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어소프트, 자회사 오아시스 흥행에 ‘함박웃음’ 매출비중 85% 차지…신선식품 신흥 강자로 자리매김
정미형 기자공개 2019-05-13 09:34:05
이 기사는 2019년 05월 09일 14시5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어소프트의 자회사인 오아시스가 신선식품 시장에서 신흥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모회사인 지어소프트가 오아시스의 고성장에 힘입어 기업가치 '퀀텀점프'에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오아시스는 지어소프트의 자회사로, 지어소프트는 오아시스 지분 79.43%를 확보하고 있다. 지어소프트는 1998년 설립된 IT서비스 및 광고 전문 회사다. 2002년에는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
오아시스는 온라인 신선식품 유통회사로, 유기농 제품을 주로 판매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오아시스의 모태는 2011년 설립한 우리네트웍스다. 지어소프트는 우리네트웍스를 통해 농수산물 유통 사업으로까지 손을 뻗었다.
마켓컬리를 필두로 헬로네이처, 로켓프레시 등 온라인 신선식품 시장이 성장하면서 오아시스도 고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친환경, 유기농 등 프리미엄 신선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급증하며 주목받고 있다. 특히 지난해 5월 온라인 몰 ‘오아시스마켓'을 오픈하면서 실적 성장세는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오아시스는 온라인 몰을 통해 24시간 배송과 수도권 대상으로 새벽배송에도 나선 상태다. 이에 오아시스는 일평균 배송량이 매월 50% 이상씩 증가하며 하루 결제액이 1억원을 넘어섰다. 이에 오프라인 매장 수도 2016년 13개에서 현재 39개로 확대됐다.
|
오아시스의 차별점은 오프라인 중심이라는 점이다. 오아시스는 우리생활협동조합(우리생협)과 전략적 제휴(MOU)를 맺고 공급자 네트워크를 확보했다. 온라인에만 국한되지 않고 오프라인 매장을 활용해 신선식품을 배송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오아시스 흥행에 모회사 지어소프트의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다. 지난해 지어소프트는 매출액 1316억원, 영업이익 12억원을 거뒀다. 이 중 자회사 오아시스의 매출은 1112억원으로 지어소프트의 지난해 매출의 85%에 이른다.
오아시스 성장이 가팔라지면서 지어소프트의 매출도 2년 새 두 배로 껑충 늘었다. 2016년 641억원을 기록한 매출액은 지난해 1316억원으로 올라섰다. 같은 기간 오아시스 매출액도 428억원에서 1112억원으로 급증했다.
|
시장에서는 오아시스가 향후 온라인 몰과 오프라인 매장 모두 성장하며 슈퍼 시장 내 점유율 확대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성장성이 큰 자회사를 둔 지어소프트의 기업 가치 역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오아시스는 물류센터 확장과 투자 유치를 통해 외형 성장을 확대해간다는 계획이다.
오아시스 관계자는 "온라인 몰 오픈 이후 지난 2월부터는 매출이 배 이상 증가할 정도로 늘었다"며 "이에 7월에는 물류센터를 10배 정도 큰 곳으로 이전하려고 준비 중이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그동안 투자 유치 문의가 많았었다"며 "현재 투자 유치도 상당 부분 진행된 상황으로, 한 두 달 내 결정될 건 들도 많이 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