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북일학원, 2013년 계열사 기부금 유입 '숨통' [한국의 100대 공익재단-한화그룹]③수익사업 외 외부 수입 발생, ㈜한화·한화케미칼 등 대부분 동참
김현동 기자공개 2018-01-17 08:17:24
이 기사는 2018년 01월 11일 15시2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천안북일학원의 살림살이는 2013년 이전과 그 이후로 나눠진다. 2013년 기부금수입이 들어오면서 숨통이 틔었다. 그 이전까지만 해도 그룹 계열사의 북일학원에 대한 기부는 전무하다시피 했다.2012년까지 천안북일학원의 운영수익은 수익사업전입금이 전부였다. 기부금수입은 전무했다. 그러다가 2013년 들어 기부금 수입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기부처는 알 수 없지만 2013년 7월 15억 원을 시작으로 2014년 2월 결산 시점까지 총 63억 원의 기부금 수입이 새롭게 발생했다.
그 이후 매년 기부금수입이 들어오고 있다. 2014년 68억 원을 비롯해 기부금 수입 규모도 점차 늘어났다.
기부자 명단이 공개된 2014년도(2014.3~2015.2) 공시를 보면 ㈜한화와 한화케미칼이 각각 16억 원을 기부한 것을 비롯해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7억 원, 한화에너지 5억 원 등 제조업과 금융회사 등 거의 모든 계열사가 2억~5억 원의 기부금을 출연했다. 2015년도(2015.3~2016.2)도 마찬가지다. ㈜한화와 한화케미칼이 각각 18억 원을 냈고, 나머지 계열사도 2억~7억 원의 출연을 했다. 2016년도(2016.3~2017.2)의 경우 기부자 명단이 공개되지 않았으나, 기부 금액이 95억 원에 달한다(아래 '북일학원 기부자 명단' 참고).
|
한화그룹 계열사의 기부 동참은 김승연 회장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앞둔 시점과 맞물려 있다. 대법원은 2013년 9월 김 회장에 대한 상고심에서 징역 3년과 벌금 51억 원을 선고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이후 2014년 2월의 파기환송심에서 김 회장은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다.
한화그룹 계열사의 기부 이전까지 북일학원의 살림살이는 여의치 않았다. 공익사업은 전입금 외에 마땅한 수입원이 없었고, 수익사업은 이자수입과 배당금수입이 전부나 마찬가지였다. 그러다 보니 재단 순자산은 마이너스(-) 상태였다.
북일학원의 살림살이가 나아진 것은 기부금수입이 들어오고 나서 2년이 지난 2015년도(2015.3~2016.2)부터였다. 겨우 순자산이 4억 원 정도 발생했고 2016년도가 되자 재단 순자산은 14억 원을 넘었다(아래 '북일학원 손익계산서 추이' 참고).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우리기술 사업 돋보기]해상풍력 '첫 트랙 레코드' 눈앞
- [큐라클 리바운드 전략]CU06 '원툴 탈피' 맵틱스 콜라보 '사업화 기회' 늘었다
- [i-point]'아나패스 계열' GCT, 오빅과 개발·공급 의향서 합의
- [소형 콘텐츠사 톺아보기]임영웅의 물고기뮤직, 1인 보폭 축소에 수익 급감
- [상호관세 후폭풍]삼성SDI의 로비스트, 홀랜드&나이트 키맨에 쏠린 눈
- [영상]애경그룹 골프장 이어 모태사업 매각까지?
- [영상] 네이버, 컬리 지분 10%가량 인수 검토하는 배경은
- '몸값 올리기' 여기어때, 하드블록 축소로 이익 키웠다
- [VC ERP 생태계 점검]시장 점유율 1위 '로고스시스템' 품은 쿼타랩은
- 적자 지속 이수건설, 3개월 이하 사모채 릴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