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A급 희망 본 대림산업, 대규모 공모채 추진 2000억, 10월 만기도래채 차환 용도…신용등급 상향, 여전한 기대감
이지혜 기자공개 2019-06-25 13:22:46
이 기사는 2019년 06월 24일 14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림산업이 올해도 공모 회사채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한다. 하반기 만기 도래하는 채권 차환 용도다. 다만 올해 신용평가3사로부터 신용등급 AA를 받지 못하는 점은 아쉬운 대목으로 여겨질 것으로 보인다.◇2000억 규모 공모채 발행…차환 용도
대림산업은 2000억원 규모로 공모채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올해 10월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을 차환하는 데 쓰기로 했다.
대림산업 관계자는 "그동안 공모채로 자금을 조달해온 만큼 이번에도 공모채를 발행할 계획"이라며 "만기 구조와 공모채 발행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대림산업은 공모채 시장의 단골로 꼽힌다. 최근 8년 동안 한해를 제외하고 해마다 수천억원 규모로 공모채를 발행해왔다. 2017년과 지난해 발행한 공모채 규모는 연간 3000억원 이상이다.
대림산업의 공모채 발행은 일찌감치 예견돼 왔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 규모가 적지 않은 데다 공모채 시장도 호황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10월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 규모는 2000억원에 이른다. 올해 3월과 5월에도 각각 500억원, 950억원의 채권 만기가 돌아왔다. 만기도래 채권 규모는 모두 3450억원이다.
공모채 시장 상황도 좋다. 대림산업과 신용등급이 A+로 같은 OCI, 넥센타이어, LS도 6월 진행된 수요예측에서 오버부킹을 기록하며 대부분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했다.
대림산업의 3년물 민평금리는 21일 기준 1.989%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 금리가 3~4%대라는 점을 고려하면 대림산업이 공모채 발행을 통해 금융비용을 아낄 수 있다.
◇신용평가 3사의 신용등급 AA 복귀, 다음 기회에
다만 올해 신용평가3사로부터 신용등급 AA를 받지 못하는 점은 대림산업으로서 아쉬운 대목일 것으로 보인다. A+ 회사채의 민평금리는 3년물 기준 1.969%로 민평금리가 1.777%대인AA-와 차이가 난다.
나이스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등 신용평가3사가 지난해 12월 대림산업의 신용등급 전망을 일제히 'A+/긍정적'으로 조정했다. 대림산업의 신용등급이 5년 만에 AA급으로 복귀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높아졌다.
그러나 대림산업 정기평가 결과를 먼저 공개한 한국기업평가는 신용등급을 높이지 않았다. 한국기업평가가 재무제표 기준을 별도에서 연결로 변경하면서 대림산업은 신용등급 상향 요건을 일부 충족시키지 못하게 됐다.
투자은행업계 관계자는 "대림산업이 내부적으로 만기 구조 등을 결정하고 있다"며 "신용등급 상향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공모채 발행계획을 올해 하반기에 구체화하려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세라젬, 안전보건 국제 표준 인증 'ISO 45001' 획득
- [i-point]TKENS, 전장 램프 제습 모듈 글로벌 공급사 확대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무신사, 순이익+운전자본 최적화 효과
- [VC 투자기업]자비스앤빌런즈, AI 개인화 서비스 강화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점포 매각대금 수령 '난항', 채무 상환 차질로 이어질까
- [캐시플로 모니터]더본코리아, 실적호조에도 순현금유출 까닭은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바틀링·직수출 투트랙 전략…종착점은 '롯데 브랜드'
- [정용진 회장 취임 1년]'CJ·알리바바' 신세계 이커머스 살릴 동아줄 될까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R&D로 쌓은 수출 경쟁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안착
- [LGU+를 움직이는 사람들]'관 출신' 권용현 전무, 하락세 기업부문 살리기 미션
이지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모니터/SOOP]‘비욘드 코리아’ 달성 목표, 글로벌 인사 전진배치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하이브 이재상 "어도어 사태, 멀티 레이블 튜닝 중 진통"
- [이사회 분석]NEW, 유제천 사장 포함 5인 재신임 ‘안정 택했다’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카카오엔터, '베리즈'로 K컬처 통합 팬덤 플랫폼 야심
- [Company Watch]NEW, 2년 연속 적자…승부는 올해부터
- [Company Watch]하이브 흔든 BTS 공백, 뉴진스 리스크는 ‘올해부터’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하이브 플랫폼 핵심 위버스, 적자 속 희망 '유료화'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JYP엔터, MD 확대 초석 '사업목적 대거 추가'
- [K-팬덤 플랫폼, 뉴 패러다임]성장 멈춘 디어유, 텐센트·SM엔터 협력 '재도약' 시동
- [Company Watch]JYP엔터, 블루개러지 집중 투자…수익성·기업가치 압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