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광그룹, 다사다난했던 2019년 '성공적' 총수 부재·자산 매각·기업문화 과도기 속 견조한 영업 실적 달성
박기수 기자공개 2019-11-27 09:25:00
이 기사는 2019년 11월 26일 13시2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총수 부재 속 태광그룹이 여느 때보다 많은 변화를 겪으면서도 탄탄한 실적을 내는 한 해를 보내고 있다. 기업 문화 혁신을 위한 과감한 외부인 선임부터 주요 자산 매각 등 다사다난한 1년이었지만 기업으로서 가장 중요한 목표인 '수익 창출'에 성공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굳건한 2019년을 보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탄탄한 수익성, 재무구조는 '작년 그대로'
태광그룹의 '본체' 격이자 핵심 계열사는 올해 창립 69주년을 맞은 태광산업이다. 태광산업은 올해 3분기까지 연결 기준 매출 2조2423억원, 영업이익 2503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 2조3099억원, 영업이익 2598억원보다 소폭 낮아진 수치지만 화학업계 업황 악화 등을 고려했을 때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는 시장의 평가가 나온다. 영업이익률도 작년과 올해 모두 약 11.2% 수준으로 비슷하다.
태광산업은 페트병의 원료가 되는 고순도 테레프탈산(PTA)과 아크릴섬유 및 ABS 수지 등의 원료로 쓰이는 아크릴로나이트릴(AN) 등을 주력 제품으로 생산한다. 업계는 태광산업의 주요 제품들의 공급처가 국내외에 안정적으로 다져두고 있고, 시장 지배력도 일정 궤도에 올랐다는 점을 견조한 실적의 비결로 분석하고 있다. 생산하는 제품이 기초 화학물질이 아닌 가공된 제품이라 올해 화학업계에 찾아온 불황의 영향도 비교적 적게 받을 수 있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자랑거리인 탄탄한 재무구조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태광산업의 올해 3분기 말 연결 기준 부채총계와 자산총계는 각각 8921억원, 3조5168억원으로 부채비율은 25.4%에 불과하다. 28.5%를 기록하던 지난해 말 부채비율보다도 오히려 더 하락했다.
◇총수 부재 등 어수선한 2019년 지나
태광산업은 최근 몇 년을 놓고 봤을 때 특히 올해 비교적 어수선한 한 해를 보냈다. 올해 거둔 탄탄한 실적이 더욱 빛이 나는 이유다.
우선 그룹 총수이자 재판을 받던 이호진 태광그룹 전 회장이 올해 2월 열렸던 두 번째 파기환송심 재판에서 징역 3년 형을 선고받으며 본격적인 총수 부재 사태가 시작됐다.
원래 이 전 회장은 횡령 등의 혐의로 2011년 구속기소를 당한 이후 2012년부터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지만, 건강상 이유로 병보석 상태로 풀려나 7년 이상의 시간을 불구속 상태에 있었다. 그러나 올해 판결로 보석을 인정받지 못하고 2년 이상을 구치소에서 생활해야 하는 상황이 확실시되며 그룹 경영과의 접점이 더욱 멀어졌다.
이어 이 전 회장 일가와 티시스(태광그룹 계열사) 등이 보유한 종합유선방송업체(MSO) 티브로드의 지분 매각 이슈도 있었다. 태광산업(53.94%), 이 전 회장(10.79%), 이 전 회장의 장남 이현준 씨(7.08%) 등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던 티브로드를 SK브로드밴드가 인수·합병하기로 하면서 경영권을 SK로 넘겼던 바 있다.

당시 시장은 보수적이고 은둔의 이미지가 있었던 태광그룹에 변화가 시작됐다는 시그널로 받아들였던 바 있다. 정도경영위원회는 올해 다섯 차례 정기 회의를 열고 네 차례의 워크숍을 진행하며 기업문화 만들기의 토대를 마련했다고 전해진다.
한 재계 관계자는 "업황 악화와 총수 부재, 자산 매각, 과도기적 기업문화 속에서도 태광산업과 대한화섬 등 주요 계열사들의 실적은 견고했다"라면서 "총수에 대한 이미지 등 외부 이미지와 달리 기업의 근간이 되는 영업활동에서만큼은 꾸준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라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유증&디테일]'초음파 DDS 선두' 아이엠지티, 임상시험 150억 조달
- 엠케이전자, '반도체 후공정 1위' ASE 어워드 수상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뉴로바이오젠, 6.5조 L/O에 1% 마일스톤…상업화 '관건'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한미약품, '비만약' 28억 신규 산입…내년 출시 기대감 반영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2000억 현금 보유 일성아이에스, 부동산 베팅 '요양원' 발판
- OCI홀딩스, 부광약품 '유증' 활용법 '실권주·신주증서'
- [제약사 개발비 자산화 점검]신약보단 우주, 보령의 R&D 가치 단 150억 '카나브' 뒷배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한화그룹]그룹 전반 차입 부담 심화, 에어로 유증만으로 될까
- [밸류업 성과 평가]'10위권 밖' HMM, 마의 PBR 1배 '벽'
- [밸류업 성과 평가]HD현대일렉트릭, 밸류업 1위 영예…실적·주가 완벽 뒷받침
- [밸류업 성과 평가]코스닥 기업 80%가 TSR 마이너스, 밸류업 의지 절실
- [조선업 리포트]사업부에 힘 싣는 한화오션, 관료 출신 사외이사도 영입
- [밸류업 성과 평가]삼양식품, '불닭'이 만들어준 밸류업 1위 '기염'
- [밸류업 성과 평가]메리츠금융·카뱅만 PBR 1배 이상, 저PBR '고질병' 여전
- [밸류업 성과 평가]7할이 PBR 1배 미만, 갈길 먼 '기업가치 제고'
- [밸류업 성과 평가]'밸류업' 1년, 어디가 잘했나…지표로 분석하니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엔진, 영업익 8배 증가…수익성 제고 1위는 에어로