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19년 10월 07일 08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지스자산운용은 지난 몇 년간 업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인 부동산 전문 자산운용사다. 2010년 설립된 이후 국내와 해외서 부동산 펀드를 조성해 오피스 빌딩을 사들이며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그렇게 이지스자산운용이 업계 1위로 발돋움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은 10년이 채 안된다. 계속된 성장 속에 이지스자산운용의 운용자산(AUM) 규모는 작년말 기준 25조원을 넘어섰다. 국내선 독보적인 1위이다. 전 세계적으로 보면 50위권 이내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성장세만큼 이지스자산운용은 새로운 시도를 꾸준히 이어나가며 업계의 변화를 선도해 왔다. 대표적으로 공모형 부동산펀드가 꼽힌다. 이지스자산운용이 처음으로 공모형 부동산펀드를 선보인 시기는 2016년 말이다. 당시는 부동산간접투자상품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그리 크지 않던 때다. 서울 중구 서소문에 위치한 퍼시픽타워에 투자하는 공모형 부동산펀드를 선보였다. 투자자 모집 실패로 끝났지만, 의미 있는 첫걸음이었다. 이후 다수의 공모 부동산펀드를 출시해 성공을 거뒀다.
2017년 선보인 밸류애드(Value Add) 부동산 펀드도 업계 최초로 해외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하면서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작년엔 운영사 최초로 기업공개(IPO)에 나섰다. 또 올해 초엔 대신증권과 손을 잡고 업계 최초로 '서울 오피스 매매지수'를 발표했다.
이지스자산운용의 새로운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이번엔 리츠다. '모자형' 리츠의 상장이 그것이다. 모리츠를 만들고, 여러 개의 자리츠를 만들어 최종적으로 부동산에 투자하는 형태다. 모리츠가 일종의 허브리츠 역할을 맡는다. 기업공개 대상은 모리츠다. 리츠 시장이 활성화된 미국이나 일본에선 쉽게 찾을 수 있는 구조다.
이처럼 이지스자산운용은 업계 1위로 발돋움한 이후로도 지속해서 고민하고 새로운 결과물을 내놓고 있다. 많은 선도기업들이 쇠퇴의 길을 걷는 모습과는 다른 행보다.
다수의 선도기업의 경영자들은 대부분 그 자리에 오르기까지의 성공 경험들을 토대로 자신만의 '성공 방정식'을 만든다. 그러다 보면 성공 방정식을 맹신하고, 다른 생각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게 된다. 이럴 경우 경쟁우위를 잃고 쇠퇴의 길로 접어든다. 반면 이지스자산운용은 과거의 성공 방정식에 매몰되지 않고 있다. 이지스자산운용의 미래가 기대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향후 이지스자산운용이 어떤 새로운 시도를 할지 지켜보는 재미도 쏠쏠할 것 같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앤오운용, 첫 딜 '상암 드림타워' 끝내 무산
- '이지스운용' 1대주주 지분 매각, 경영권 딜로 진화?
- 더제이운용, 채널 다양화 기조…아이엠증권 '눈길'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단기채 '100% 변제'의 진실, 핵심은 기간
- 유안타증권, 해외상품 전문가 '100명' 육성한다
- 미래에셋운용, '고위험 ETF' 수수료 인하 검토 배경은
- 글로벌 최초 패시브형 상품…'노후' 솔루션 대안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