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8년 09월 21일 08시1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바이오 벤처 툴젠은 코넥스 시장을 대표하고 있다. 한때 시가총액이 1조원을 넘어선 압도적인 대장주다. 다른 코넥스 상장사와의 시총 격차는 이제 좁혀질 수 없을 정도다. 웬만한 코스닥 바이오 업체도 명함을 내밀지 못한다.이런 툴젠이 코스닥 이전 상장을 앞두고 변수를 만났다. 한 언론매체의 보도를 시작으로 특허권 논란이 불거진 것이다. 핵심 기술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특허를 둘러싸고 부당 이전을 받았다는 의혹에 휘말렸다. 아직 이해 당사자가 법적 공방으로 시시비비를 따지기 전이다. 논란에 대해선 섣불리 옳고 그름을 말할 수 없다.
다만 툴젠의 위기가 단지 한 기업의 시련이 아니라는 건 짚어볼 필요가 있다. 사실 툴젠의 코스닥 이전 도전은 벌써 이번이 세 번째다. 대표 기업이 오랜 진통을 겪으면서 코넥스에 상장할 유인도 사라져 왔다. 코넥스 시장은 코스닥에 쉽게 진입하기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맡고 있다. 코넥스 상장의 최대 인센티브가 바로 이전 상장이 수월하다는 점이다.
이제 코넥스 상장을 권하면 어김없이 툴젠 얘기가 돌아오고 있다. 10여 년 넘게 바이오에 투자한 벤처캐피탈 임원은 "1~2년 전 코넥스 상장이 인기를 끌었을 때부터 툴젠은 대장주로서 상징적 의미를 가졌다"며 "대표 기업이 이전 상장의 재수, 삼수를 하자 굳이 번거롭게 코넥스를 찾을 이유가 사라졌다"고 말했다.
한국거래소도 코넥스 대표 기업으로서 툴젠의 상징성을 감지해 왔다. 코넥스 상장유치 파트에선 툴젠의 코스닥 이전 상장이 늘 고민거리였다. 벤처기업 오너를 상대로 코넥스의 이점을 피력해도 툴젠이 언급될 때마다 설득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정부가 활성화 방침을 밝힌 만큼 코스닥 직상장의 장벽도 점차 낮아질 기세다. 코넥스 시장이 더욱 코너에 몰릴 것으로 관측되는 배경이다. 코넥스의 인기는 빠르게 식어가고 있다. 코넥스 시장에 신규 상장한 기업은 지난 2016년 50곳에서 지난해 29곳으로 급감했다. 올해 상반기엔 단 6곳에 불과했다.
돌발 변수를 만난 툴젠은 상장 예비심사를 철회하지 않고 한국거래소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툴젠의 특허권 의혹이 사실이라면 투자자 보호를 위해 조치에 나서야 한다. 하지만 대장주의 세 번째 실패로 코넥스 시장이 고사될 우려도 있다. 거래소의 고민이 전해지는 대목이다. 여론에 휩쓸리지 않고 냉정하게 심사하기를 바랄 뿐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