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6년 11월 07일 08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정부가 최근 해운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총 6조 5000억 원 들여 선사의 원가경쟁력과 재무구조 개선을 지원하는 ‘한국선박회사' 설립, 신규 선박의 발주를 돕는 선박펀드 규모의 확대 등이 핵심 요지다.이를 통해 세계 5위권 초대형 원양선사를 육성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밑그림이다. 글로벌 선사들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수시로 ‘합종연횡'을 하고 있는 터라 정부의 방안은 상당히 그럴싸해 보인다.
하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란 속담이 생각나는 이유는 뭘까. 한진해운 때문이다. 불과 두 달 전 국내 1위이자 세계 7위 선사였던 한진해운은 정부로부터 3000억 원을 지원 받지 못해 법정관리를 택했다.
융통성이란 찾아볼 수 없던 정부가 수조 원을 들여 초대형 선사 만들겠다고 나선 모양새가 꼴사나워 보인다. 또 최근 비선실세 의혹을 받고 있는 최순실 씨가 한진해운 사태를 초래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는 터라 해당 정책의 유효성에 대한 의구심이 어쩔 수 없이 든다.
분명한 사실은 한진해운이 이르면 이달 중순경 청산 절차를 밟은 것이란 사실이다. 때문에 정부의 해운업 경쟁력 제고 방안도 현대상선 살리기에 집중돼 있다.
한진해운 없이는 국내 해운업의 경쟁력을 회복하는데 상당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30년 넘게 쌓인 영업 노하우와 우수 인력 등 무형자산이 한진해운에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가 한진해운을 영국의 ‘벤라인' 같은 회사로 키워보는 건 어떨까 싶다. 벤라인 역시 한때 세계 3위 선사였지만 불황의 파고에 휩쓸려 파산했다. 그러나 영업 노하우와 우수 인력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해운컨설팅 업체로 재탄생 한 바 있다.
한진해운은 결코 버려지는 카드가 돼서는 안 된다. 일각의 주장처럼 정치적 논리에 의한 것이더라도 말이다. 정부 역시 지금은 한진해운을 십분 활용할 방법을 고민할 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에이블씨엔씨는 지금]'미샤 의존도 낮추기' 포트폴리오 다각화 히스토리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독보적이던 수익성의 '둔화'…해외 진출로 반전 꾀한다
- [사모펀드 유통 포트폴리오 점검]맘스터치, 여유로운 엑시트 기한…밸류업에 '방점'
- [현장 인 스토리]시노펙스, 반도체 케미컬 필터·혈액여과기 양산 본격화
- [디벨로퍼 리포트]외형 키우는 신세계프라퍼티, 투자 더 늘린다
- [떠오르는 모듈러 건축]삼성물산, 사우디 네옴시티에 'OSC 기술' 활용
- [지배구조 분석]건설사 KD 대주주, 채무 부담에 지분 매각 '결단'
- [디벨로퍼 리포트]DK퍼스트, '왕로푸' 매출인식 본격화
- [건설리포트]제일건설, 안정적 실적 속 재무비율 개선 '뚜렷'
- [Company Watch]BS한양, 신용등급 전망 조정…에너지 사업 '성장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