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인프라, 두달만에 회사채 재추진…흥행 이을까 [발행사분석]1월, BBB급 한계 뚫고 오버부킹…그룹 리스크는 부담
임효정 기자공개 2019-03-07 09:08:22
이 기사는 2019년 03월 06일 09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두산인프라코어가 올 들어 두 번째 회사채 발행에 나선다. 지난 1월 흥행의 경험으로 낙관적인 결과를 낼 것이란 기대가 높다. 재무위험 확대로 분위기가 어두운 그룹 계열사들과는 상반된 행보다.다만 차입금 비중이 높은 것은 부담 요인으로 지목된다. 이에 신용평가사들의 등급전망도 엇갈리는 상황이다.
◇올해 초 BBB급 회사채 발행 포문...연속된 흥행에 자신감 업
두산인프라코어는 5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을 위해 오는 7일 수요예측을 진행한다. 트랜치는 2년 단일물로 구성한다. NH투자증권과 신영증권이 대표 공동 주관사를 맡았으며, 한국투자증권이 인수단으로 참여한다.
두산인프라코어는 공모시장에서 BBB급의 한계를 뛰어 넘은지 오래다. 지난해에 두 차례 이어진 회사채 발행에서도 오버부킹을 이어왔다. 지난 1월 회사채 발행에 3배 이상의 수요를 모으며 BBB급 공모채 시장의 포문을 연 것도 두산인프라코어였다. 이번 공모채 발행에서 흥행 가능성을 키우는 대목이다.
회사의 영업수익성도 눈에 띄게 개선되는 추세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8% 상승한 8481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7조7300억원으로 17.7% 증가했다. 2015년 영업적자를 내던 회사가 4년 사이에 최대 실적을 거둔 것이다. 2016년 혹독한 구조조정을 겪으며 비용을 절감한 데 이어 이듬해 중국에서 굴삭기 판매량 증가한 점이 실적 성장의 동력이 됐다.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1000억원까지 증액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지난 1월 500억원 규모의 공모채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에서 3배가 넘는 자금이 몰렸다. 이에 최종적으로 880억원까지 증액한 바있다.
단기성 차입금 부담은 리스크로 지적된다. 두산인프라코어의 총 차입금 규모는 지난해 말 별도기준 2조7000억원이다. 이 가운데 절반에 달하는 1조3547억원이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단기성 차입금이다.
차입금 부담은 두산인프라코어의 신용등급을 A급에서 BBB급으로 끌어내린 주 요인이기도 했다. 2014년 국내 신평사 3곳으로부터 A급을 받았던 두산인프라코어는 이듬해 BBB급으로 떨어진 후 2016년에는 BBB-까지 갔다. 단기차입금을 회사채로 메워 차입구조를 개선하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차입 구조 개선 과제...엇갈린 등급 전망
신용평가사들의 시각은 다소 엇갈린다. 한국신용평가는 이번 공모채 신용등급 전망을 긍정적으로 매겼지만, NICE신용평가는 안정적을 유지하며 보수적으로 평가했다.
한국신용평가의 경우 차입금 부담은 있지만 회사의 재무 융통성이 높아 차환하는 데 무리가 없을 것이라는 평가다. 한신평은 "현금창출력 대비 재무부담이 여전히 과중해 재무구조 개선 속도는 더딜 것으로 판단한다"면서도 "최근 실적 개선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보유 현금성자산(3210억원), 지분 매각과 주식담보대출 등을 통해 대응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NICE신용평가는 차입금 부담을 줄이는 데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며 등급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두산인프라코어의 지난해 별도기준 부채비율은 250%이며, 순차입금의존도는 48%으로 집계됐다. 총차입금/EBITDA 지표도 9배 가량으로 다소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국떡, 기업 복지 서비스 '국떡 라면바' 신규 론칭
- 세라젬, 안전보건 국제 표준 인증 'ISO 45001' 획득
- [i-point]TKENS, 전장 램프 제습 모듈 글로벌 공급사 확대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무신사, 순이익+운전자본 최적화 효과
- [VC 투자기업]자비스앤빌런즈, AI 개인화 서비스 강화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점포 매각대금 수령 '난항', 채무 상환 차질로 이어질까
- [캐시플로 모니터]더본코리아, 실적호조에도 순현금유출 까닭은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바틀링·직수출 투트랙 전략…종착점은 '롯데 브랜드'
- [정용진 회장 취임 1년]'CJ·알리바바' 신세계 이커머스 살릴 동아줄 될까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R&D로 쌓은 수출 경쟁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안착
임효정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HMM, SK해운 '일부 사업부 vs 선박' 인수 저울질
- '회생 M&A' 신한정밀공업, 주관사로 삼일PwC 낙점
- [thebell League Table]M&A 시장 주도한 'SI', 조단위 딜도 꿈틀
- KDB-하나, 이랜드파크 메자닌 '수익률 9.7%' 내걸었다
- 웅진씽크빅, ‘프리드라이프 인수’ 우군 나서나
- 옐로씨-비전벤처스가 품는 코아솔, 투자 포인트 '삼성전자 협력'
- '2대주주' 앵커에쿼티, SK일렉링크 경영권 노린다
- E&F-IS동서, 매각 앞둔 '코엔텍' 3800억 리파이낸싱 추진
- 'MBK 포트폴리오' 네파, ABL로 300억 조달한다
- 어피니티, '락앤락' 2000억대 리파이낸싱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