차 왜? 아모레퍼시픽, 10% 포인트 웃돌아...화장품 집중 포트폴리오 탓
이호정 기자공개 2016-01-20 07:58:31
이 기사는 2016년 01월 18일 14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화장품에만 집중하고 있는 아모레퍼시픽의 판관비율이 다양한 분야에 발을 걸치고 있는 ‘맞수' LG생활건강보다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 포트폴리오가 한정돼 있다 보니 광고선전비 등에 더 많은 돈을 쏟아 붓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작년 3분기까지 총 매출 3조 5409억 원 가운데 판매 및 관리비로 2조 62억 원을 지출해 56.7%의 판관비율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매출과 판관비가 각각 8.6%, 12.1% 줄면서 판관비율도 2.2%포인트 하락했다.
하지만 경쟁관계에 있는 LG생활건강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편이다. LG생활건강의 판관비율은 같은 기간 43.2%에서 44.2%로 1%포인트 상승했다. 두 회사의 판관비율 격차가 10% 이상 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이 같은 수치도 최근 3년간 격차를 줄인 결과다.
아모레퍼시픽의 2013년 판관비율은 58.7%로 LG생활건강보다 17.1%포인트, 2014년은 58.9%로 14.8%포인트 높았다. 작년 역시 58.5%로 13.3%포인트 차이가 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실제 광고선전비만 보더라도 더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는 LG생활건강이 아모레퍼시픽보다 적을뿐더러 증가폭도 낮다. 아모레퍼시픽은 작년 3분기 광고선전비로 3998억 원을 지출해 전년 동기보다 23.7% 증가했고, LG생활건강은 3217억 원으로 12.1% 늘어나는데 그쳤다.
즉, 중저가 브랜드의 약진 등 화장품 사업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아모레퍼시픽이 1등자리 고수를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는 셈이다. 또한 영업활동에 따른 현금 마진비율도 이 때문에 LG생활건강보다 5%포인트 낮은 9%대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화장품만 떼놓고 보면 판관비율이 엇비슷하다"며 "LG생활건강의 경우 화장품 외 생활용품과 음료까지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이차이가 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른 화장품 회사들도 판관비율이 50% 이상"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윤석열 대통령 탄핵]'관세' 충격이 집어삼킨 한국물…그나마 불안 덜었다
- [윤석열 대통령 탄핵]채권시장 잠잠…홈플러스 여파 비우량채 '예의주시'
- [티맵모빌리티는 지금]우티 매각, B2C 대신 데이터 기반 B2B '승부수'
- [크립토 컴퍼니 레이더]소액주주 늘어난 두나무, RSU 규정 보완 '숙제'
- [Company Watch]KMW, 자회사 기가테라라이팅 미운 오리? '유일한 희망'
- 에이비엘 이상훈 대표가 말한 GSK 딜 의미 '선급금 740억'
- 에이비엘바이오, GSK에 4조 기술이전 '사노피' 넘었다
- 아이엠지티, 기술성평가 앞두고 '이학종·손건호' 투톱 체제 전환
- 넥슨, '카잔'으로 오랜 숙원 푸나
- [i-point]DS단석, 영남 지역 산불 피해 지원 성금 5000만원 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