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행 실패하나…예비입찰서 글로벌 PEF 일부 포기 [NXC 매각]어피너티·칼라일·블랙스톤 등 인수전서 발 빼
한희연 기자공개 2019-02-22 08:21:00
이 기사는 2019년 02월 21일 18:5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빅딜로 주목받고 있는 넥슨 M&A의 열기가 예상 밖으로 뜨뜻미지근해지고 있다. 당초 글로벌 대형 사모투자운용회사(PEF)들이 대부분 뛰어들며 흥행 양상을 보였으나 딜 검토 후 일부 후보들이 인수 의사를 접으며 후보군의 윤곽은 단촐해지는 분위기다.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넥슨의 지주회사인 NXC 매각을 주관하고 있는 도이치증권과 모간스탠리 등 매각자 측은 이날 예비입찰을 통해 인수 후보들의 희망 가격 등을 받고 있다. 미국시간으로 21일 정오(한국시간 22일 새벽2시)에 마감할 계획인데 인수의지가 확실한 후보들은 일찌감치 도전장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MBK파트너스, 넷마블, 카카오 등이 국내 원매자 중 인수 의지를 내비친 곳으로 알려졌다.
당초 글로벌 대형 PEF 들이 관심을 보이며 딜이 후끈 달아오르는 분위기였지만 세금 이슈나 일본 법인 매각 관련 텐더오퍼 문제 등이 엮이며 정작 예비입찰에서는 발을 빼는 분위기다.
딜 초반 기업설명서(IM)를 받아갔다고 알려진 FI 들은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 베인캐피탈, 칼라일, CVC캐피탈,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텍사스퍼시픽그룹(TPG), 베인캐피탈, 블랙스톤 등이다. 하지만 이중 어피너티, 칼라일, CVC, 블랙스톤 등 다수의 FI들은 딜 검토 후 최종 인수 의사를 접은 것으로 전해졌다.
매각 대상은 김정주 회장 등이 보유한 지주회사인 NXC 지분이다. 하지만 NXC에는 게임 사업 뿐 아니라 가상화폐거래소나 고급 유모차 브랜드 등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도 포함돼 있어 최종적으로 비게임 사업 부문을 제외하고 게임 부문만 발라내 외부에 파는 구조다.
지난 2017년 말 기준 NXC의 연결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상장사인 NEXON Co., Ltd.와 그 종속기업의 자산은 5조1300억원 규모다. 매출액은 2조3649억원, 당기순이익은 5609억원이었다. 게임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들은 대부분 여기에 포함된다. 넥슨코리아의 지배회사도 이 일본 상장사로 돼 있다. NXC는 이 EXON Co., Ltd. 지분을 50.03% 소유하고 있다고 나와 있는데 최근엔 48.34%로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스틱, 일진머티리얼즈에 7000억원 추가 투자
- 팟빵, 경제 전문 팟캐스트 '골드러시' 공개
- ‘월드IT쇼 참가' 휴림로봇 테미, 텔레프레전스 기능 선보여
- 티카로스, 'CAR-T 권위자' 피터 캐쉬 박사 영입
- '크로켓' 와이오엘오, 30억 시리즈A 라운드 클로징
- 초록뱀미디어, 쿠팡플레이에 '어느날' 독점 서비스 계약
- 신동주 日 롯데 '신동빈 해임訴' 이달 결론난다
- [저축은행 코로나19 명암]SBI저축은행, 영업수익 1조 돌파 원동력 '중기·소호'
- [발행사분석]한화에어로, '등급 상향'보다 중요한 '미래 먹거리'
- 야놀자도 'IPO 대어'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